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싱크탱크 11

(강의자료)<존 칩먼 IISS 이사장> 인터뷰(1.23, 다보스)

2025년 1월 23일 존 칩먼(John Chipman) IISS 이사장이 손현덕 매일경제신문 대표와 만나 인터뷰를 했습니다. 2025년 다보스포럼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인터뷰할 기회를 잡았네요. 외교안보 부문 싱크탱크 관련 내용도 소개할 겸 탐구해 봅니다. IISS는 잘 알파시피 영국의 아주 저명한 외교안보 싱크탱크이죠. 국제전략문제연구소로 1958년도에 창설되었습니다. 우리 나이로는 67세쯤 되었네요. 영어로는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입니다. 군사안보 부문을 분석할 때 꼭 참고해야 할 자료인 “The Military Balance” 책자를 간행하는 연구소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매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리는 >(아시아 안보회의)를..

러시아, <Global Affairs> (2024. Oct./Dec. No.4) 소개

미국에 가 있다면, 러시아에는 가 있습니다. 최근에 간행된 Global Affairs (2024년 10월-12월호, No.4.)에 실린 글들을 소개합니다.이 저널은 러시아의 전문가와 국제정치 분야 지식인들이 요즈음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구성은 으로 표도르 루키야노프(Fyodor A. Lukyanov)의 글 를 맨 앞에 위치시켰네요. 그리고 세부 주제로, - The Cost of Security, - Engagement and Challenges- Old and New Thinking- Old and New Games 등 4항목을 다루고 있네요.​* 우리말로 풀어보면 - 안보의 비용- 관여와 도전- 신(新)·구(舊) 생각(思考)- 신(..

<국제정세 분석>-Think Tank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정세 분석을 하는데 보탬이 되는 국내 싱크탱크 한 곳을 소개합니다.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입니다. [국립연구원]은 국제문제와 한반도 관련된 최근 현안을 심층적으로 분석, 평가하는 글을 발간합니다. 이에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관심이 있다면.. 반려견, 반려묘 처럼 늘 곁에 두고 관심 있게 방문해 봐야 합니다.특히 외교관을 꿈꾸는 분들은 필수과목 처럼 반드시 심층있게 접해야 하는 싱크탱크입니다. ​국내 든 해외든 여러 싱크탱크들을 방문해 게재된 연구물과 그곳에서 개최하는 세미나 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을 직접 소통하며 토론하고 만나는 것과 같으니까요. 먼저 국립외교원 홈페이지를 방문해 이모저모 탐방해 보길 권합니다.https://www.knda.go.kr/usr/..

[읽기자료] <트럼프 2.0의 정책 전망과 대응>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하였습니다. 각축전이 예상되었던 7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모두 이겼으며, 선거인단(538명) 확보에 있어 최종적으로 312명 대 226명으로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전망을 비롯해 다양하게 분석·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의 정책 내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읽기자료] 몇 편의 글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미국 통상정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o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김종덕(무역통상안보실장) 외 7명이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제목은 (2024.10.31.)입니다.​목차는1. 미국의 ..

<이시바 시게루> 총리, <아시아판 나토> 구상

지난 9월 27일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자민당 전 간사장이 일본 자민당 총재 결선 투표에서 승리했습니다. 일본은 내각책임제라 다수당 총재가 총리가 되죠. 10월 1일에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 체제가 공식 출범 했습니다. 제102대 총리입니다. 물론 내각도 개편해 새로 출범하였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전에 방위상을 역임하는 등 안보 전문가로 알려져 있죠. 근데 총리가 되기 직전인 9월 25일 미국 허드슨연구소에의 기고문을 통해 창설 견해를 밝혀 주목을 끌었습니다. *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해야 할지 탐구해 봅니다. 순서는 대략적으로 이렇습니다. 물론 이것이 완벽한 정답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뉴스를 접하고 탐구해 보는 길을 살펴보려는 것이지요..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최근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원장 김준기)에서 “경제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산업, 문화, 안보의 융합”을 간행하였네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은 2021년 11월 서울대 대학본부 직할 연구시설로 설립하였으며, 이름 그대로 국가정책을 다루는 싱크탱크(think tank)입니다. 국가정책을 다루는 만큼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고, 총 7개의 클러스터로 되어있죠. - 민주주의 클러스터,- 팬데믹 클러스터,- 과학과 기술의 미래 클러스터,- 경제안보 클러스터,- 인구 클러스터,- 글로벌 한국 클러스터,- 탄소중립 클러스터입니다.​https://ifs.snu.ac.kr/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국가와 세계가 직면한 핵심 주제를 연구, 소통하는 클러스터 구성 운영합니다.ifs.snu.ac.kr이중..

