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질서 27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3.18)

2025년 3월 18일(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하고 에너지와 인프라 부문에서의 공격을 멈추는 제한된 휴전(limited ceasefire)에 합의를 하였습니다.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개시된 이래 1118일 만에 임시적이지만 부분 휴전을 하게 된 겁니다.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되지만 그래도 일단 종전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는 점만으로도 의미가 있죠. 이번 미러 정상 간 통화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이뤄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뤄진 것이죠.지난 2월 12일에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적 있었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고, 2월 18일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때 미..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 유럽연합(EU)의 재무장

2025년 3월 7일 유럽연합 특별 정상회의가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3월 4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해 군사적 지원을 잠정 중단하기로 해 큰 충격이 가해진 분위기에서 진행되었죠.이 회의에서 27개국 유럽연합 회원국은 만장일치로 우크라이나 지원과 유럽 방위력 강화를 위한 논의를 하였으며, 유럽 재무장 계획을 채택하였습니다. 핵심 내용은 유럽이 이제 더 이상 미국의 군사적 지원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자강력을 갖추어 나간다는 것입니다. 군사력 증강에는 돈이 들죠. 총액 8000억 유로(약 1263조원)를 들여 재무장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럽의 재무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겁니다. 동맹과 가치 우선보다 매가(MAGA)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앞세우는 미국 ..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막전막후 외교전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전화 통화를 한 뒤,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막전막후(幕前幕後)에서 벌어지는 외교전의 양상을 탐구해 봅니다. 전쟁을 끝내려면 협상을 해야 하고 휴전 또는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기반이 지난 트럼프-푸틴 전화통화를 통해 이뤄졌고, 종전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 졌습니다. 먼저 2월 14일에는 JD 밴스(Vance)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imi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뮌헨에서 모여 논의를 하였습니다. 또한 2월 18일 미국과 러시아 대표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바로 전날인 2월 17일에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5-1.11) - Issues & Key Words

2025년도 1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5일부터 1월 11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 사임, △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합류, △ Las Vegas 개최, △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일본 총리 동남아 순방 등입니다.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1월 6일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사임을 했네요. 트뤼도 총리는 역대 최연소 캐나다 총리로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최근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 등 국내 경제 사정 악화 등으로 물러나게 되었네요. 또한 트럼프가 캐나다를 미국 51번째 주로 편입시키는 게 어떻겠냐는 등의 발언을 하는 등 외교적 조롱을 받은 것도 배경으로 작..

<2025년 국제정세 전망> (II)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에서 간행한 입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에서 주관해 발행한 것으로 총 178쪽입니다. 내용 구성은, - 서문,- 요약,​제 I 장 한반도 정세- 북한 내부 정세 /황일도- 북핵 문제와 남북관계 /전봉근, 이상숙 제 II 장 주요국 정세- 동아시아 주요국관계 /최우선- 미국 /민정훈- 중국 /김한권, 표나리, 최진백- 일본 /조양현, 오승희, 윤석정- 러시아 /이태림 제 III 장 지역별 정세- 동남아시아 /최원기, 박민정- 남아시아 /조원득- 유럽 /전혜원- 중동 /인남식- 중앙아시아 /이지은- 아프리카 /김동석- 중남미 /하상섭 제 IV 장 글로벌 이슈와 거버넌스- 국제 금융·통화 /강선주- 국제통상과 경제안..

러시아, <Global Affairs> (2024. Oct./Dec. No.4) 소개

미국에 가 있다면, 러시아에는 가 있습니다. 최근에 간행된 Global Affairs (2024년 10월-12월호, No.4.)에 실린 글들을 소개합니다.이 저널은 러시아의 전문가와 국제정치 분야 지식인들이 요즈음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구성은 으로 표도르 루키야노프(Fyodor A. Lukyanov)의 글 를 맨 앞에 위치시켰네요. 그리고 세부 주제로, - The Cost of Security, - Engagement and Challenges- Old and New Thinking- Old and New Games 등 4항목을 다루고 있네요.​* 우리말로 풀어보면 - 안보의 비용- 관여와 도전- 신(新)·구(舊) 생각(思考)- 신(..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게 된 배경

2024년 6월 19일 러시아와 북한은 북러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 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사실상의 군사동맹을 맺은 것으로, 최근 북러관계가 밀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북·러 간 밀착은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 과정 속에 러·북 간 상호 전략적 이해가 부합되어 양국관계의 긴밀화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으로 평가됩니다.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탐구해 봅니다. 북러 밀착의 배경은 크게 4가지 측면으로 집약해 볼 수 있습니다. - 첫째, 북·러 밀착은 양국 간 전략적 이해와 목적이 부합된 가운데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신냉전’ 국제질서 재편에 함께 힘을 모으려는 것입니다.  러시아와 북한 모두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와 일방주의 배격하면서 다극화, 다극체제의 국제질서를..

미-중, <첨단기술> 패권 경쟁?

10월 28일(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을 발표했습니다. 국제정치경제(IPE) 시각에서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이번에 발표된 행정명령의 이름은입니다.매우 길죠. 원래 2023년 8월 9일에 바이든 대통령이 발표한 를 실행하기 위한 최종 규칙을 담은 것입니다.는 공식 명칭이 입니다.​* 이는 백악관 홈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presidential-actions/2023/08/09/executive-order-on-addressing-united-states-investments-in-certain-national-security-technologies-and-products-in-countries-of-conc..

(강의자료)<2024 브릭스(BRICS) 정상회의>(카잔, 10.22-24)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러시아 카잔에서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을 중심으로 탐구해 봅니다. 이번 2023 브릭스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이미 10월 23일자 “2024 개최(10.22-24), 어떻게 분석?”을 통해 간략히 탐구해본 적이 있죠.​여기서는 약속한 대로 으로 공부하는 방법에 초점을 모아 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어느 정상회의든 회의가 끝나면 결과물을 내놓습니다.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대표적인 공동성명이죠. 영어로는 Joint Statement입니다.또한 선언(Declaration), 공동선언(Joint Declaration). oo(장소) 선언문 등 여러 형태가 있죠. 물론 끝날 때 공동 기자회견 등도 열리죠. 이번 브릭스 정상회의에서는 카잔지역에서 개최한 점을 ..

<시진핑-모디>, 5년 만에 양자 정상회담(카잔, 10.23), 함의는?

2024년 10월 23일 러시아 카잔(Kazan)에서 열리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를 계기로 가 국경분쟁 문제 해결에 합의하는 등 관계 정상화에 나섰습니다. 어떤 함의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보죠. 이번 회의는 2019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도를 방문한 이래 5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간 양자 정상회담이 개최된 것입니다. 그간 만날 기회가 있었지만 양자 회담은 그만큼 의미가 있죠. 왜냐하면 중국과 인도는 1962년 이래로 그간 크고 작은 국경 분쟁을 겪어왔으니까요.​이번 회담에서는 양국 간 3,488km에 달하는 접경지역에서의 충돌을 피하기로 합의 했네요. 지난 2020년 6월 갈완(중국명 지러완) 계곡에서 군사 충돌로 인도군 20명, 중국군 4명이 사망한 전력이 있거든요. 이후 양국은 국경 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