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2025/06 23

싱크탱크(Think Tank) 탐방(2025) – 일반 개요

국제정세를 이해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부지런히 세계적으로 저명한 싱크탱크를 찾아다니는 것입니다. 학문적으로 정책적으로 연구깨나 한다는 전문가들이 모여 다양한 주제를 분석하고 평가한 결과물을 내놓기 때문이죠. 2025 시리즈를 내놓기에 앞서 간략히 개요를 살펴봅니다. 싱크탱크는 그야말로 생각(Think)과 탱크(tank)가 연결된 거죠. 두뇌집단, 전문연구집단, 전문연구기관 등 다양하게 불리웁니다. 사전적 정의로는 정치 외교, 군사 안보, 기술, 경제, 사회 문화 등과 같은 주제들에 대해 연구하거나 이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는 기관>, 국가와 사회 제분야에 정책적 제언을 하고 영향을 미치는 정책 연구소(Policy Institute)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이들 기관을 통해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읽기자료] 트럼프 대통령 나토 정상회의 기자회견(6.25)

이번 [읽기자료]는 조금 색다릅니다. 47분 33초까지의 동영상이니까요. 2025년 6월 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나토 정상회의가 열렸죠. 필자의 관심을 끌고 나름 느끼게 해준 부문이 있었는데, 이는 바로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었습니다. 좌측에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 국무장관, 우측에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를 양쪽에 세워놓고 진행하였죠. 좌청룡, 우백호라 할까요. 이번 읽기는 보는 것도 포함되어 있고, 또 조금 길기도 합니다. 그래도 전체를 통괄해서 접해보길 권합니다. 각자 느끼는 바가 다르겠지만, 그래도 현재 세계를 움직이는 힘과 리더십, 실력이랄까...이런 것들을 조금이라도 겪어보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 때문입니다. 먼저, 기자회견장 분위기를 보고,다..

2025 BRICS 정상회의(7.6-7, 브라질) - 뭘 얘기하나.

2025년 7월 6일부터 7일까지는 저 멀리 남미 브라질에서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개최됩니다. 어떤 내용을 다루는 지 탐구해 봅니다. 올해가 제17회라고 하니, 제법 오래 되었지요. 브라질 개최 도시 이름이 리우데자네이루. 조금 어렵죠. 리우데자네이루(Rio de Janeiro).​회원국은 처음 5개국에서 10개국으로 늘었습니다. * 구체적으로- 초기 멤버인 러시아,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에서, ​- 2024-5년에 이집트, 에디오피아, 인도네시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UAE가 추가되어 10개국이 되었습니다.​- 이밖에도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쿠바, 벨로루스, 볼리비아, 태국, 우간다 등이 파트너국으로 참여하고 있죠. 브릭스(BRICS)는 얼마 전 캐나다에서 개최된 G7 정상회의..

2025 나토(NATO) 정상회의(6.24-25) – The Hague Summit Declaration

2025년 6월 24일과 25일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된 나토 정상회의가 막을 내렸습니다. 탐구해 봅니다. 첫째는 유럽 나토회원국이 2035년까지, 즉 10년 안에 방위비 지출을 GDP의 5%까지 올리겠다고 합의하였다는 점입니다. 5%는 두 개로 나눠지죠. 3.5%는 무기 구입 등 군사력 증강에 사용되고, 나머지 1.5%는 군사 인프라에 사용된다는 것이죠. 이는 현재 나토 사무총장인 마크 뤼터(Mark Rutter)가 준비해 설득해 온 내용이기도 합니다. 어쨌든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것이 반영된 것입니다. 이제 미국은 우호적인, 온화한 세계 경찰의 역할을 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예전과 다르게 능력도 부치고.. 트럼프 행정부 미국은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고 제압해야하는 것이 제일 우선순위에 두고 있죠...

나토(NATO) 정상회의(2025.6.24.-25) 네덜란드 헤이그

2025년 6월 24일부터 25일까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나토 정상회의가 개최됩니다. 이번 회의는 미국의 이란 핵시설에 대한 군사 폭격과 이스라엘-이란 간 임시 휴전이 이뤄지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으로 군사안보 측면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특히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주장해온 나토(NATO)의 방위비 지출 확대 즉 GDP 5%를 국방비로 지출하라는 요구가 관철될지 관심을 끕니다. 이미 보도에 따르면 마르크 뤼터(Mark Rutter) 나토 사무총장은 5% 지출과 관련해, 2035년가지 3.5%는 직접 군사비로, 1.5%는 국방-안보 인프라 투자로 맞추자는 안을 내놓았고, 일정정도 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13..

