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2 - 러시아 정치-외교

러시아, <Global Affairs> (2024. Oct./Dec. No.4) 소개

천상의꿈 2024. 12. 31. 15:24

미국에 <Foreign Affairs>가 있다면, 러시아에는 <Global Affairs>가 있습니다. 최근에 간행된 Global Affairs (2024년 10월-12월호, No.4.)에 실린 글들을 소개합니다.

https://eng.globalaffairs.ru

이 저널은 러시아의 전문가와 국제정치 분야 지식인들이 요즈음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구성은 <Issue Information>으로 표도르 루키야노프(Fyodor A. Lukyanov)의 글 <Out of Order>를 맨 앞에 위치시켰네요.

 

그리고 세부 주제로,

 

- The Cost of Security,

- Engagement and Challenges

- Old and New Thinking

- Old and New Games 등 4항목을 다루고 있네요.

* 우리말로 풀어보면

 

- 안보의 비용

- 관여와 도전

- 신(新)·구(舊) 생각(思考)

- 신(新)·구(舊) 게임들(Games)로 정리해 볼 수 있겠죠.

 

러시아(Russia)가 생각하는 세계질서의 성격 파악과 다루는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누구의, 어떤 글을 싣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먼저,

 

* [The Cost of Security, 안보의 비용] 항목에서는

 

- <러시아 군국주의의 길>

<The Paths of Russian Militarism>, Andrei P. Tsygankov

 

- <INF 조약 없는 5년: 교훈과 전망>

<Five Years without the INF Treaty: Lessons and Prospects>, Alexander D. Chekov

 

- <우크라이나에 대하여: 단호한 판단을 내리기 전에 이해하라>

<On Ukraine: To Understand Before Making Peremptory Judgments>, Jacques de Larosiere

 

- <강대국의 군사동맹>

<Military Alliances of the Great Powers>, Raza Muhammad 의 글이 있습니다.

 

* 두 번째 [Engagement and Challenges, 관여와 도전] 항목에서는,

 

- <글로벌 사우스를 위한 경쟁 또는 세계 다수를 위한 전쟁: 러시아의 전망>

<A Race for the Global South or a Battle for the World Majority: Russia’s Prospects>, Konstantin V. Bogdanov, Boris E. Frumkin, Irina Ya. Kobrinskaya

 

- <인도의 남아시아 정책 재검토: 러시아의 역할>

<India’s South Asia Policy Revisited: A Role for Russia>, Nivedita Kapoor

 

- <GCC-SCO 관계 동학>

<The GCC-SCO Relationship Dynamics>, Kheir S. Diabat, Mohd Khier Aljarwan, Muyassar Suleiman 가 있습니다.

* GCC는 걸프협력위원회(The Gulf Cooperation Council), SCO는 상하이 협력기구.

 

* 세 번째 [Old and New Thinking] 항목에서는

 

- <재검토된 중견국: 세계 다수의 ‘좋은 시민’>

<Middle Powers Revisited: “Good Citizens” of the World Majority>, Nikolai Yu. Silaev

- <글로벌 학술 담론 속의 러시아의 급진적 타자화>

<Russia’s Radical Othering in the Global Academic Discourse>, Olga A. Baysha, Kamilla D. Chukasheva

 

- <협력과 경각심 사이: 러시아와 중국의 공통 역사 해석의 문제점>

<Between Cooperation and Alarmism: Problems of Common History Interpretation in Russia and China>, Ivan Yu. Zuenko

 

* 네 번째 [Old and New Games] 항목에서는,

 

- <“정보 장애”의 게임 공간>

<The Game Space of “Information Disorder”>, Mariia M. Bazlutckaia, Anna N. Sytnik

 

- <트럼프냐 해리스냐: 모스크바에는 차이가 없다>

<Trump or Harris: No Difference for Moscow>, Ivan N. Timofeev

 

이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점은,

 

첫째, 루키야노프, 찌간코프, 체코프, 티모혜프 등 러시아에서 저명한 학자와 지식인들 이름.

둘째, 이들이 관심 갖고 있는 주제와 핵심어들.

- 글의 제목과 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아도 알 수 있죠.

셋째, 이를 통해 현재 러시아 여론 주도층들의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향 등을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주요 전문가들과 핵심어들을 익혀봅니다.

 

이를테면,

 

- 세계다수(the World Majority),

- Global South,

- Middle Power,

- INF, GCC, SCO,

 

- Trump, Harris,

- Information Order,

- the Great Powers,

- India and China 등 등.

 

그리고 이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해 보길 원하면, 아래 사이트를 방문에 해당 글을 직접 읽어보고 분석, 평가해 보길 권합니다.//.

 

https://eng.globalaffairs.ru/issues/2024/4/

 

2024 October/December

Russia in Global Affairs offers an international platform for publication in English and Russian of the result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research in political science and materials discussing social, historical, economic, cultural and military issues r

eng.globalaffairs.ru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