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2 - 러시아 정치-외교

Steve Witkoff, 4번째 러시아 방문 – 푸틴 대통령과 회담(4.25)

천상의꿈 2025. 4. 26. 20:57

2025년 4월 15일(금)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미국의 중동특사가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만나 러우전쟁 종식과 관련된 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여기에는 뉴스를 보고 이에 담긴 함의를 생각해 보는 방법도 포함됩니다.

www.bbc.com

 

국제정세를 분석 평가하는 데 있어 한 단계 수준 높은 사안으로, 한 번 더 생각하고 파악해 보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짧지만 핵심을 잘 파악하고 접근해 보기 바랍니다.

 

회의는 3시간 정도 걸렸다고 하네요. 통역을 포함하면 1시간 30분 정도 이야기 나눴을 것으로 추론됩니다.

 

러시아 측에서는 푸틴 대통령 이외에 유리 우샤코프(Yuri Ushakov) 크렘린 보좌관, 키릴 드미트리예프(Kirill Dmitriev) 러시아 국부펀드 대표가 동석했습니다. 좌청룡, 우백호 모양으로 외교안보와 경제 부문 핵심 실무진이 자리를 함께 한 겁니다. 실질적인 러우종전 협상이 이뤄지는 한 컷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크렘린에서도 짧은 영상으로 소개했듯, 푸틴 대통령이 영어로 인사를 나눈 것도 인상적입니다. (“How are you, Mr. President?”) - “Fine, just fine, thank you.”

 

사실, 최근의 상황은 비록 지난 3월 11일 30일 휴전에 동의했지만 잘 지켜지지 않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자기 입장만 두둔하는 경향이 강해 트럼프 대통령이 다소 짜증을 내며 중재자 역할 포기를 시사하기도 했죠.

 

어쨌든 이번 위트코프의 방러는 모두 전쟁의 피로감이 축적된 상황 속에서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도 미국의 분위기도 염두에 두면서 뭔가 조심히, 신중히 접근해야하는 상황 속에서 이루진 겁니다. 그래서 중요하죠.

 

1. 먼저, 이를 분석하는 데 있어, 세편의 뉴스를 읽어보기로 합니다.

 

2편은 연합뉴스의 보도이고, 1편은 영국 BBC 뉴스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25171400080?section=international/all

 

푸틴, 위트코프 美특사와 2주 만에 또 만나 | 연합뉴스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가 25일(현지시간) 2주 만에 또 러시아...

www.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50425167800081?section=international/all

 

"美, 크림반도·점령지 러 통제권 인정 우크라에 제안" | 연합뉴스

(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미국이 러시아의 크림반도 통제를 법적으로 인정하고 우크라이나 본토 점령지에 대한 러시아의 통제도 사실상 인정...

www.yna.co.kr

 

https://www.bbc.com/news/articles/c9dj4402qejo

 

Russia and Ukraine 'very close to a deal', says Donald Trump

The US president's envoy meets Vladimir Putin in Moscow, while Ukraine calls for more pressure on Russia.

www.bbc.com

 

2. 내용 속에 담긴 함의와 시사점 생각해 보기입니다.

 

전체적으로 무엇을 알고, 느끼고, 생각해보게 되었나요~~~

 

이를 통해 우리는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입장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쟁점사안으로 논의 중인 것도 알 수 있죠.

 

또한 국력, 국가의 힘의 중요성과 지도자들의 리더십의 성향과 역할의 중요성도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 회담 이후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게 될까요. 파급영향과 각국의 대응을 살펴봐야 겠죠. 전망해 보는 겁니다.

 

그리고 교훈으로 삼아야 할 시사점은 무엇일까. 등등도 함께 고민하고 생각해 보는 거죠.

 

비록 3편에 불과하지만, 국제정세의 흐름과 러우전쟁의 협상과 종식 논의 과정을 배우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굿럭&홧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