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전화 통화를 한 뒤, 러우전쟁의 종식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막전막후(幕前幕後)에서 벌어지는 외교전의 양상을 탐구해 봅니다.

전쟁을 끝내려면 협상을 해야 하고 휴전 또는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기반이 지난 트럼프-푸틴 전화통화를 통해 이뤄졌고, 종전을 향한 발걸음이 빨라 졌습니다.
먼저 2월 14일에는 JD 밴스(Vance) 미국 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imi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뮌헨에서 모여 논의를 하였습니다.
또한 2월 18일 미국과 러시아 대표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바로 전날인 2월 17일에는 유럽 정상들이 긴급하게 정상회의를 소집해 이에 대해 논의를 가졌습니다. 파리에서 모였죠.
이 자리에는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해, 영국과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스페인, 네덜란드, 덴마크 정상들이 모였습니다.
그리고 마르크 뤼터(Mark Rutte) 나토 사무총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안토니우 코스타(Antonio Costa)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등도 회동했습니다. 그만큼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반증합니다.
물론 유럽연합 국가들은 미국과 러시아가 유럽과 우크라이나를 배제하고 종전 협상을 하는 것에 반대합니다. 또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자체의 평화유지군 창설 논의도 보다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듯합니다.
2월 18일에는 2022년 2월 이후 처음으로 미러 대표단 간 고위급 회담이 이뤄질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미국 측에서는 마이크 왈츠(Mike Waltz)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백악관 중동특사 등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시아 측에서는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y Lavrov) 외무장관과 유리 우샤코프(Yuri Ushakov) 크렘린궁 외교담당 보좌관이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네요.
양측의 초반 탐색전의 성격도 띠고 있지만, 사안의 성격 상 그만큼 의미가 있고, 실질적이 내용이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 정상회담의 가능성도 논의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어떤 결과를 낳게 될 지 지켜보아야겠지요. 트럼프 대통령은 부활절인 4월 20일 이전에 결실을 맺겠다고 공언하고 있긴 합니다만, 어느 정도 난관도 예상되고 있지요.
2월 18일 미러 대표단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우크라이나는 전쟁 당사자이면서, 초반 협상 무대에 등장하지 않게 되어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죠. 젤렌스키 대통령은 2월 16일부터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를 순방하고 있습니다. 나름대로 중동 지역을 순방하면서 대응책 마련과 존재감을 부각시키려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죠.
https://www.mk.co.kr/news/world/11243169
사우디서 러만 만나려는 트럼프 … 젤렌스키 서둘러 중동행 - 매일경제
18일 양국 대표단 고위급회담이달말 정상회담 조율 나설듯美 "우크라도 관여" 밝혔지만어떻게 참여할지는 설명 없어우크라·유럽 뺀 협상 우려에젤렌스키, UAE·사우디 찾아종전협상 후폭풍 두려
www.mk.co.kr
전쟁 이후 종전으로 가는 길은 또 다른 외교전에 해당됩니다. 2022년부터 3년을 끌어온 러우전쟁이 어떤 종식을 가게 될지 <외교전>의 맥락에서 바라보고 분석하는 시각도 가져야겠습니다.
이에는 우크라이나,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등 유럽 국가들과 중국, 인도 등을 포함해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이 음양으로 다 연결되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죠. 앞으로 진행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외교전에 주목하면서, 큰 틀의 국제질서 재편 움직임과 국익 측면의 시각을 되새겨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탱크, 통일연구원(KINU) 소개 (2) | 2025.02.20 |
---|---|
국제정세 분석 법 – 미·인도 정상회담(2.13), case study (1) | 2025.02.19 |
[읽기자료] 뮌헨안보회의, 미일정상회담 분석-평가 (2) | 2025.02.17 |
최근 국제질서 재편 특징과 시사점 (2) | 2025.02.15 |
도널드 트럼프,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2.12)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