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트럼프 15

[읽기자료] 한국외교협회, <외교>지(2025년 1월호)

지는 전-현직 외교관으로 구성된 가 1987년 창간하였으며, 계간으로 간행됩니다. 이번에 2025년 1월호가 간행되어 읽기자료로 소개합니다. 이번호는 특집으로 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전, 현직 외교관들로 구성된 것 답게 워싱턴, 베이징, 도쿄, 브뤼셀, 서울의 시각으로 나눠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어 주목됩니다. 세부 목차를 봅니다. o 전체 구성은 - 조태열 외교부장관 외교협회 신년사- 특집: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외정책 전망- 외교논고- 지가 만난 사람- Foreign Relations- 신간소개- 자료- 편집실에서 등입니다. * 특집을 중심으로 세부 내용을 살펴봅니다.특집은 이미 말한 대로 전체 주제가 입니다.​이를 주요국을 중심으로 어떤 시각을 갖고 있는지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네요. - 워싱..

트럼프, <관세전쟁> 개막

도널드 트럼프가 시작한 관세전쟁!2025년 2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 캐나다에 관세 25%를,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2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죠.  이에 대해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은 즉각 반발하고 보복관세를 예고하는 등 새로운 관세전쟁에 돌입하게 되었습니다.왜 이러는지~이에 담긴 국제정치경제적 함의를 탐구해 봅니다. 먼저, 트럼프가 관세전쟁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시도한 이유와 배경은 무엇보다 불법 이민자를 퇴출시키고, 펜타닐(fentanyl) 좀비 마약이 침투되는 것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즉 불법 이민자 및 펜타닐 미국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국경감시 강화에 목적이 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속내를 보면 중국의 부상에 대한 견제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무엇이 담겨있나?

2025년 1월 20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습니다.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Make America Great Again)을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모습을 연출하였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취임함에 따라 홈페이지로 새롭게 개편되었습니다. 새롭게 단장된 모습에 대한 궁금증도 풀 겸 한 번 찾아가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https://www.whitehouse.gov/ The White HousePresident Donald J. Trump and Vice President JD Vance are committed to lowering costs for all Americans, securin..

<도널드 트럼프> 취임식(1.20) 풍경

2025년 1월 20일 미국 47대 대통령 취임식이 거행됩니다. 물론 주인공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입니다. 나이가 1946년생이니 79세이군요.무엇보다 내세우고 있는 점은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로 유명하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제45대 미국 대통령을 지냈으면서, 4년 뒤에 다시 재선해 집권에 성공하였습니다. 전례가 드문 예이기도 하죠. 우리는 이를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에 빗대어 트럼프의 귀환(return of Trump)이라고 부릅니다. 트럼프의 특징은 예측 불가능성입니다. 내세우고 있는 공약도 조금 과격해 기존의 틀을 뛰어 넘는 것이 많습니다. ..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5-1.11) - Issues & Key Words

2025년도 1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5일부터 1월 11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 사임, △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합류, △ Las Vegas 개최, △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일본 총리 동남아 순방 등입니다.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1월 6일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사임을 했네요. 트뤼도 총리는 역대 최연소 캐나다 총리로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최근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 등 국내 경제 사정 악화 등으로 물러나게 되었네요. 또한 트럼프가 캐나다를 미국 51번째 주로 편입시키는 게 어떻겠냐는 등의 발언을 하는 등 외교적 조롱을 받은 것도 배경으로 작..

<국제정세 분석>-Think Tank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정세 분석을 하는데 보탬이 되는 국내 싱크탱크 한 곳을 소개합니다.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입니다. [국립연구원]은 국제문제와 한반도 관련된 최근 현안을 심층적으로 분석, 평가하는 글을 발간합니다. 이에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관심이 있다면.. 반려견, 반려묘 처럼 늘 곁에 두고 관심 있게 방문해 봐야 합니다.특히 외교관을 꿈꾸는 분들은 필수과목 처럼 반드시 심층있게 접해야 하는 싱크탱크입니다. ​국내 든 해외든 여러 싱크탱크들을 방문해 게재된 연구물과 그곳에서 개최하는 세미나 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을 직접 소통하며 토론하고 만나는 것과 같으니까요. 먼저 국립외교원 홈페이지를 방문해 이모저모 탐방해 보길 권합니다.https://www.knda.go.kr/usr/..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3-11.9) - Issues & Key Words

11월 두 번째 주의(11.3-11.9) 를 탐구해 봅니다. 11월 3일부터 11월 9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트럼프, 미국 대선 승리(11.5), △ 몰도바 대선 결선 투표(11.3), △ 발다이 토론 클럽(11.4-7), △ 유럽정치공동체 정상회의(11.7-8),△ 푸틴, 북러조약 비준(11.9)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카멀라 해리스를 이겼습니다. 총 538명의 선거인단 중 312표를 얻어 226에 그친 해리스를 압도적 차이로 이겼네요. 박빙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7개 경합주(스윙 스테이트, swing states)에서 모두 트럼프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트럼프는 미국 역사상 한번 임기를 마친..

[읽기자료] <트럼프 2.0의 정책 전망과 대응>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하였습니다. 각축전이 예상되었던 7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모두 이겼으며, 선거인단(538명) 확보에 있어 최종적으로 312명 대 226명으로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전망을 비롯해 다양하게 분석·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의 정책 내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읽기자료] 몇 편의 글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미국 통상정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o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김종덕(무역통상안보실장) 외 7명이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제목은 (2024.10.31.)입니다.​목차는1. 미국의 ..

(학습자료)<도널드 트럼프의 귀환>, 세계는 어디로?

Return of Donald Trump. 도널드 트럼프의 귀환!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에 이어 이제 을 맞이하게 되었네요. 선거인단 538명 중 270명 이상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면 당선되는데, 경합주(swing states) 7개 지역을 모두 승리하면서 압승을 거두었습니다. 11월 7일 09:40 기준으로 으로 나와 있네요.​트럼프는 불확실성(uncertainty)의 이미지가 강합니다.시진핑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등과 더불어 스트롱 맨(strong man)이라는 그룹으로 묶기도 하지요.​첫 번째 집권 시기였던 2017년부터 2021년까지에 이어, 제2의 스트롱 맨 시대가 열리게 되는 건가요. 다음 임기는 2025년 1월부터 2029년..

중국 <3중전회> 폐막 : 중국식 현대화 ‘신품질 생산력’

중국에서 7월 15-18일간 3중전회가 개최되었습니다. 3중 전회는 ‘중국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 회의’를 의미합니다.​공산당 대회 개최 이후 다음해 하반기에 개최되며, 중국의 장기 경제정책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회의입니다. 미중 패권경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과연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탐구해봅니다. [어떻게 분석하고 살펴보아야 할까요?] 1. 회의 배경과 위상, 의미를 알아야겠죠.2. 회의에서 진행된 분위기는 어땠는가?3. 어떤 결정을 내렸으며, 이에 담긴 함의는 무엇인가?4. 향후 어떻게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 되는가?5.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과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등등을 다뤄보는 겁니다. 그리고 중국 전문가들이 작성한 에세이, 논평, 학술논문, 보고서들을 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