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입니다.
왼쪽의 사진은 지난 3월 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개최된 아랍연맹(Arab League) 특별 정상회의 모습입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마무리 지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개발 구상을 밝혔습니다. 당시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가자지구를 휴양지로 개발하겠다”고 했죠. 또한 이를 홍보하는 동영상도 만들어 배포했습니다. 중동의 문제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나서서 개발할 움직임을 보인 것이지요.
당연히 중동의 국가들도 이에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 이번 특별 정상회의는 바로 트럼프가 제안한 가자지구 개발 구상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22개 회원국인 아랍연맹이 회의를 가진 겁니다.
이 자리에서는 이집트가 제안한 내용이 채택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 주민의 가자지구 지역을 재건하는 것이 핵심이며,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비용은 5년간 총 530억 달러(약 76조원)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주택 20만호와 공항까지 짓겠다는 내용이 있으며,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협력하겠다고 했습니다.
팔레스타인 국가와 국제기구가 협력해 과연 가자지구 지역이 잘 재건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아랍연맹의 국제적 위상과 역할을 포함해 아랍권 정세에도 관심을 가져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What’s the emergency Arab summit on Gaza reconstruction? Everything to know
The summit has been called by Egypt, which has prepared a reconstruction plan that avoids ethnic cleansing of Gaza.
www.aljazeera.com
오른쪽의 사진은 3월 6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유럽연합(EU) 특별 정상회의입니다. 지난 3월 2일 영국 런던에서 키어 스타머 총리 주관으로 유럽권 국가들이 모였는데, 바로 얼마지나지 않아 다시 모였습니다. 그만큼 급박히 논의할 사안이 있었다는 거지요.
뭘까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후(이는 설전 끝에 파행으로 끝났죠.)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원조를 중지하자, 유럽에 대한 안보 우려가 높아진 상태이죠. 미국이 가치와 동맹을 중시하던 예전과 같은 미국이 아닌 것이죠. 이에 미국에 대한 방위 의존도를 낮추고 유럽 자신의 자강을 위한 방안은 논의하였습니다.
프랑스 에마뉘엘 대통령은 프랑스가 갖고 있는 핵무기를 통해 유럽권에 대한 핵우산을 제공할 수 있음도 내 비추었습니다. 이는 유럽권이 미국의 핵우산이 아닌 자체적으로 핵을 통한 방어에 나선다는 의미로 중요한 변화를 뜻합니다. 물론 러시아는 이에 대해 비판을 하고 있죠.
이밖에 독일도 징병제 부활을 검토하고, 국방비도 대폭적으로 상향하는 조치를 취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제 유럽은 미국 없이도 방어할 수 있는 자강의 노력을 펼치고 있는 것이지요.
특히 독일의 변화를 앞으로 주목해야할 대상이 될 겁니다. 1차 대전, 2차 대전을 일으켰던 전력을 가진 독일을 약화시키기 위해 동서독으로 나눠 관리하고 ‘중부유럽의 무력화’를 꾀했던 구도가 바뀔 수도 있게 된 것이니까요.
EU leaders back new defence spending plans
Talks held amid fears of waning US support for Ukraine after Trump pauses aid and suspends intel sharing with Kyiv.
www.aljazeera.com
암튼 지금 국제정세는 빠르게 변화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전쟁 본격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미러 간 고위급 회담도 진행중에 있죠. 자유무역이 쇠퇴하고 보호무역 중심으로 흘러가고, 가치와 동맹 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각자도생의 모습을 띠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연 1949년 창설된 이래 유럽의 안보를 지켜오는데 공헌한 나토(NATO)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어떤 변화를 나타내게 될지 주목됩니다. 이는 국제정세, 국제안보환경의 변화와도 연계되며, 크게는 국제질서 재편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개별국가의 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게임체인저가 무성한 AI 시대에 과연 어떻게 관찰하고 대응해 나가야 할지 고민해야 할 시기이기도 합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새총리에 경제학자 <마크 카니>(Mark Carney) (1) | 2025.03.11 |
---|---|
최근 국제정세 이해를 위한 <읽기자료> 3개 (1) | 2025.03.10 |
중국 양회(兩會) 개막(2025.3.4.) (3) | 2025.03.06 |
[2025 월간 국제정세 분석] (2025년 2월) - Issues & Key Words (1) | 2025.03.05 |
트럼프-젤렌스키 파행 이후, 유럽 긴급안보회의(3.2) (4)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