국립외교원, <서울외교포럼 2024> 개최(9.5)

9월 5일(목) 한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 중의 하나인 국립외교원(원장 최형찬)에서 를 개최합니다. 포럼의 큰 주제는 “미국 주도 국제질서의 지속성과 변화”이며, 영문으로는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이네요. 기조 강연으로 “미국 주도 세계 질서의 미래”를 다루고 있고, 모두 제3회의와 종합 정리하는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영 동시통역도 제공한다네요.​어떤 학술회의나 포럼이든, 개별 회의 주제와 참석자들을 보면 행사 개최의 성격과 내용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죠.​먼저 국립외교원에서 개최하는 만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환영사를 하네요. * 특징적인 것은 총 3개의 회의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회의별로 특정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지금,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에서는?

영국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에서 최근에 무엇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지 탐구해 봅니다. IISS에서는 군사문제를 연구하는 전문가라면 반드시 참고해야할 책자 “The Military Balance”를 매년 간행하고 있죠. 가격도 비싸지만 그만큼 군사무문의 자료로서 국제적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것이지요. 2024년 8월 7일(수) 기준으로 홈페이지를 방문해 봅니다. 먼저 8월 2일자 [Online Analysis]로 “Fireworks over Hudaydah: assessing the strategic impact of Israel’s attack”이 주제 하에 분석한 내용이 눈에 띱니다.지난 7월 20일 실행된 이스..

세종연구소 간행, [국가전략](2024년 여름호)

한국의 대표적인 민간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에서는 학술지 [국가전략]을 계간으로 발간합니다. 년 4회(2/28, 5/30, 8/30, 11/30) 발간되며,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입니다.  가장 최근에 간행된 [2024년 여름호]에는 모두 5편의 논문과 1편의 서평이 담겨있네요.​저자와 연구물 주제만 살펴보아도, 현재 어떤 부문이 연구되고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지요. 해당 글들은 홈페이지에서 원문과 요약문 모두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습니다.​[여름호](제30권 1호)- 김정기.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전쟁지도체제 유형 변화와 특징.”- 구본윤, 마월. “북한 핵억제전략 메커니즘 연구 – 핵 억제의 보편성과 특수성 관점에서.”- 장하은, 유성흔. “북한의 인권 권고 수용 결정요인 분석: UN 보편적 정례인..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관계] 탐구의 팁(Tip)

[국제정치]와 [국제정세]를 탐구하는 데 있어 유용한 팁(Tip) 하나를 살펴봅니다. 하나는 유력 미디어 매체와 싱크탱크들이 개최하는 ‘포럼’(Forum)입니다. 싱크탱크(Think Tank)들은 수시로 세계적 저명한 전문가들을 초빙하거나, 본인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의와 대화 모임을 가지죠. 예전에 살펴본 다보스 포럼(Davos Forum)도 여기에 속하죠. 주로 최근 이슈와 동향, 미래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하는 실질적이고 유익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형식은 '포럼', '컨퍼런스', '대토론', '플랫폼', '세미나' 등 이름은 다양하죠. 수시로 각 나라별로 싱크탱크들을 파악하고, 주제와 참여자 등을 관찰하거나 대화 내용에 관심을 갖고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더군다나 요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