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러시아 카잔에서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카잔 선언문>을 중심으로 탐구해 봅니다.
이번 2023 브릭스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이미 10월 23일자 <포스팅> “2024 <BRICS 정상회의> 개최(10.22-24), 어떻게 분석?”을 통해 간략히 탐구해본 적이 있죠.
여기서는 약속한 대로 <제2탄>으로 공부하는 방법에 초점을 모아 <카잔 선언문>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어느 정상회의든 회의가 끝나면 결과물을 내놓습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대표적인 공동성명이죠. 영어로는 Joint Statement입니다.
또한 선언(Declaration), 공동선언(Joint Declaration). oo(장소) 선언문 등 여러 형태가 있죠. 물론 끝날 때 공동 기자회견 등도 열리죠.
이번 브릭스 정상회의에서는 카잔지역에서 개최한 점을 강조하 듯 <카잔 선언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PPT에서 보듯, <Kazan Declaration>으로 나왔네요. 원문을 직접 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https://brics-russia2024.ru/en/docs/)
* 총 134개 항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분량도 PDF 파일 페이지로 32쪽에 이릅니다. 꽤나 길죠. 담을 말이 많았든가 봅니다.
전체 총괄하는 대주제는 “공정한 글로벌 발전과 안보를 위한 다극주의 강화”입니다. (STRENGTHENING MULTILATERALISM FOR JUST GLOBAL DEVELOPMENT AND SECURITY)
강조하고 있는 핵심어가 <공정>, <글로벌 발전과 안보>, <다극주의 강화>임을 알 수 있죠.
* 그리고 크게 4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주제를 보면 어떤 내용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1> 보다 정의롭고 민주적인 세계질서를 위한 다자주의 강화(6-23)
<2> 세계 및 지역의 안정과 안보를 위한 협력 강화(24-56)
<3> 정의로운 글로벌 발전을 위한 경제·금융 협력 육성(57-118)
<4> 사회·경제 발전을 위한 인적교류 강화(119-134)
o 영어로도 살펴봅니다.
- Strengthening Multilateralism For A More Just and Democratic World Order (6-23)
- Enhancing cooperation for global and regional stability and security (24-56)
- Fostering Economic and Financial Cooperation for Just Global Development (57-118)
- Strengthening people-to-people exchanges for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119-134)
러시아를 비롯한 BRICS 구성 국가들이 세계질서와 국제체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엿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진영화 추세를 밟고 있는 국제정치 무대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 참고로 국제정세 움직임 내용과 특징을 담은 <핵심어>(key words)도 몇 개 익혀봅니다.
- 지정학의 귀환(return of geopolitics)
- 투키디데스의 함정(Trap of Thucydides)
- 초불확실성
- 일대일로(BRI), 중국몽, BRICS, SCO,
- 인도태평양전략, 쿼드(Quad), 오커스(AUKUS),
- 새로운 강대국 질서,
- 글로벌 복합위기 시대,
- 전영역의 안보화 경향,
- 자국 중심주의 입장,
- 신냉전(new cold war)과 블록화 경향,
- 기정학,
-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각 외
* 여타 정상회의 사례연구에서 보듯, 이번 카잔 브릭스 정상회의와 관련해서도
- 배경 및 목표,
- 각국의 전략적 입장,
- 주요 의제와 공동성명
- 파급영향과 전망
- 함의 및 시사점 등을 통해 분석, 평가할 수 있습니다.
조만간 전문가들이 보다 세밀하게 분석 평가한 연구결과물을 내놓을 겁니다.
이번 브릭스 정상회의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국제질서 재편의 일면을 이해하고, 러시아와 중국이 뭉친 BRICS, SCO 세력권(sphere of influence)과 미국을 위시한 G7, NATO 등 또 다른 세력권에 대한 성격을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강좌 2 - 러시아 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틴의 리더십>: 푸틴체제 실로비키 (1) | 2024.12.06 |
---|---|
러시아 <발다이 토론 클럽>이 뭔가요? (10) | 2024.11.09 |
(강의자료) 2024 <BRICS 정상회의> 개최(10.22-24), 어떻게 분석? (10) | 2024.10.23 |
(학계동향) <슬라브연구>(제40권 3호)에는 어떤 연구가 실려 있나? (6) | 2024.10.07 |
[읽기자료] RIO(Russia In & Out), 제4호(2024년 8월) (4)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