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주간 국제정세 29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8.4-8.10) - Issues & Key Words

8월 두 번째 주의(8.4-8.10) 를 탐구해 봅니다. 8월 4일부터 8월 10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방글라데시 반정부 시위, △ 아시아 증시 ‘블랙 먼데이’, △ 팀 월즈(Tim Walz), △ 러시아 쿠르스크(Kursk), △ 야흐야 신와르(Yahya Sinwar)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8월 5일(월) 방글라데시에서는 ‘독립유공자 자녀 공직 할당제’를 추진하는데 반대하는 시위가 격화되었죠. 100여 명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고, 결국 5번째 총리직을 수행하면서 장기간 통치했던 총리(77)가 사임하고, 인도로 도피했습니다. 방글라데시는 서남아 인도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치적 안정을 가져올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같은 날..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7.28-8.3) - Issues & Key Words

8월 첫 번째 주의(7.28-8.3) 를 탐구해 봅니다. 7월 28일부터 8월 3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프리덤 에지(Freedom Edge), △ 니콜라스 마두로(Nicolas Maduro), △ 이스마일 하니예(Ismail Haniyeh), △ 카말라 해리스(Kamala Harris) 미 부통령, △ 또 럼(To Lam) 베트남 국가주석,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입니다.7월 28일(일) 일본 도쿄에서 한미일 국방장관이 모여 회담을 했습니다. 2023년 8월 18일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담을 가진 이후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3국의 국방장관이 모여 회담을 한 것이지요. 당연히 군사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한미일 안보협력 프레임워크’(TSCF)가 체결되..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5.19-5.25) - Issues & Key Words

5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라이칭더 대만 총통 취임(5.20), △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헬기 사고로 사망(5.13), △ 서울 AI 정상회의(5.21), △ EU, 세계 최초로 AI 규제법 승인(5.21), △ 미국-케나 워싱턴 정상회담(5.23), △ 중국, 대만 주변 군사훈련(5.23), △ EU, 핵심원자재법(CRMA, Critical Raw Materials Act) 발효(5.23) 등입니다. 이미 포스팅한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주요 핵심어를 3번 정도 반복해 읽어보고 끝내죠. 1. 첫 번째 읽어 보기 - 라이칭더 대만 총통 취임, -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 서울 AI 정상회의,- EU, AI 규제법 승인- 미국-케나 워싱턴 정상회담- 중국..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5.12-5.18) - Issues & Key Words

5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 교체(5.12), △ 오픈AI, GPt-4o(포오) 출시(5.13), △ 미-중, AI 첫 정부회의(5.14, 제네바), △ 바이든 대통령, 중국에 관세 대폭 인상 조치(5.14), △ 코펜하겐 민주주의 정상회의(5.14), △ 푸틴 대통령, 중국 방문(5.16-17) 등입니다. 이미 포스팅한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ppt 위주로 정리해, 형태로 살펴봅니다.​1.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이 국가안보회의 서기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전쟁 중인데, 자리를 바꿨군요. 새로이 임명된 국방장관은 제1부총리에 있던 경제 전문가인 안드레이 벨로우소프입니다. 쇼이구 국방장관은 2012년부터 재직했으니 꽤 오래있었지요...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5.5-5.11) - Issues & Key Words

5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시진핑, 유럽 3국 순방, △ 중국-프랑스-EU 정상회의, △ 푸틴 대통령 취임식, △ 러시아 대독 전승 기념 군사퍼레이드, △ 유엔 총회, 팔레스타인 가입 재검토안 통과 등입니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5년 만에 처음으로 프랑스, 세르비아, 헝가리 3개 국가를 차례로 방문했네요. 그런데 이들 국가들이 모두 중국에게 우호적인 국가여서 중국이 미국-유럽 사이에 균열을 내려는 것이 아닌가하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지요.​중국의 입장에서는 유럽권내에 중국의 위상과 영향력을 과시 내지 확대할 필요성을 느꼈던 것이지요. 지난주 시진핑 국가주석의 유럽 순방 행보가 관심을 모았습니다.​프랑스에서는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과 만나 정상회담을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4.7-4.13) - Issues & Key Words

4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라브로프 중국 방문, △ 기시다 후미오 미국 방문, △ 미국-일본-필리핀 3국 정상회담, △ 자오러지(趙樂際) 전인대 상무위원 방북, △ 이란, 이스라엘 본토 공격 등입니다. 먼저 4월 8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해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을 하였네요. 물론 시진핑 국가주석과도 만났습니다. 아마도 5월 7일 푸틴 대통령 취임식 이후 예정된 중국 방문과 관련해 사전 준비 차 방문한 것이죠. 정상회담은 중요하기에 몇 개월 전에 가서 미리 준비를 하죠. ​ 이번 푸틴-시진핑 간 중러 정상회담은 작년에 시진핑 국가주석이 러시아를 방문한 것에 대한 답방 차원의 성격도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한중일 안보 연대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17-3.23) - Issues & Key Words

3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현대판 차르-블라디미르 푸틴, △ Jensen Huang, △ UN ‘AI 결의안’, △ 원자력 정상회의(Nuclear Summit), △ IS-K,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등입니다. 3월 15-17일에는 러시아에서 대통령 선거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예상하던 대로 푸틴 대통령이 87.3%이라는 압도적 지지를 획득해 당선되었습니다. 러시아의 대통령 임기는 6년이니, 이제 2030년까지 권좌에 머물게 되었죠. ​ 그런데 2030년에 다시 한 번 출마할 수 있으니, 잘 하면 2036년까지도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어요. 가히 21세기 현대판 차르(황제)라 부르는 이윱니다. 2000년부터 집권해 집권 5기를 맞이하는데, 취임식은 5월 7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3-3.9) - Issues & Key Words

3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중국 양회(兩會), △ 틱톡(Tik Tok), △ 미국 슈퍼화요일, △ 바이든 대통령 국정연설, △ EU의 유럽방산프로그램 발표 등입니다. 중국 양회가 3월 5일(화)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양회는 중국에서 매년 3월에 개최되는 가장 큰 정치행사 중의 하나이죠. 양회이니 두 개의 회의가 연상되죠. 하나는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의미하고, 약어로는 ‘전인대’라고 하지요. 또 하나는 정치 자문회의격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의미합니다. 줄여서 ‘정협’이라고 하지요. 정협은 어제(3.10) 끝났고, 전인대는 오늘(3.11) 최종 폐막합니다. 무엇보다 양회는 중국이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펼칠지 알려줍니다. 2024년도 GDP 경제성장 목표를 5%로 정했는데, 과연..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2.18-2.24) - Issues & Key Words

2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Deep Fake, △ 오디세우스(Odysseus), △ AI 패권전쟁,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주년 등입니다. 큰 틀에서의 국제정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소모전, 장기전 지속이 이뤄지고 있죠. 물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도 협상에 이르지 못하고 계속 중동정세는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간 국제정세의 측면에서 볼 때 당분간 핵심어의 자리를 계속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주에는 Deep Fake 문제가 국제적으로 논의되었어요. 특히 2월 16-18일간 독일 뮌헨에서 국제안보회의 개최되었는데, 여기서 Deep Fake 콘텐츠 확산의 위험성에 대해 다뤘어요. ​ 또한 오픈AI, 구글, 메타, MS, 틱톡 등은 유권자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