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18

한국국제정치학회 동향(2025.04) - <한국의 자체 핵무장> 관련 논의

2025년 4월 10일(목)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한국정치학회와 통일평화연구원이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이는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창립 19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회의이기도 합니다.주제가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를 반영하고 있어 소개합니다. 모두 3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대주제는 입니다.트럼프 집권 2기 출범과 함께 변화되는 국제질서 재편 움직임 속에서, 이제 한국의 자체 핵무장 논의를 다뤄볼 상황이 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각 세션의 주제는 1세션 ,2세션 ,3세션 입니다. 발표된 논문 제목만 보아도 어떤 부문에 중점을 두고 다루는지 알 수 있죠.총 12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 ,,,, ,,, 등입니다.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들이 발표되며, 미래 한국의 안보 문제..

국제정치학계 동향 – 트럼프 2.0 시대 관련 학술회의 개최(3.20)

새 봄을 맞아 국제정치학계에서도 세미나, 학술회의, 포럼 등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큰 변수를 다룰 필요가 있기에 이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목해 볼 만한 학술회의 하나 소개해 봅니다. 2025년 3월 20일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김태형)는 “트럼프 2.0 시대 신 국제질서 전망과 한국의 대응”라는 주제 하에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과 함께 서울 용산에서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모두 3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네요. 제목과 함께 그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고, 어떤 논문이 발표되는 지만 보아도 그 성격을 알 수 있죠. * 패널 1은 “트럼프 2.0 시대의 국제질서 변화”이며, - 차태서(성균관대), “신 우파 부상과 미국 대전략 패러다임 변동: 탈단극..

[학계 동향] <트럼프 2.0 세미나>

2024년 12월 18일(수),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는 제74차 통일전략포럼을 개최합니다.주제는 이며,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대회의실에서 열립니다. 포럼은 총 5개의 주제와 통합토론으로 구성되어 있네요.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관련된 사안을 다루며, 각 주제별로 발표자와 토론자가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죠. - 제1주제: 트럼프 집권과 미중 전략적 경쟁의 전망- 발표: 김흥규 (아주대 미주정책연구소장),- 토론: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 - 제2주제: 트럼프 집권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미칠 영향- 발표: 제성훈 (한국외대 노어과 교수)- 토론: 박노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전 러시아, 우크라이나 대사) - 제3주제: 트럼프의 대북접근과 북핵문제 그리고 남북관계- 발표: 고유환 (동국대 ..

(학계동향)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학술회의(11.28-29)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는 “국제정치 변동과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이라는 이름하에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이를 소개합니다. 지난 에서 최근 국제정세 성격을 나타내는 핵심어(key words)를 정리해 보았죠. 그중에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상이 있었는데, 마침 국제정치 학계에서도 이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학술회의를 개최하네요. 먼저 복습 차원에서..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의 모습을 담은 키워드로, -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 강대국 정치,- 글로벌 복합위기 시대,-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 경쟁, -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전영역의 안보화 경향,- 자국 중심주의 입장- 경제안보, - 미중 패권경쟁,- 투키디데스 함정(Thuc..

(학계동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학술회의

가을을 맞아 두 군데의 학술회의를 소개합니다.최근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주제만 보아도 공부가 될 듯합니다.물론 관심 있는 학우(學友)들은 참여해 보면 좋겠네요. 먼저 한국사이버안보학회>는 “AI-사이버 안보시대의 정치-외교: 미래 국가전략의 새로운 지평.”이라는 이름으로 학술회의를 엽니다. 으로일시는 11월 14일(목)이며, 장소는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이네요. o 세부 발표 주제를 보면,​- 송태은 (국립외교원 교수). “AI·사이버 안보 시대의 정치·외교.”-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사이버 안보의 새로운 쟁점: AI·우주·양자.”입니다.다른 하나는 한반도평화연구원>에서 개최하는 기획포럼 #62로,주제는 “북한 내부 상황과 북한 인권 개선 방안 – 적대적 두 국가론과 8·1..

