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전체 글 324

[강의자료] 눈으로 살펴보는 국제정치경제(IPE) - 현실주의 시각

이번 에서는 국제정치경제의 접근법의 하나인 현실주의 시각을 눈으로 읽어보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봅니다. 강의 주교재로 삼고 있는 을 참고하였습니다.PDF 파일로 정리하였으며, 탑재한 참고자료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며 살펴보길 바랍니다. 국제정치경제의 접근법에는 3가지가 있는데, 현실주의 시각, 자유주의 시각, 맑스주의 시각이 있습니다. 물론 이는 강조하고 주장하는 학자들에 따라 다릅니다. 크게 보아 이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 3가지는 세부적으로 각각 패권안정이론, 죄수의 딜레마와 국제협력의 이익, 그람시적 분석과 연계되어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핵심은 현실주의(realism)의 기본 가정인 국제체제는 무정부상태이며, 가장 중요한 행위자가 국가이며, 바로 이 국가는 합리적 행위자라는 것이..

WP, 트럼프 행정부 ‘국방 잠정 전략 지침’ 보도(3.29)

2025년 3월 29일자 워싱턴 포스트(WP)는 9쪽 분량의 문서, (Interim National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 대해 보도했습니다.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중국에 대한 군사적 대응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 국방부가 군사 대응의 우선순위를 에 한정해 재조정한 것이죠. 즉 중국의 대만 침공 억제 및 미국 본토 방어에 초점을 두고 그 외의 다른 전장에서 위험을 다소 감수하려는 내용이죠. 이를테면 러시아, 북한, 이란 등의 위협에 대한 대응을 에게 맡긴다는 것이죠. 이는 당사국들의 방위비 증액을 가져오고 국방력도 스스로 강화해 나가야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

2025 보아오포럼(Boao Forum) 개최(3.25-28)

2025년 3월 25일부터 28일까지 중국 보아오(Boao)에서 보아오포럼이 개최되고 있습니다.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알려져 있죠.중국의 대외정책 방향과 지식인들의 세계정세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합니다. 이번 2025년도의 대주제는 입니다. .중국이 최근 어떤 관심을 갖고 있는지 추론해 볼 수 있죠. * 소주제를 보면, 4개로 나눠져 있는데, -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신뢰 구축 및 협력 촉진,- 포용적 개발을 위한 세계화 재균형,-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가속화,- 혁신 추동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AI) 적용 및 거버넌스 강화입니다. * 영어로는, 이렇게 표기되어 있네요.- Building trust and promoting cooperation in a fast-changing ..

러시아-우크라이나 흑해 휴전 합의(3.25)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에서의 안전 항해 보장을 포함해 부분 휴전을 하는데 합의하였습니다. 물론 양국 당사자가 직접 만나 논의한 것은 아니고, 미국이 중간에 러시아, 우크라이나를 따로 만나 합의를 이끌어 낸 것입니다. 장소도 제3의 장소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이뤄졌습니다. 3개국 대표단이 같은 호텔에 머무르면서 회의를 진행했죠. 위의 사실 파악도 중요하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분석 할까요~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탐구해 봅니다. 1. 먼저 이전까지 진행되어온 과정과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겠죠.2. 다음에는 어떤 내용이 합의되었는가가 중요하며,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협상에 임하는 입장과 전략을 파악해야 합니다. 물론 이와 연계된 파급3. 부분 휴전의 의미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

지금 세계 저편에서는..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사진으로 읽어 보는 국제정세입니다.아래의 왼쪽 사진은 중동 위의 튀르키예의 모습이고, 오른쪽은 북미 캐나다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2025년 3월 25일 현재 튀르키예는 시끌벅적합니다. 며칠전 다음번 대통령 선거에 나올 유력한 야당 인사를 체포했기 때문이죠. 에크렘 이마노을루 이스탄불 시장입니다. 이마노을루 시장은 3월 23일 치러진 제1 야당 경선에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누가 체포하라고 지시했을까요. 다름 아닌 현재 대통령으로 있는 에르도안(Erdogan)이겠죠. 에르도안 대통령은 총리 등도 역임하며 이미 22년째 튀르키예를 통치하고 있습니다. 중간에 헌법을 바꿔 대통령 중심제로 만들었고, 대선에 출마해 지금에 이르죠. 지난번 2023년 선거에서는 아슬아슬하게 3연임에 성공했죠.​다음 선거는..

