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러시아 57

러시아-우크라이나 흑해 휴전 합의(3.25)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에서의 안전 항해 보장을 포함해 부분 휴전을 하는데 합의하였습니다. 물론 양국 당사자가 직접 만나 논의한 것은 아니고, 미국이 중간에 러시아, 우크라이나를 따로 만나 합의를 이끌어 낸 것입니다. 장소도 제3의 장소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이뤄졌습니다. 3개국 대표단이 같은 호텔에 머무르면서 회의를 진행했죠. 위의 사실 파악도 중요하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분석 할까요~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탐구해 봅니다. 1. 먼저 이전까지 진행되어온 과정과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겠죠.2. 다음에는 어떤 내용이 합의되었는가가 중요하며,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협상에 임하는 입장과 전략을 파악해야 합니다. 물론 이와 연계된 파급3. 부분 휴전의 의미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3.18)

2025년 3월 18일(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하고 에너지와 인프라 부문에서의 공격을 멈추는 제한된 휴전(limited ceasefire)에 합의를 하였습니다.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개시된 이래 1118일 만에 임시적이지만 부분 휴전을 하게 된 겁니다.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되지만 그래도 일단 종전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는 점만으로도 의미가 있죠. 이번 미러 정상 간 통화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이뤄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뤄진 것이죠.지난 2월 12일에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적 있었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고, 2월 18일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때 미..

미국-우크라이나, 종전 고위급 협상(3.11) 막전막후

2025년 3월 11일(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내용과 함의를 지녔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양측의 참석자는미국에서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Mike Waltz) 국가안보보좌관,우크라이나에서는 안드리 예르마크(Aneriy Yermak) 대통령 비서실장, 안드리 시비하 (Andrii Sibiha)외무장관, 루스템 우메로우(Rustem Umerov) 국방장관입니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 그간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지요. 먼저 2월 8일에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취임 후 처음으로 정상통화를 했습니다. 이어 2월 18일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

트럼프-젤렌스키 파행 이후, 유럽 긴급안보회의(3.2)

2025년 3월 2일(일) 영국 런던에서는 유럽 정상들이 모여 긴급 안보회의를 가졌습니다. 누가 참석했고, 어떤 주제를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  지난 2월 28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의는 양쪽의 설전 끝에 파행 모습을 보였지요. 이는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았고 앞으로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협상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유럽의 입장 차가 매우 커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바로 다음 날 런던에서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히 모여 안보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누가 참석을 해 어떤 논의를 하였는지 살펴봅니다. 앞으로 러우전쟁과 유럽 안보질서 재편을 놓고 벌이는 외교 무대의 들이기 때문입니다. 유럽권의 정상들이 거의 다 모였네요. 우선적으로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 결의안 놓고 미국-유럽 대서양 동맹 균열

2025년 2월 24일 유엔에서는 총회와 안보리 두 군데서 러우전쟁 3주년을 맞아 결의안을 각각 통과시켰습니다. 근데~ 뭔가 예전과는 다른 모습이 표출되었지요. 핵심은 이었죠. 어떤 내용과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유엔 안보리에서는 2월 24일 미국이 제안한 러우전쟁 관련 결의안을 찬성 10표, 반대 0표, 기권 5표로 가결 처리했습니다. 안보리가 러우전쟁 관련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처음입니다. 기권한 나라는 영국, 프랑스, 그리스, 덴마크, 슬로베니아 등 5개국입니다. 과거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했는데 이번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죠. 왜냐하면 내용 중에 러시아의 침략행위와 관련된 내용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대신 영국과 프랑스가 이에 기권표를 던지는 등 자유민주주의 진영에서 분열된 모습..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2025.2.24.), 함의와 시사점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러우전쟁이 3년이 되었습니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종전 논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요. 러우전쟁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와 시사점을 탐구해 봅니다. 먼저 러우전쟁의 국제정치적 함의와 성격을 살펴보죠. 러우전쟁은 두 가지의 중요한 위상과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나는 역사적 전환점을 이룬 것이며, 또 하나는 신냉전의 가시화를 가져온 것이지요. 즉 가치, 체제 중심의 진용 구축 경쟁이 심화되는 계기를 만든 것입니다. 하나, 무엇보다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이 현실화된 사례에 해당됩니다. 이는 글로벌 질서 재편을 둘러싼 미·EU·중·러 간 전략·패권 경쟁의 연장선에 위치하고 있죠. 크게는 2014년 러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막전막후 외교전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전화 통화를 한 뒤,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막전막후(幕前幕後)에서 벌어지는 외교전의 양상을 탐구해 봅니다. 전쟁을 끝내려면 협상을 해야 하고 휴전 또는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기반이 지난 트럼프-푸틴 전화통화를 통해 이뤄졌고, 종전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 졌습니다. 먼저 2월 14일에는 JD 밴스(Vance)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imi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뮌헨에서 모여 논의를 하였습니다. 또한 2월 18일 미국과 러시아 대표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바로 전날인 2월 17일에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2-1.18) - Issues & Key Words

2025년 1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12일부터 1월 18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 방한(1.13), △ 미국, AI 반도체 포괄적 수출 금지, △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타결, △ 러시아-이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1.17), △ 한국, 쿠바에 한국대사관 개설(1.17)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월 13일에는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성이 한국을 방문해 조태열 외교장관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한국의 국내 정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외교적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협력관계를 재확인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 체제의 지속해 가갈 것임을 확약하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같은 날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

<북러 긴밀화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

2024년 6월 19일 북한과 러시아는 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러우전쟁에 북한군을 파병하는데 까지 이르는 등 더욱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습니다. 최근 북러관계 긴밀화와 관련해 양국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을 탐구해 봅니다. 러시아의 대북 밀착은 크게는 친(親)러시아 진영 구축 차원에서 다극화된 국제질서로의 재편과 대미·NATO·서방 견제의 연장선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안보질서 재편에 있어 한·미·일 3각 협력 구도에 견제용으로 북한 카드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는 앞으로 동북아·한반도 지역에서 ‘한·미·일 대 북·러·(중)’의 갈등 내지 대결 구도가 더 심화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러시아 대북 밀착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이해를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러우전쟁 장기..

러시아, <Global Affairs> (2024. Oct./Dec. No.4) 소개

미국에 가 있다면, 러시아에는 가 있습니다. 최근에 간행된 Global Affairs (2024년 10월-12월호, No.4.)에 실린 글들을 소개합니다.이 저널은 러시아의 전문가와 국제정치 분야 지식인들이 요즈음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구성은 으로 표도르 루키야노프(Fyodor A. Lukyanov)의 글 를 맨 앞에 위치시켰네요. 그리고 세부 주제로, - The Cost of Security, - Engagement and Challenges- Old and New Thinking- Old and New Games 등 4항목을 다루고 있네요.​* 우리말로 풀어보면 - 안보의 비용- 관여와 도전- 신(新)·구(舊) 생각(思考)- 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