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정치경제 33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대한민국 인공지능(AI) G3 도약 추진

2025년 2월 20일(목)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을 발표했습니다. 국가전략적 차원에서 어떤 내용과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우선 목표는 한국형 AI 챗GPT 개발을 통해 세계 3대 강국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한국은 국가 AI 역량에 있어 미국과 중국 등에 비해 뒤처져 있었는데, 이를 따라집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노력하는 방안을 강구한 것이지요. 이미 미국은 스타케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AI 기술 인프라에 5000억 달러(약 73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죠. 엄청난 돈을 투자해 선도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프랑스도 파리 AI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1090억 유로(약 163조원)을 투자하기로 하였습니다.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딥시크(DeepSeek), 미-중 AI 패권 경쟁 불붙이다.

2025년 1월 20일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 고효용의 새로운 생성형 모델 R1을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오픈AI의 o1(오원)에 비해 성능이 뒤처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죠. ​이로 인해 엔비디아를 비롯해 전 세계 AI 관련 증시가 들썩였으며,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고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국제정치경제적 함의를 탐구해 봅니다. 이제 새로운 국제정치경제의 용어로 와 (梁文峰, Liang Wenfeng)을 기억해야겠습니다. 이는 와 (Samuel Altman)을 기억하는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딥시크는 2023년 7월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인데, 딥시크 R1이 몰고 온 파장은 쉽게 사그러지지 않을 듯합니다. 왜냐하면 이에는 (Sputnik Moment)..

[강의자료]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분석> – 어떻게 공부하나?

를 공부하는데 어떻게 접근해야 하나요?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떻게 무엇을 다루어야 하는지~필자가 다룬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하나. 는 이렇습니다. 목표, 내용, 왜 공부하는 지 등이 담겨있죠. 이 강좌는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국제정세를 분석 평가하며, 최근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특히 2025년 1학기 현재 진행 중인 국제문제에 대한 분석과 함의 파악을 통해 나름대로 국제관계를 보는 시각(觀)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신문스크랩 과제를 수행하며, 세력균형이론, 세력전이이론, 통합이론, 상호의존이론, 지정학, 장주기론, 핵 억지이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을 다룬다. ..

<바이든 행정부>의 라스트 댄스 – 대중(對中) AI 반도체 규제(1.13)

1월 13일 미국 는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포괄적 수출 제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는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주도한 것인데,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규정을 확정 발표한 것입니다. 내용을 보면 미국의 동맹국(19개국), 적성국가(22개국), 기타 국가로 3분해 체계적으로 규제 조치를 시행하겠다는 것이죠. 여기서 동맹국은 19개국으로 한국, 일본, 호주,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핀란드, 이탈리아, 아일랜드,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스페인, 스웨덴, 대만, 영국, 노르웨이, 미국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반면에 적성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을 보면 당연히 중국이 들어가 있고 홍콩, 마카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밖에 러시아, 북한, 이란, 베네수엘라, 시리아, 이란, 쿠..

<2025년 주요국 정상들과 CEO의 신년사>

2025년 새해를 맞아 주요국 정상들은 신년 인사를 하죠. 소위 신년사입니다. 중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등 주요 정상들이 어떤 연설을 하였는지 탐구해 봅니다. 는 새해를 맞아 최고지도자들이 그 나라 현 상황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미래 비전을 제시하죠. 주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소망을 담아 대내 통합을 이루려고 하지요.​먼저 중국 시진핑(Xi Jinping) 국가주석의 경우, 을 제1순위로 내세웠네요. 현재 중국 경제 사정이 좋지 않음을 시사하면서 노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자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죠. 국내외 환경 변화에 잘 조응해 나가면서 ‘고품질 발전’을 착실히 추진해 왔음을높이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대만통일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빼놓기 않고 언급했네요.  러우전쟁 3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IPE 정세: <영국, CPTPP> 가입(12.15)