<트럼프의 전쟁>, 한밤의 망치(Midnight Hammer) 작전: 분석과 함의

2025년 6월 22일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으로 이란 핵시설에 대한 군사 공격이 진행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이란 간 교전 상태를 2주간 지켜본다고 하더니.. 이틀 만에 전격적으로 군사적 개입을 했네요.이를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분석해야 하는지 탐구해 봅니다. 이틀이 지난 6월 24일(화) 지금은 또 상황이 바뀌어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이스라엘-이란 간 휴전이 성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하루 만에 또 다른 반전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지요. (영어 표현 표기 참조)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란은 미국의 핵시설 파괴에 대해 반격으로 6월 23일 카타르에 있는 미군 기지(알 우데이드)를 향해 14발의 미사일 발사했다고 전해졌습니다. 특이한 것은..

제28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2025.6.18-21)

2025년 6월 러시아로 가봅니다. 6월 18일부터 21일까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국제경제포럼(SPIEP)이 개최되고 있습니다. 지구촌 저편 러시아 북부 도시에서 어떤 일이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은 매년 6월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립니다. 1997년에 시작된 이래로 2025년 금년까지 제28차가 되니 꾀 오래됐죠.물론 중요한 국가행사중의 하나인 만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당연히 참석하겠죠. 매년 대주제가 주목을 끕니다. 왜냐하면 러시아 푸틴정부가 지금 무엇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국제정세에 대해 어떤 시각과 입장을 지니고 있는지 가늠 해 보는 척도가 되기 때문입니다. 2025년 금년의 대주제는 “공유된 가치: 다극세계에서의 성장 기반”입니다. ..

[읽기자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특징과 대응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 어느 덧 6개월 남짓 흐르고 있습니다. 그간 변화되어 온 국제정세 변화를 보면서 미국 대통령의 역할과 위상을 다시 새겨보게 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분석](하경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5.06)을 [읽기자료]로 탐구해 봅니다.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특징과 의사결정 세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이에 따른 파급영향과 한국의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여지가 있습니다.문제는 서술형이 아닌 일반 보고서의 으로 담고 있네요. 먼저, 의 구성은,-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외정책 특징과 분석틀,- 대외정책 주도 세력의 동학 분석- 주요 대외정책 사례 분석- 한국 안보전략에의 함의 등올 되어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 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카자흐스탄 방문(6.16-17)/ 제2차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

2025년 6월 17일(화)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이 모여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공교롭게도 캐나다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날과 겹쳐 중국의 행보가 주목을 끌었습니다. 미중 간 패권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일종의 대미 영향권(sphere of influence) 경쟁 측면이 아닌가하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1344350 G7에 맞불 … 시진핑, 중앙亞와 정상회의 - 매일경제習, G7 기간에 카자흐 방문17일 중앙亞 5국과 정상회의美패권 맞서 신흥국과 밀착관세전쟁 비판 목소리 낼듯www.mk.co.kr 이번은 제2차에 해당됩니다. 1차는 2023년 5월 중국에서 개최되었습니다.* 2023년 행사와 관련된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 G7 정상회의 중단 후 조기 귀국(6.17) : 왜~.

2025년 6월 15일부터 17일까지 캐나다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렸습니다. 그런데 도덜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첫 날만 참여하고 조기 귀국하기로 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왜 그랬는지. 그 배경과 함의를 살펴봅니다. 이란 핵협상을 둘러싸고 미국과 이란은 상호 불신이 누적된 상태입니다. 이스라엘 역시 이란을 믿지 않는 상황이었죠.​사실 G7 정상회의 개최 며칠 전인 6월 13일(금) 중동에서는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해 군사 공격을 퍼부었습니다. 이후 이란도 이에 맞대응해 양측 모두 많은 희생자를 낳았죠.이란 핵문제를 놓고 미국과 이란이 협상을 벌이고 있었는데, 6월 13일은 공교롭게도 트럼프 대통령이 시한 정해 놓은 60일을 바로 넘긴 날, 61일째 되는 날이었죠. 더 이상 못 기다린다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