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학계동향)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학술회의(11.28-29)

천상의꿈 2024. 11. 27. 10:32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는 “국제정치 변동과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이라는 이름하에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이를 소개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최근 국제정세 성격을 나타내는 핵심어(key words)를 정리해 보았죠. 그중에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상이 있었는데, 마침 국제정치 학계에서도 이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학술회의를 개최하네요.

www.snuiis.re.kr

 

먼저 복습 차원에서..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세의 모습을 담은 키워드로,

 

-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

- 강대국 정치,

- 글로벌 복합위기 시대,

-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 경쟁,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전영역의 안보화 경향,

- 자국 중심주의 입장

- 경제안보,

 

- 미중 패권경쟁,

- 투키디데스 함정(Thucydides Trap),

- 세력전이이론,

-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 AF(America First)

 

- 인도-태평양 전략

- 일대일로(BRI, Belt & Road Initiative)

- 글로벌사우스(global south)의 부상(부각)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중 <글로벌사우스>와 관련된 학술회가 개최될 예정이네요.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최는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에서 하고,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과 (사)플라자프로젝트가 공동으로 주관합니다.

* 일시는 2024년 11월 28일(목)부터 29일(금)까지 이틀에 걸쳐 진행됩니다.

* 장소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과 삼익홀입니다.

 

학술회의는 크게 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2 세션은 28일에 3, 4세션은 29일로 예정되어 있네요.

세션별 주제를 보면

 

- 제1세션은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강대국 정치>

- 제2세션은 <글로벌사우스와 브릭스(BRICS)>

- 제3세션은 <글로벌사우스의 연대 전략>

- 제4세션은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한국 외교>

 

강대국 정치, 브릭스, 연대 전략은 물론 한국 외교까지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연관된 주제를 모두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죠.

 

* 세부 주제를 좀 더 살펴보면, 어느 부문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고 있는 지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공지된 프로그램을 소개하니, 쭈~욱 살펴보길 권합니다.

 

<프로그램>

 

- 1일 차(11월 28일) -

 

[1세션(10:00-12:15):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강대국 정치]

 

● 사회: 마상윤(가톨릭대, 국제정치학회장)

 

● 발표:

-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질서 변동 (서울대 전재성)

 

- 글로벌사우스 부상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전략 (서울대 이정환)

 

- 글로벌사우스 부상에 대한 미국/서방의 인식과 전략 (서울대 신성호)

 

-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경제 (아주대 이왕휘)

 

● 토론: 이승주(중앙대), 권율(대외경제정책연구원)

 

[2세션(13:30-15:45): 글로벌사우스와 브릭스(BRICS)]

 

● 사회: 마상윤(가톨릭대, 국제정치학회장)

 

● 발표:

- 러시아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장세호)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서울대 김태균)

 

- 브라질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한국외대 권기수)

 

- 인도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세종연구소 최윤정)

 

● 토론: 이대식(태재미래전략연구원), 조준화(서울대 아시아연구소)

 

- 2일 차(11월 29일) -

 

[3세션(11/29. 10:00-12:30): 글로벌사우스의 연대 전략]

 

● 사회: 신범식(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소장)

 

● 발표:

-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전략 (아주대 김흥규)

 

-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인식과 전략 (건국대 최경준)

 

-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인식과 전략 (한국외대 김강석)

 

-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튀르키예의 인식과 전략 (아산정책연구원 장지향)

 

● 토론: 서정경(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김덕일(고려대)

 

[4세션(11/29. 13:30-15:45):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한국 외교]

 

● 사회: 신범식(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소장)

 

● 발표:

-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군사협력 (숙명여대 박기철)

 

-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공공외교 (울산대 김치욱)

 

-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개발협력외교 (서울대 김태균)

 

-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경제안보 (고려대 김흥종)

 

● 토론: 장기영(경기대). 박종희(서울대)

 

프로그램만 읽어 봐도 전체적으로 어떤 연구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지 추론해 볼 수 있죠. 학술회의 이후에는 발표와 토론을 통해 나온 논의들을 참고해 보다 완결된 연구 결과물이 도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총괄적인 자료집이 책자 형태로 나올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추가 탐구]

http://www.snuiis.re.kr/sub3/3_2.php?mode=view&number=1780&page=1&b_name=event1_2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21세기 세계정치와 한국의 외교정책 및 동아시아 지역질서 연구, 세미나 안내

www.snuiis.re.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