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정세 분석을 하는데 보탬이 되는 국내 싱크탱크 한 곳을 소개합니다.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입니다.

[국립연구원]은 국제문제와 한반도 관련된 최근 현안을 심층적으로 분석, 평가하는 글을 발간합니다. 이에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관심이 있다면.. 반려견, 반려묘 처럼 늘 곁에 두고 관심 있게 방문해 봐야 합니다.
특히 외교관을 꿈꾸는 분들은 필수과목 처럼 반드시 심층있게 접해야 하는 싱크탱크입니다.
국내 든 해외든 여러 싱크탱크들을 방문해 게재된 연구물과 그곳에서 개최하는 세미나 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을 직접 소통하며 토론하고 만나는 것과 같으니까요.
먼저 국립외교원 홈페이지를 방문해 이모저모 탐방해 보길 권합니다.
국립외교원
www.knda.go.kr
그러면서 꼬옥 찾아 봐야할 곳은 <외교안보연구소> 항목이며, <발간자료> 중에서도 [주요국제문제분석]에 관심을 가져보길 바랍니다.
최근에 나온 글로는,
- 송태은 조교수의 “사이버 위협 실태와 한국의 인태 사이버 안보 외교전략”(2024.10.29.).
- 이효영 부교수의 “미국 차기 행정부의 통상정책 전망과 시사점.”(2024.10.25.)
- 최우선 교수의 “북러 동맹과 한국의 정책.”이 있네요.
모두 최근 이슈들을 다루고 있죠.
보다 짧은 글로 빠르게 최근 현안을 다루고 있는 것은 [IFANS FOCUS]입니다.
이를테면,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전과 중국 정책전망(최우선, 2024.11.18.),
- 트럼프 당선 이후 미일관계 전망(조양현, 2024.11.15.),
- 트럼프 2기 대(對)아프리카 외교 전망(김동석, 2024.11.14.),
- 미국 트럼프 2.0 시대 대중남미 대외정책 영향과 전망: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하상섭, 2024.11.14.),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인도 관계 전망(조원득, 2024.11.14.),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동정책(인남식, 2024.11.14.),
- 트럼프와 푸틴, 그리고 우크라이나: 미국을 위한 단기 처방과 유럽 안보 후유증(전혜원, 2024.11.3.) 등이 있습니다.
시기적으로 트럼프가 11월 5일 당선된 지 불과 얼마 되지 않아 이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하고 있죠. 각 부문을 보면 우리의 대응방안도 다루고 있음도 알 수 있습니다.
잘 참고해 보길 바랍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자료) 2024년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 (3) | 2024.11.26 |
---|---|
COP29 (아제르바이잔, 바쿠) (3) | 2024.11.25 |
(강의자료)<2024 바이든·시진핑 정상회담>(11.16), 어떤 이야기가 오갔나? (0) | 2024.11.18 |
[읽기자료] 인공지능(AI) 관련, 국제정치 분야 연구물 (4) | 2024.11.16 |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 트럼프 당선 이후 부산한 외교 행보들 (7)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