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미중 패권경쟁 19

WP, 트럼프 행정부 ‘국방 잠정 전략 지침’ 보도(3.29)

2025년 3월 29일자 워싱턴 포스트(WP)는 9쪽 분량의 문서, (Interim National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 대해 보도했습니다.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중국에 대한 군사적 대응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군사 대응의 우선순위를 에 한정해 재조정한 것이죠. 즉 중국의 대만 침공 억제 및 미국 본토 방어에 초점을 두고 그 외의 다른 전장에서 위험을 다소 감수하려는 내용이죠. 이를테면 러시아, 북한, 이란 등의 위협에 대한 대응을 에게 맡긴다는 것이죠. 이는 당사국들의 방위비 증액을 가져오고 국방력도 스스로 강화해 나가야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

2025 보아오포럼(Boao Forum) 개최(3.25-28)

2025년 3월 25일부터 28일까지 중국 보아오(Boao)에서 보아오포럼이 개최되고 있습니다.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알려져 있죠.중국의 대외정책 방향과 지식인들의 세계정세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합니다. 이번 2025년도의 대주제는 입니다. .중국이 최근 어떤 관심을 갖고 있는지 추론해 볼 수 있죠. * 소주제를 보면, 4개로 나눠져 있는데, -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신뢰 구축 및 협력 촉진,- 포용적 개발을 위한 세계화 재균형,-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가속화,- 혁신 추동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AI) 적용 및 거버넌스 강화입니다. * 영어로는, 이렇게 표기되어 있네요.- Building trust and promoting cooperation in a fast-changing ..

최근 국제정세 이해를 위한 <읽기자료> 3개

최근 국제정세의 변화와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글 3편을 소개합니다. 1. 윤영관이 본 트럼프와 세계 이 글은 윤영관 전 외교부장관이 중앙일보에 기고한 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대국 정치의 판도라 상자를 열었다고 평가하고, 힘에 의한 국제정치가 펼쳐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동맹을 패싱하고 강대국 우선을 당연시 하는 것이지요. 이는 미국이 지난 80년간 만든 세계질서를 버리는 것과 같다고 하네요. 국제규범을 정면으로 위반한 러시아를 편들고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배제한 채 러시아와 협상하고 있는 점을 꼽고 있습니다. 2월 28일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면전에서 “당신을 카드가 없다”는 말을 공개적으로 했죠. 이러한 강대국 정치에서 한국의 생존법은 무엇일까요. 필자는 미중 패권경쟁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2025.2.24.), 함의와 시사점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러우전쟁이 3년이 되었습니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종전 논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요. 러우전쟁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와 시사점을 탐구해 봅니다. 먼저 러우전쟁의 국제정치적 함의와 성격을 살펴보죠. 러우전쟁은 두 가지의 중요한 위상과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나는 역사적 전환점을 이룬 것이며, 또 하나는 신냉전의 가시화를 가져온 것이지요. 즉 가치, 체제 중심의 진용 구축 경쟁이 심화되는 계기를 만든 것입니다. 하나, 무엇보다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이 현실화된 사례에 해당됩니다. 이는 글로벌 질서 재편을 둘러싼 미·EU·중·러 간 전략·패권 경쟁의 연장선에 위치하고 있죠. 크게는 2014년 러시..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시사점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성격은 미중 패권과 전략경쟁, 세력권(sphere of influence) 확대와 진영화, 다극화, 다극체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각이 이뤄지고,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 창출 노력이 전개 중 등으로 집약됩니다. 여기서 진영화를 이루는 주요 모습은 쿼드(Quad, 미국, 호주, 인도, 일본), 오커스(AUKUS, 미국, 영국, 호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IPEF), 브릭스(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등으로 나타나고 있죠. 수많은 게임체인저(game changers)가 동시에 작용하고, 상대적 국력 변화와 국가 성쇠의 전환점이기도 하죠. 국가발전..

딥시크(DeepSeek), 미-중 AI 패권 경쟁 불붙이다.

2025년 1월 20일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 고효용의 새로운 생성형 모델 R1을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오픈AI의 o1(오원)에 비해 성능이 뒤처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죠. ​이로 인해 엔비디아를 비롯해 전 세계 AI 관련 증시가 들썩였으며,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고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국제정치경제적 함의를 탐구해 봅니다. 이제 새로운 국제정치경제의 용어로 와 (梁文峰, Liang Wenfeng)을 기억해야겠습니다. 이는 와 (Samuel Altman)을 기억하는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딥시크는 2023년 7월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인데, 딥시크 R1이 몰고 온 파장은 쉽게 사그러지지 않을 듯합니다. 왜냐하면 이에는 (Sputnik Moment)..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1.15)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국방장관, 국무장관 등 주요 장관들에 대한 인사청문회(hearing)가 시작되었습니다. 2025년 1월 15일에는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주관했는데, 어떤 얘기가 진행되었는지 탐구해봅니다.마코 루비오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후보자마코 루비오 청문회Marco Rubio마모 루비오, 대중 강경론파미국에서의 청문회(hearing)는 매우 엄격하과 매우 자세한 내용을 다루면서 진행되지요.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펼치게 될지 미리 가늠해볼 기회를 갖습니다.​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의 경우도 마찬 가지겠지요. 전체적인 내용은 미국..

D. Trump의 최근 행보 –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 왜?

2025년 1월 20일 2기 출범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가 그린란드와 파나마 운하(Panama Canal)에 대해 도발적인 언사를 쏟아내고 있네요. 속내가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는 12월 25일 자신이 소유한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중남미에 위치한 파나마 운하의 반환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주파나마 대사로 미우선주의자(America First)로 알려진 케빈 마리노 캐브레라(Kevin Marino Cabrera)를 지명했습니다. https://edition.cnn.com/2024/12/25/politics/kevin-marino-cabrera-trump-ambassador-panama-canal/index.html Trump names ambassador to Panama a..

[학습자료] <북러 밀착 연구> 관련 참고자료

북러 밀착이 진행되고 있죠. 이에 대해 보다 깊게 공부하고 연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제일 중요한 것은 이죠. 관심 사안과 주제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이와 관련해 궁금한 점을 질문해 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주제와 연관된 하고 읽습니다. 아주 중요한 단계입니다. 읽으면서 그 분야의 지식도 쌓고 생각도 정리하는 것이지요.그 다음에는 나름대로의 를 하고, 여러 생각을 통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는 단계에 까지 이르게 됩니다.지식을 축적하는 것이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자 그러면~이번 에서는 자료의 에 중점을 두어 봅니다.​오늘은 간략히 자료 수집와 읽기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점을 를 통해 제시해 보니 참고하세요.사례의 주제는 이며,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강의자료) 2024년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

2024년 금년도 이제 한 달여 남았네요. 지구촌 국제정세의 모습도 미중 패권과 전략경쟁, 러우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치러지는 가운데 전개되었습니다. 큰 맥락에서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을 모아봅니다. * 시기별로 정리해 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황(2022년 2월 24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3년 10월 7일~)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네요.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러우전쟁의 조기 종식을 공언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당선되어 앞으로 어떻게 풀어나가게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죠. 오히려 전쟁터에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더욱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협상에 이르기 전에 한 뼘이라도 더 영토를 차지하려고 하는 것이죠. * 2024년도 국제정치 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