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주간 국제정세 29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9-1.25) - Issues & Key Words

2025년 1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19일부터 1월 25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트럼프 대통령 취임(1.20), △ 다보스 포럼(1.20-24), △ 미국 WHO 탈퇴, △ 시진핑-푸틴 영상회담(1.21), △ 쿼드(Quad) 외교장관회의(1.22)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1월 20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이 워싱턴에서 열렸습니다. 아직까지는 세계 최강의 국가이니 만큼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죠.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이 늘 관심거리가 되니, 앞으로 국제무대에서 어떤 모습이 연출될지 궁금합니다. 거래적 리더십과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2-1.18) - Issues & Key Words

2025년 1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12일부터 1월 18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 방한(1.13), △ 미국, AI 반도체 포괄적 수출 금지, △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타결, △ 러시아-이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1.17), △ 한국, 쿠바에 한국대사관 개설(1.17)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월 13일에는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성이 한국을 방문해 조태열 외교장관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한국의 국내 정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외교적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협력관계를 재확인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 체제의 지속해 가갈 것임을 확약하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같은 날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5-1.11) - Issues & Key Words

2025년도 1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5일부터 1월 11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 사임, △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합류, △ Las Vegas 개최, △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일본 총리 동남아 순방 등입니다.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1월 6일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사임을 했네요. 트뤼도 총리는 역대 최연소 캐나다 총리로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최근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 등 국내 경제 사정 악화 등으로 물러나게 되었네요. 또한 트럼프가 캐나다를 미국 51번째 주로 편입시키는 게 어떻겠냐는 등의 발언을 하는 등 외교적 조롱을 받은 것도 배경으로 작..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24-11.30) - Issues & Key Words

2024년 11월 마지막 주의(11.24-11.30) 를 탐구해 봅니다. 11월 24일부터 11월 30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우루과이 대선, 야만두 오르시 승리, △ 트럼프 당선자,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부과 공언, △ 이스라엘-레바논 60일 휴전 타결, △ 우크라이나 특사단 방한, △ 카자흐스탄, CSTO 정상회의 개최(11.28), △ 벨로우소프 러시아 국방장관 방북(11.29) 등입니다.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1월 24일 남미에 있는 우루과이에서 대통령 선거가 진행되었습니다. 최종 결선 투표 선거 결과 야권의 야만두 오르시(Yamandu Orsi)가 최종 승리했습니다. 그는 광역전선(FA) 소속이며, 49.81%를 득표했습니다. 정권이 교체된 것이지요..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17-11.23) - Issues & Key Words

2024년 11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1월 17일부터 11월 23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브라질 G20 정상회의(11.18-19), △ 푸틴, 새로운 핵독트린 서명,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000일(11.19), △ 러시아, 중거리 미사일(IRBM) 오레시니크 발사(11.12), △ ICC, 네타냐후 총리 체포 영장 발부(11.21)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1월 18-19일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는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전 세계 주요국 20여 개 국가 지도자들과 국제기구 등에서 참석해 최근 국제정세 현안을 다루었습니다.정상회의 홈페이지에서는  “G20 지도자들은 역사적인 선언에서 억만장자들에게 세금을 부과하고 불..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10-11.16) - Issues & Key Words

11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1월 10일부터 11월 16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재선출, △ 트럼프, 내각 인물 지명, △ 스타머-마크롱 정상회담(11.11), △ 쇼이구 방중,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11.12), △ 페루 APEC 정상회의(11.15-16), △ 바이든-시진핑 중러 정상회담 등입니다.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지난 10월 27일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과반수를 얻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죠. 따라서 이시바 총리의 거취가 주목을 끌었는데, 결국 다시 11월 11일 재선출되는 과정을 밟았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중의원에서는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어 1·2위인 이시바 총리와 제1야당 입헌민주당 노다 요..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27-11.2) - Issues & Key Words

10월 마지막 주와 11월 첫 번째 주의(10.27-11.2)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27일부터 11월 2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일본 자민당 과반 획득 실패, △ 미국, 대중(對中) 투자 차단 행정명령(10.28), △ 러시아 3대 핵전력 훈련(10.29), △ 한미 제56차 SCM 개최(10.30), △ 한미, 2+2 장관급 회담(10.31), △ 북한 화성-19형 ICBM 발사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0월 27일(일)에는 일본에서 중의원 총선거가 실시되었습니다. 선거 결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이 과반수를 획득하는데 실패하였습니다. 연합세력인 공명당과의 의석을 합해도 215석에 그쳤습니다.참고로 일본 중의원은 총 465명이며,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20-10.26) - Issues & Key Words

10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20일부터 10월 26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핵심어는 △ G7 국방장관 회담(10.18-20), △ 카잔 BRICS 정상회의(10.22-24), △ 시진핑-모디 中-印 정상회담(10.23), △ 조지아 총선(10.26)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G7 국방장관 회의가 열렸습니다.G7 국방장관들은 △ 우크라이나와 중동정세, △ 아프리카와의 파트너십, △ 인도-태평양 지역, △ 남중국해와 대만해협, △ 중국의 러시아에의 이중용도 물자 등 지원문제, △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등을 주요의제로 다뤘네요.​글로벌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군사안보 현안 모두를 협의하고 의견을 나눈..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13-10.19) - Issues & Key Words

10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13일부터 10월 19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스타십, 메카질라, △ 2024 노벨 경제학상, △ MSMT 출범(10.16), △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 △ 야히아 신야르(Yahy Sinwar), △ NATO 국방장관 회담(10.17-18)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10월 13일 스페이스 X가 스타십(Starship) 다섯 번째 시험비행에 성공했습니다. 무엇보다 메카질라(Mechazilla)라는 금속의 기계 젓가락 팔을 사용해 스타십을 재활용하는 신기원을 이룬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우주로 향하는 기술, 나라가 화성까지 탐험하는 일이 더욱 가깝게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론 머스크(Elon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6-10.12) - Issues & Key Words

10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6일부터 10월 12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핵심어는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년[10.7], △ 노벨상 수상자 발표[10.7-14], △ 한강(Han Kang), 노벨 문학상, △ 라오스 ASEAN 정상회의[10.6-11], △ ASEAN+한중일 정상회의[10.11]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먼저 작년(2023년) 10월 7일에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1년이 지났습니다.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고 중동정세의 변화를 가져왔죠.​지금도 진행 중에 있어 앞으로 중동 안보질서 변화, 국가 간의 관계, 정치경제적 파급영향, 국제기구의 역할과 인도적 측면 등을 비롯해 여러 측면에서 21세기 전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