2024년 12월 15일 영국이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에 가입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탐구해 봅니다. 영어로 CPTPP인데풀어쓰면 Comprehensive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이네요. - 포괄적, Comprehensive,- 점진적 협정, Progressive Agreement,- 환태평양 동반자, Trans-Pacific Partnership 인 셈이죠. 근데, 이에 영국이 가입했다 네요. 영국은 브렉시트(Brexit)를 한 나라이고 유럽권에 있는데.. 처음으로 다른 지역에 있는 나라가 가입한 것입니다. 첫 사례이자 신기록인 셈이죠. 세계가 점차 자유무역과 공정무역을 멀리하고 보호무역주의로 가는 상황인데 영국은 ..

IPE(국제정치경제) 정세 : <디지털 테크>

최근 AI(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경쟁이 가열 찹니다. AI 음성시장, AI 비서, AI 영상, AI 안보 등등. 챗(Chat) GPT가 불어온 일상에서의 변화이죠. 오픈소스로 배포된 주요 음성 AI 모델과 경쟁을 탐구해봅니다.  이는 국제정치 영역 중에서 국제정치경제(IP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분야와 접맥이 됩니다. 몇 개의 핵심어만 익혀도 도움이 될 듯해서 살펴봅니다. 하면, 누구나 무료로 소스코드에 접근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무료라는 이점을 갖고 있어 많이들 접근하며, 이를 통해 선점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죠. 더 나아가 기술 표준화를 이루는데도 도움이 되구요. LLM(거대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의 경우 AI ..

<중국 + 10개 국제경제기구> 대화(베이징, 12.10)

2024년 12월 10일 중국은 10개의 국제기구 대표를 초청해 대화를 개최했습니다. 어떤 기구가 참여했고 함의는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아래의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민대회당에 모인 10개 국제경제기구 대표들과 함께한 모습입니다. 요즈음은 다양한 회의체가 있죠. G7, G20, C5+1, 2+2 등이 대표적이죠. 2+2 의 경우, 외교부와 국방부 장관이 모입니다.C5+1의 경우, C5는 중앙아시아 국가 5개를 의미합니다.최근에는 미국, 중국, 일본이 이와 같은 회의를 진행했죠. 이번의 Dialogue는 10개의 국제기구 수장들이 중국(1)과 만나는 것을 지칭합니다.그만큼 중국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이 커졌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번에 참석한 주요 국제경제기구는 무엇일까요? - 신개발은행(..

(학습자료)<1,000일을 넘긴 러우전쟁>, 국제정치적 함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11월 19일을 기점으로 1,000일이 지났습니다. 예상보다 긴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으며, 여전히 국제안보환경과 국제질서 재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이지요. 러우전쟁은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는 지 간략히 탐구해 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위상과 의미는 ‘역사적 전환점’과 ‘신냉전의 가시화’로 집약됩니다.역사 이래로 시대적 국제환경과 국제체제의 변화, 그리고 항상 세계적 전쟁 이후에는 이 이뤄졌습니다. 러우전쟁은 이의 연장선에 위치하고 있는 겁니다.​2014년 크름반도 병합 이후에 러시아는 G8에서 퇴출되었지요. 또한 미국을 위시한 서방측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본격화하였습니다. 당시 이는 강대국이 2차 대전 이후 처음으로 영토를 강제 병합한 것으로 를 ..

미-중, <첨단기술> 패권 경쟁?

10월 28일(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을 발표했습니다. 국제정치경제(IPE) 시각에서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이번에 발표된 행정명령의 이름은입니다.매우 길죠. 원래 2023년 8월 9일에 바이든 대통령이 발표한 를 실행하기 위한 최종 규칙을 담은 것입니다.는 공식 명칭이 입니다.​* 이는 백악관 홈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presidential-actions/2023/08/09/executive-order-on-addressing-united-states-investments-in-certain-national-security-technologies-and-products-in-countries-of-conc..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