(학계동향) <정보세계정치학회> 추계학술대회(10.25)

10월 25일(금) (회장: 김상배 서울대 교수)는 “인공지능과 미래 세계정치 – 디지털 국가책략의 모색”이라는 주제 하에 추계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장소는 대한상공회의소이며, 모두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네요.​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인공지능(AI)과 연계된 세계정치, 외교안보, 국가책략 등을 다루고 있으며, 국제정치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어떤 주제를 다루고 있는 지 살펴보죠.​* 세션 별 주제가 주목을 끄는데요,​- 1세션에서는 ,- 2세션에서는 ,- 그리고 3세션에서는 주제 하에 기조연설 및 라운드테이블로 진행됩니다.​* 세션별 세부 발표를 봅니다. 제목만 보아도 어떤 내용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죠. ​ - 김명하(서울대). “디지털 지정..

(학계동향) <2024 KEI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10.18)

10월 18일(금)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을 비롯해 국내 19개 지역연구학회가 “국제질서 변동과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이라는 주제로 ‘2024 KIE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해 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국내외 정치경제문제를 다루는 싱크탱크(think tank)라 볼 수 있죠. 이름 그대로 대외경제정책에 중점을 둡니다. 여타 외교안보 싱크탱크와 마찬가지로 국가정책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하면서 살펴보아야 하는 기관이죠.​KIEP는 이번 행사와 관련해 “세계 지역과의 경제협력 증진 및 우리나라 대외경제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네요. 2014년부터 지역연구학회와 공동으로 연례적 학술대회를 주최해 오고 ..

[학계동향] 국제정세 관련 <세미나와 포럼>

가을을 맞아 국제정치 학계에서도 분주히 많은 학술회의를 진행하고 있네요.가까운 시일 내 개최되는 학술회의와 언론에서 개최하는 포럼도 소개합니다. 최근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고 다루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하나는 로, 10월 22일(화) 국회의원회관에서 "혼돈의 국제정치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회의 역할"이란 대주제로 공동 세미나를 개최합니다.​공동 세미나인 만큼 이에는 국회입법조사처 북한·남북관계센터, 국회의장 직속 한반도평화외교자문위원회, 북한연구학회가 함께 주관합니다.​* 총 두 개의 세션으로 되어 있는데,​에서의 발표 내용을 보면,​- 백우열 교수(연세대학교), “헝클러진 글로벌 안보의 신질서 형성기: 혼돈의 안보 컨버젼스 시대(지역과 영역)”- 강혜석 박사(서울대학교), “한반도 적대의 시대:..

REAIM, <행동 청사진> 채택(9.10)

9월 9일과 10일 이틀에 걸쳐 개최된 REAIM 행사가 “행동을 위한 청사진”을 채택하고 막을 내렸습니다.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듯이 REAIM은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 회의”를 의미합니다.영어 표기로는 “REsponsible AI in the Military domain (REAIM) Summit 2024” 이지요. 외교부와 국방부가 공동 주관했으며, 네덜란드, 싱가포르, 케냐, 영국이 공동 주최국으로 참여했습니다.폐회식에서 60여 개국이 “행동을 위한 청사진”(Blueprint for Action)을 채택했는데, 이는 앞으로 AI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기본 지침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연례적으로 개최되는 고위급 회의의 경우,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국방대학교> 국제안보학술회의(9.30)

가을은 학술세미나의 계절이기도 하죠.오는 9월 30일(월)에는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와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소장: 박영준)가 공동으로 를 개최합니다. 대주제는 "인도-태평양 시대의 한미동맹과 유엔사 발전 방향"입니다.​군사와 안보에 중점을 두고 하는 학술회의임을 알 수 있죠. 최근 국제안보정세 동향과 더불어 어떤 부문에 연구를 하고, 정책적, 전략적 논의를 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죠. 장소는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서울 용산)이며, 회의 방식이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라네요. 사전 등록이 가능하며, 온라인으로는 화상중계를 시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성을 보면,모두 세 개의 세션으로 되어 있습니다. - 제1세션은 “국제정세 변화와 한미동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