한국국제정치학회 동향(2025.04) - <한국의 자체 핵무장> 관련 논의

2025년 4월 10일(목)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한국정치학회와 통일평화연구원이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이는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창립 19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회의이기도 합니다.주제가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반영하고 있어 소개합니다. 모두 3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대주제는 입니다.트럼프 집권 2기 출범과 함께 변화되는 국제질서 재편 움직임 속에서, 이제 한국의 자체 핵무장 논의를 다뤄볼 상황이 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각 세션의 주제는 1세션 ,2세션 ,3세션 입니다. 발표된 논문 제목만 보아도 어떤 부문에 중점을 두고 다루는지 알 수 있죠.총 12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 ,,,, ,,, 등입니다.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들이 발표되며, 미래 한국의 안보 문제..

2025 중국발전고위급포럼(CDF)(3.23-24)

2025년 3월 23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중국발전고위급포럼(CDF) 행사가 성대히 열렸습니다. 무엇보다 전세계의 내놓으라하는 글로벌 기업 CEO들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지요.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를 지녔는지 탐구해봅니다. 2025년 4월 2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무역적자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상태입니다. 트럼프 2.0의 시대를 맞아 국제정치경제 환경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죠. 각국 정부와 기업들도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배경 하에 3월 23일부터 24일까지 열리는 중국발전포럼(China Development Forum)이 개최된 것이죠. 매년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끝난 뒤 개최되는 중국발전포럼은 중국 국무원이 주도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3.18)

2025년 3월 18일(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하고 에너지와 인프라 부문에서의 공격을 멈추는 제한된 휴전(limited ceasefire)에 합의를 하였습니다.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개시된 이래 1118일 만에 임시적이지만 부분 휴전을 하게 된 겁니다.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되지만 그래도 일단 종전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는 점만으로도 의미가 있죠. 이번 미러 정상 간 통화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이뤄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뤄진 것이죠.지난 2월 12일에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적 있었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고, 2월 18일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때 미..

(학습자료) 마크 카니(Mark Carney) 총리, 프랑스와 영국 순방(3.17)

2025년 3월 9일 캐나다의 자유당 대표로 마크 카니(Mark Carney)가 당선되었습니다. 그리고 3월 15일 캐나다 총리로 취임했습니다. 이틀 뒤 취임 후 처음으로 해외 순방에 나섰는데, 그 나라가 관심을 끕니다. 프랑스와 영국입니다. 관심을 끈 이유는 미국이 아니었기 때문이죠. 캐나다는 미국과 접경하고 있고 가까운 나라이니 당연히 해외순방에서도 1순위에 속했을 텐데.. 이번에는 아니었네요. 그만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캐나다에 대한 관세 폭탄 투여와 미국의 51개주 운운 등 불편한 점이 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죠. 3월 17일 카니 캐나다 총리는 프랑스를 방문해, 마크롱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카니 총리는 "캐나다는 유럽이 아닌 나라 중 가장 유럽적인 나라라고 하면서 캐나다는 프랑..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의지의 연합(Coalition of Willing)

최근 러우전쟁 종식과 관련해 영국과 프랑스가 주도하고 있는 (Coalition of Willing)에 대해 탐구해 봅니다. 2025년 3월 2일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는 런던에서 열린 EU 특별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을 실행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당시 정상회의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지속과 대러 경제 압박 계속 증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안보 보장 및 평화회담에의 우크라이나 참여, 의지의 연합 실행 등 4가지 사항에 대해 합의하였습니다. https://www.bbc.com/news/articles/c9vygkzkkrvo Starmer: Coalition of willing to guarantee Ukraine peaceThe UK prim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