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미중 패권경쟁 28

2025 나토(NATO) 정상회의(6.24-25) – The Hague Summit Declaration

2025년 6월 24일과 25일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된 나토 정상회의가 막을 내렸습니다. 탐구해 봅니다. 첫째는 유럽 나토회원국이 2035년까지, 즉 10년 안에 방위비 지출을 GDP의 5%까지 올리겠다고 합의하였다는 점입니다. 5%는 두 개로 나눠지죠. 3.5%는 무기 구입 등 군사력 증강에 사용되고, 나머지 1.5%는 군사 인프라에 사용된다는 것이죠. 이는 현재 나토 사무총장인 마크 뤼터(Mark Rutter)가 준비해 설득해 온 내용이기도 합니다. 어쨌든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것이 반영된 것입니다. 이제 미국은 우호적인, 온화한 세계 경찰의 역할을 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예전과 다르게 능력도 부치고.. 트럼프 행정부 미국은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고 제압해야하는 것이 제일 우선순위에 두고 있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카자흐스탄 방문(6.16-17)/ 제2차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

2025년 6월 17일(화)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이 모여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공교롭게도 캐나다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날과 겹쳐 중국의 행보가 주목을 끌었습니다. 미중 간 패권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일종의 대미 영향권(sphere of influence) 경쟁 측면이 아닌가하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1344350 G7에 맞불 … 시진핑, 중앙亞와 정상회의 - 매일경제習, G7 기간에 카자흐 방문17일 중앙亞 5국과 정상회의美패권 맞서 신흥국과 밀착관세전쟁 비판 목소리 낼듯www.mk.co.kr 이번은 제2차에 해당됩니다. 1차는 2023년 5월 중국에서 개최되었습니다.* 2023년 행사와 관련된 내용은..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 미국 국방장관, 샹그릴라 대화(Shangri-La Dialogue) 연설(2025.5.31.), 국제

2025년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에서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 미국 국방장관이 36분 정도 연설을 하였습니다. 어떤 내용을 다뤘으며, 어떤 함의를 지녔는지 탐구해 봅니다. 오늘 은 조금 깁니다. 그만큼 여러 가지를 살펴보아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먼저 연설이 36분 정도 되었는데, 현장에서의 분위기와 감각을 느끼기 위해 직접 연설하는 영상을 시청해 보길 권합니다.요즘은 멀리 떨어져 있어도, 현장에 바로 참석한 느낌을 가질 수 있죠. 올백 머리를 하고, 물도 마시고, 힘주어 연설하는 모습과 내용 전달하는 것 등등...두루 두루 살펴보면서, 여러 가지를 직접 느껴보길 바라는 겁니다. 물론 강의 시에도 영상을 참고자료로 직접 활용합니다. 이는 팩트이거든요. * 동영상 시청: 피트 헤..

[읽기자료] 할 브랜즈(Hal Brands) 미국 존스 홉킨스대 석좌교수, 인터뷰

최근 미국과 중국 사이에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제정치경제(IPE) 정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읽기자료]를 소개합니다. 할 브랜즈(Hal Brands)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교 석좌교수의 인터뷰 기사입니다.할 브랜즈 교수는 2022년에 하는 책을 저술하였으며, 중국의 구조적 취약성을 지적하는 한편, 미-중 간 충돌 가능성을 예고하였습니다. * Danger Zone: The Coming Conflict with China(2022).(Hal Brands and Michael Beckley) 이번 인터뷰에서는 먼저 어떤 질문이 이뤄졌는지가 중요해 보이며, 이에 대한 대답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인터뷰 형식이니 Q&A 방식으로 되어 있죠. 질문의 경우 독자 여러분 스스로도 생각해..

미중 관세 협상: 145%/125%에서 30%/10%로, 90일 간 유예(5.12)

2025년 5월 12일(월) 미국과 중국은 지난 이틀 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통상회의를 한 끝에 상호 관세를 115% 낮추고 90일 간 유예하기로 합의하였다고 공동 발표했습니다. 5월 10일과 11일 간 진행된 이번 회의는 미국과 중국이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에 대해 어떤 결과를 도출해 낼지 주목을 끌었죠. 트럼프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은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자칫 글로벌 경제 침체를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되었으니까요. ​또한 관세폭탄으로 인해 한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 캐나다, 호주 등 주요국 모두가 미국과의 통상협상에 대응을 어떻게 해 나가는가 하는 점이 중요했기 때문이지요. 주요 내용을 보면,역시 상호 높은 관세로 주고받았던 것을 예상보다는 크게 ..

