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4월 1일 대만 주변 해역을 포위하는 군사훈련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10월 “연합훈련 리젠(利劍, 날카로운 칼)”란 이름으로 실시한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이뤄진 것이죠.
대만의 독립 주장을 둘러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며, 미국의 대만에 대한 안전보장 문제와도 연계되어 있죠.
동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단층대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대만해협은 남중국해와 더불어 중동으로부터 석유 등 물자 이동이 이뤄지는 핵심 해상교통로(SLOC)이기도 합니다. 유관국들로는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 필리핀, 한국, 일본도 포함되죠.
이번 훈련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와 같은 훈련이 상시화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며, 바로 며칠 전인 3월 29일 워싱턴 포스트(WP)를 통해 보도된 미국의 <국방 잠정 전략 지침>(Interim National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 포함된 내용 때문이죠.
바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대만 침공과 본토 방위에 최우선을 두기로 하고 유럽, 중동, 북한 문제 등에 대해서는 동맹국들이 직접 군사적 부담을 지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중국의 입장에서 보다 미국이 대만 수호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했기에 매우 불편했겠죠.
이에는 TSMC가 있는 대만의 지경학적 측면과 전략적 가치도 포함되었을 것이며, 미중 간 미래 첨단기술과 반도체 패권경쟁도 연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새로운 무기의 배치와 훈련 내용 등 이와 관련된 몇 개의 뉴스를 참고해 보면 좋겠습니다. 4월 2일에는 구체적으로 이번 훈련의 제목을 ‘해협 레이팅(雷霆, 천둥)-2A’로 명명했다고 하네요.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2042051083?section=search
中 '대만포위훈련' 이틀째…"주요 항구·에너지 모의목표 타격"(종합) | 연합뉴스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군이 2일 반년 만에 벌인 '대만 포위' 훈련을 이틀째 지속했다.
www.yna.co.kr
https://apnews.com/article/china-taiwan-military-drills-56a39e0044657c0a74482184895e6bed
Chinese military conducts large-scale drills around Taiwan
The Chinese military has conducted large-scale drills around Taiwan as it again warned the self-ruled island against seeking formal independence.
apnews.com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5/apr/01/china-launches-surprise-military-drills-around-taiwan
China launches surprise military drills around Taiwan
Taiwan says it has detected nearly 20 vessels off its coast as Beijing orders large scale sea and air exercises and calls leaders in Taipei ‘parasites’
www.theguardian.com
* 참고로, 중국과 대만 간 양안문제와 관련해 학술적으로 다룬 글을 몇 편 소개하니 참고하세요.
- 김진호, “양안관계와 동아시아 국제관계 – 양안과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9(2)(2024.6), pp.71-93.
- 신원우. “양안 군사 충돌 가능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양안 경제협력 관계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제27권 제4호, (2024.11), pp.171-185.
- 김중섭, 공유식. “대만과 남중국해 분쟁 – 중재 재판, 주권논쟁과 양안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9(1), (2025.1), pp.157-177.
- 김의, 김지운. “러우전쟁 발발 이후 미중의 양안관계 인식.” [중국과 중국학], 54, (2025.1), pp.119-151.
- 윤상용. “미국의 군사개입정책 변화와 양안 분쟁 개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타이완의 지정학적 시사점과 전략적 딜레마.” [국제정치연구], 27(4), (2024.12), pp.95-124.
- 왕신셴. “미중 전략 경쟁 속 양안관계.” [관훈저널], 65(4), (2023.12), pp.169-186.
미국은 이번 훈련과 관련해 “무력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 반대”라고 표현하면서 비판적 입장을 피력했습니다.
미중 패권경쟁의 연장선에 동아시아 지정학적 단층대의 향배에도 주목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토 32개국+IP4 외교장관 회의(4.4, 브뤼셀) (5) | 2025.04.05 |
---|---|
(강의자료) 국제정세 분석을 위한 접근법 - paradigm (1) | 2025.04.03 |
[강의자료] 눈으로 살펴보는 국제정치경제(IPE) - 현실주의 시각 (2) | 2025.04.01 |
WP, 트럼프 행정부 ‘국방 잠정 전략 지침’ 보도(3.29) (4) | 2025.03.31 |
2025 보아오포럼(Boao Forum) 개최(3.25-28) (3)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