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도널드 트럼프 35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입니다. 왼쪽의 사진은 지난 3월 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개최된 아랍연맹(Arab League) 특별 정상회의 모습입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마무리 지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개발 구상을 밝혔습니다. 당시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가자지구를 휴양지로 개발하겠다”고 했죠. 또한 이를 홍보하는 동영상도 만들어 배포했습니다. 중동의 문제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나서서 개발할 움직임을 보인 것이지요. 당연히 중동의 국가들도 이에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 이번 특별 정상회의는 바로 트럼프가 제안한 가자지구 개발 구상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22개 회원국인 아랍연맹이 회의를 가진 겁니다. 이 자리에서는 이집트가 제안한 내용이 채택되었습니다. 팔레..

[2025 월간 국제정세 분석] (2025년 2월) - Issues & Key Words

를 탐구해 봅니다.핵심어는 △ 관세폭탄 시작, △ 네타냐후, 이시바 시게루, 모디, 마크롱, 스타머, 젤렌스키 등 주요국 정상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 뮌헨 안보회의(2.14-16), △ 미국과 러시아, 러우전쟁 종식 회담(2.18), △ 독일 연방의회 총선과 정권교체(2.23), △ 러우전쟁 3년, 유엔안보리와 특별 총회에서 결의안 채택(2.24) 등입니다. 이 기간 동안 간략히 내용과 담긴 함의 등을 탐구해 보죠. 2월초에는 1월 20일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출범한 지 얼마 안 되었기에, 미국이 과연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25%를 부과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졌죠.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2월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를, 중국에 10%를 관세를 시행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이는 3월 ..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의 정상회의 풍경들..

2025년 2월 28일(금)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의가 파행으로 결말이 났습니다. 예정되었던 광물협정도 불발되었지요. 그간 도널드 트럼프와 가진 정상회의의 풍경들을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 후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2.4), 이시바 일본 총리(2.7),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2.11), 인도 모디 총리(2.13) 등과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최근인 2월 24일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2월 27일에는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2월 28일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의를 가졌죠. 이들 워싱턴에서 개최된 정상회의는 각자 국익의 입장에서 각양각색의 모습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 결의안 놓고 미국-유럽 대서양 동맹 균열

2025년 2월 24일 유엔에서는 총회와 안보리 두 군데서 러우전쟁 3주년을 맞아 결의안을 각각 통과시켰습니다. 근데~ 뭔가 예전과는 다른 모습이 표출되었지요. 핵심은 이었죠. 어떤 내용과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유엔 안보리에서는 2월 24일 미국이 제안한 러우전쟁 관련 결의안을 찬성 10표, 반대 0표, 기권 5표로 가결 처리했습니다. 안보리가 러우전쟁 관련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처음입니다. 기권한 나라는 영국, 프랑스, 그리스, 덴마크, 슬로베니아 등 5개국입니다. 과거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했는데 이번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죠. 왜냐하면 내용 중에 러시아의 침략행위와 관련된 내용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대신 영국과 프랑스가 이에 기권표를 던지는 등 자유민주주의 진영에서 분열된 모습..

국제정세 분석 법 – 미·인도 정상회담(2.13), case study

2025년 2월 13일(목) 미국 워싱턴에서 미국과 인도 간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에는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과 만난 것이지요. 시기적 중요한 함의를 담고 있어 국제정세를 분석하는 법과 연계시켜 탐구해 봅니다. 정상회담의 분석은 여러 차원에서 다뤄집니다. 하나. 정상회담이 이뤄지게 된 배경과 유관국의 전략적 입장과 목표를 살펴봐야겠죠. 둘. 그리고 만남에서 양자든 다자든 이야기를 나누는 주요 현안들이 있겠지요.  셋. 무슨 내용을 다뤘는지 또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도 중요하죠. 이를 위해서는 보통 정상회담이 끝난 후 하게 되는 공동 기자회견이나 공동성명(joint statement)을 주목하게 됩니다. 넷...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막전막후 외교전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전화 통화를 한 뒤,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막전막후(幕前幕後)에서 벌어지는 외교전의 양상을 탐구해 봅니다. 전쟁을 끝내려면 협상을 해야 하고 휴전 또는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기반이 지난 트럼프-푸틴 전화통화를 통해 이뤄졌고, 종전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 졌습니다. 먼저 2월 14일에는 JD 밴스(Vance)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imi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뮌헨에서 모여 논의를 하였습니다. 또한 2월 18일 미국과 러시아 대표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바로 전날인 2월 17일에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

도널드 트럼프,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2.12)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협상을 즉각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미국과 러시아 양측이 정상통화를 했다는 점만으로도 앞으로 러우전쟁 향배와 관련해 중요한 진전을 이룬 겁니다. 사실 2022년 2월 러우전쟁 개시 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서로 으르렁 대며 전화통화 조차 하지 않았죠. 당연히 협상을 위한 양측 접촉도 별로 없었던 것인데, 이번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새로운 접점을 이룬 것으로 평가될 수 있죠. 사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미국 모두 3년여에 걸친 러우..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발 빠른 행보 3가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초기 대외정책은 3가지로 집약되어 나타나네요. 뭔지 탐구해봅니다. 하나는 트럼프 대통령은 2월 10일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 25% 포인트 추가관세를 부과하기로 선언했습니다. 이후 상호관계(reciprocal tariff)도 적용하겠다하였네요. 이로써 전세계적인 무역 전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들로는 베트남, 독일, 인도 등이 될 것 같다네요. 한국도 예외가 아니겠죠. 어쨌든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앞으로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무역질서 재편이 이뤄지고, 경제적 갈등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두 번째는 팽창주의의 모습입니다. 이미 덴마크의 그린란드의 매입 의사를 밝혀 논란거리를 제공했고, 중국이 많이 진출..

카테고리 없음 2025.02.11

<도널드 트럼프-이시바 시게루>, 미·일 정상회담 개최(2.7)

2025년 2월 7일, 도넡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워싱턴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떻게 분석해야 하며, 어떤 함의가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이번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1월 20일 취임 이후 한 두 번째의 외국 정상과의 만남입니다. 제일 먼저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였죠. 일본은 나름 트럼프 대통령을 빨리 만나기 위해 노력을 했고 그 결실을 거둔 것으로 보입니다. G7 중 제일 먼저 만나는 것이니까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는 아베총리가 그러했듯 트럼프의 마음을 사기 위해 처음부터 많은 공을 들였죠. 이번에는 아베 총리 부인과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대표의 역할이 컸다고도 볼 수 있죠. 이렇게 가급적 빠른 시일 내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데는 이유가 있죠...

트럼프, <관세전쟁> 개막

도널드 트럼프가 시작한 관세전쟁!2025년 2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 캐나다에 관세 25%를,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2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죠.  이에 대해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은 즉각 반발하고 보복관세를 예고하는 등 새로운 관세전쟁에 돌입하게 되었습니다.왜 이러는지~이에 담긴 국제정치경제적 함의를 탐구해 봅니다. 먼저, 트럼프가 관세전쟁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시도한 이유와 배경은 무엇보다 불법 이민자를 퇴출시키고, 펜타닐(fentanyl) 좀비 마약이 침투되는 것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즉 불법 이민자 및 펜타닐 미국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국경감시 강화에 목적이 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속내를 보면 중국의 부상에 대한 견제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