미-중, 스위스에서 관세전쟁 한판 승부(5.10), 기대해도 될까~

2025년 5월 10일 스위스에서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과 허리펑(He Lifeng) 중국 국무원 부총리 간 회담이 있을 예정입니다. 어떤 함의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미-중 간 서로 주고 받은 관세율이죠. 이렇게 되면 사실상 양국의 무역은 단절되는 것이나 다름없죠. 결국 조속한 시일내 만나서 합의점을 찾아야 합니다. 근데, 세계질서의 주도권을 놓고 싸움을 벌이는 입장에서 이 중요하죠. 서로 물러날 수 없는 체면치레를 하다가, 결국은 제3의 장소인 스위스에서 만나기로 한 겁니다. 물론 이번 회동으로 모든 게 한꺼번에 정리될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함께 자리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고, 서로 탐색전을 벌이며 전초전의 성격을 띨 것으로 보입니다. ..

[강의자료] 조르지아 멜로니(Giorgia Meloni) 이탈리아 총리, 미국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4.17, 워싱턴)

2025년 4월 17일(목)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멜로니 총리는 극우 정당인 ‘이탈리아의 형제들’ 대표인데, 주목할 것은 극우성향을 지녔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먼저 정상회담을 가진 유럽 정상이기도 합니다. 이번의 경우 시기적으로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이 진행 중에 미국을 방문한 것이라 주목을 끌었죠. 트럼프 행정부는 유럽연합에 20%의 관세를 부과했고, 지금은 90일간의 유예기간 중에 있는 상태이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번 방문을 통해 멜로니(Meloni) 총리는 유럽연합(EU)과 미국 간의 중재자 역할 또는 트럼프를 설득해 보려는 의도가 강했겠지요. 둘 사이의 친분도 돈독해서, 일정정도 기대..

[강의자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동남아 순방(2025.4.14-18), 왜 지금 시점에.. 국제정치적 함의는

2025년 4월 14일(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트남을 방문해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이를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탐구해 봅니다. 가장 큰 배경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145%의 관세를 부과하였고,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역시 미국에 대해 125%의 관세 부과로 맞대응하였죠. 이에 더해 비장의 무기인 희토류의 수출 중단 조치도 하였습니다. 두 초강대국이 국제질서 재편의 주도권을 놓고 을 하고 있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이제 공은 중국에게 넘어갔으니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협상하기 위해 나서라고 채근합니다. 중국은 이에 아랑곳 않고 전열을 가다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것 중의 하나가 4월 14일부터 18일까지 예정된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방문입니다...

중국, 대만 봉쇄 겨냥 군사훈련(2025.4.1~2)

중국은 4월 1일 대만 주변 해역을 포위하는 군사훈련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0월 “연합훈련 리젠(利劍, 날카로운 칼)”란 이름으로 실시한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이뤄진 것이죠.대만의 독립 주장을 둘러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며, 미국의 대만에 대한 안전보장 문제와도 연계되어 있죠.동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단층대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대만해협은 남중국해와 더불어 중동으로부터 석유 등 물자 이동이 이뤄지는 핵심 해상교통로(SLOC)이기도 합니다. 유관국들로는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 필리핀, 한국, 일본도 포함되죠. 이번 훈련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와 같은 훈련이 상시화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며, 바로 며칠 전인 3월 29일 워싱턴..

WP, 트럼프 행정부 ‘국방 잠정 전략 지침’ 보도(3.29)

2025년 3월 29일자 워싱턴 포스트(WP)는 9쪽 분량의 문서, (Interim National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 대해 보도했습니다.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중국에 대한 군사적 대응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군사 대응의 우선순위를 에 한정해 재조정한 것이죠. 즉 중국의 대만 침공 억제 및 미국 본토 방어에 초점을 두고 그 외의 다른 전장에서 위험을 다소 감수하려는 내용이죠. 이를테면 러시아, 북한, 이란 등의 위협에 대한 대응을 에게 맡긴다는 것이죠. 이는 당사국들의 방위비 증액을 가져오고 국방력도 스스로 강화해 나가야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