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5일(금) <정보세계정치학회>(회장: 김상배 서울대 교수)는 “인공지능과 미래 세계정치 – 디지털 국가책략의 모색”이라는 주제 하에 추계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장소는 대한상공회의소이며, 모두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네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인공지능(AI)과 연계된 세계정치, 외교안보, 국가책략 등을 다루고 있으며, 국제정치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어떤 주제를 다루고 있는 지 살펴보죠.
* 세션 별 주제가 주목을 끄는데요,
- 1세션에서는 <플랫폼 지정학과 ‘소버린 AI’의 국제정치>,
- 2세션에서는 <인공지능과 외교안보의 쟁점>,
- 그리고 3세션에서는 <인공지능과 미래 세계정치, 무엇이 쟁점인가?> 주제 하에 기조연설 및 라운드테이블로 진행됩니다.
* 세션별 세부 발표를 봅니다. 제목만 보아도 어떤 내용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죠.
<제1세션>
- 김명하(서울대). “디지털 지정학 시대 미국형 플랫폼 국가.”
- 백서인(한양대). “차이나 커머스와 중국형 플랫폼 국가.”
- 최효민(서울대). “‘소버린 AI’의 국제정치: 영국, 프랑스, 인도, 사우디의 사례.”
<제2세션>
- 윤정현(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인공지능과 신흥기술 안보.”
- 이종진(서울대). “인공지능과 사이버 안보.”
- 이전환(서울대). “인공지능과 외교, 규범.”
<제3세션>
* 기조연설: 하영선(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정보세계정치학회 전회장이자 고문)
- 이원태(아주대). “인공지능 기술의 현황과 전망.”
- 유인태(단국대). “인공지능과 경제-산업의 국제정치경제.”
- 정헌주(연세대). “인공지능과 신흥안보: 우주 사이버 안보.”
- 윤대업(대전대). “인공지능과 미래전: 무기체계와 군사전략의 변환.”
- 송태은(국립외교원). “인공지능과 다자외교, 국제규범.”
이번 학술대회는 현재 진행 중인 각국의 AI 생태계 구축 경쟁과 맞물려, 미래 국가전략 방향과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진행 중인 소위 글로벌 복합대전환, 복합위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미래 국가 발전과 연계된 주제를 다루는 만큼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 분야를 다루고 있죠.
* 좀 더 전문적 용어를 읽히기 위해 <핵심어>들을 정리해 봅니다.
- 플랫폼 지정학,
- 소버린 AI(Sovereign AI) - ‘AI 주권’ 문제를 다루는 것이죠.
- 소버린 AI 국제정치,
- 디지털 지정학,
- 플랫폼 국가,
- 신흥기술 안보,
- 사이버 안보,
- 미래전.
이번 학술대회는 국제정치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연계된 문제를 어떤 주제로, 어떤 시각과 관점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지 살펴볼 좋은 기회이기도 합니다.
사회, 발표자, 토론자를 포함해 이 분야를 연구하는 전문가 분들의 이름도 익혀두면 좋죠. 관련 분야를 탐구할 때 도서관, 학술논문, 세미나, 포럼 등에서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무엇보다 핵심적 질의인 <인공지능과 미래 세계정치, 무엇이 쟁점인가?>에 대한 궁금증도 해소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물론 독자 분들도 생각해 보길 권합니다. 무엇이 쟁점이죠~^^//.
[참고 자료]
* 익히기 편하게 학술 프로그램 포스터를 첨부합니다.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계동향)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학술회의(11.28-29) (2) | 2024.11.27 |
---|---|
(학계동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학술회의 (8) | 2024.11.08 |
(학계동향) <2024 KEI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10.18) (7) | 2024.10.19 |
[학계동향] 국제정세 관련 <세미나와 포럼> (9) | 2024.10.15 |
REAIM, <행동 청사진> 채택(9.10) (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