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18

<REAIM>이 뭔가요?

REAIM은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 회의”를 의미합니다.영어 표기로는 “REsponsible AI in the Military domain (REAIM) Summit 2024” 이네요. 이 고위급회의는 외교부와 국방부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이며, 9월 9일(월)과 10일(화) 이틀간 서울에서 개최됩니다.장소는 서울 롯데 및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개최할 예정이며, 네덜란드, 싱가포르, 케냐, 영국도 공동 주최국으로 참여합니다. 회의 구성과 내용만 보아도 현재 외교부와 국방부가 공동으로 관심 갖고 있는 부문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습니다. 국방부 보도자료를 보면,"REAIM 고위급회의는 AI의 군사적 이용이 국제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관련 국제규범 형성 과정에..

[읽기자료] 러시아 관련 학술 저널, <북극연구> 소개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간행된 러시아 관련 학술 저널을 소개합니다.배재대학교 에서 e-Journal 형대로 간행하는 [북극연구]입니다. 2015년부터 간행되어 제37호까지 되었으니 제법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죠.저널 이름답게 북극에 관한 연구물이 담겨 있겠죠.2024년 9월 4일(수)에 탑재된 [북극연구]에는 모두 4편의 글이 실렸습니다. - "2024 Arctic Congress를 통해 본 북극 인문·사회 트렌드." (서현교)- "그린란드 면적의 실상과 허상." (한종만)- "미국의 북극정책: 트럼프 & 바이든 정부 비교." (라미경)- "쇠락한 옛 동시베리아의 관문, 예니세이스크 이야기." (곽성웅) 6월 4일에 발간된 북극연구 제36호에 실린 글도 소개해 봅니다. 최근 연구동향과 어떤 주제의 연구..

<정보세계정치학회> 특별 컨퍼런스 개최(9.6)

9월 6일(금)에 (회장 김상배)에서 특별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장소는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무궁화홀이고, 09:30부터 17:00까지입니다. 이번 회의 주제는"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신흥안보론의 시각"이네요. * 구성은 모두 3부로 되어 있으며, - 1부는 ”플랫폼 경제 시대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 - 2부는 ”신흥안보로 보는 데이터 안보의 국가전략“ - 3부는 ”미래전의 부상과 국방 데이터 정비 방안“입니다. * 발표 제목만 보아도 전문가들이 어떤 부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 지 알 수 있죠. 구체적으로 살펴 봅니다. * 1부는 ”플랫폼 경제 시대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 (사회: 김상배 서울대 교수) -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권력 (서봉교, 동덕여대)- 데이터 거버넌스와 개인정보 보호 (김..

국립외교원, <서울외교포럼 2024> 개최(9.5)

9월 5일(목) 한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 중의 하나인 국립외교원(원장 최형찬)에서 를 개최합니다. 포럼의 큰 주제는 “미국 주도 국제질서의 지속성과 변화”이며, 영문으로는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이네요. 기조 강연으로 “미국 주도 세계 질서의 미래”를 다루고 있고, 모두 제3회의와 종합 정리하는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영 동시통역도 제공한다네요.​어떤 학술회의나 포럼이든, 개별 회의 주제와 참석자들을 보면 행사 개최의 성격과 내용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죠.​먼저 국립외교원에서 개최하는 만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환영사를 하네요. * 특징적인 것은 총 3개의 회의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회의별로 특정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찾아가는 국제정세 설명회> - 소개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 교수)에서 개최하는 에 대한 소개입니다. 이번에는 부산지역에서 개최되네요.일시는 2024년 08월 20일(화) 15:00- 이고,장소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입니다. 강연 주제는 두 개인데, 하나는 ① “미중 대결 심화와 국제정치경제 질서의 변화”이고, 강연자는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전 외교부 장관)입니다. 다른 하나는 ② “글로벌 대외환경변화와 한·아세안 공급망 협력 방향”이고, 강연자는 곽성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2센터장입니다. 최근 국제정치경제 질서 변화와 글로벌 공급망과 아세안에 대한 지식을 읽힐 수 있는 좋은 기회일 것 같네요. 중소기업벤처기업부가 후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참가는 한국국제정치학회에서 사전 등록하면 되는데, 신청기한 내 정회..

학술지 - <국제정치논총>(64집 2호) 소개

최근 국제정치학계에 발간된 논문집을 소개합니다.이를 통해 국제정치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고, 국제정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학술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입니다.이는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 교수)가 계간으로 발간하는 학술지입니다. 이번에 간행된 제호가 제64집 2호입니다. 64년이 되었음을 알 수 있고, 1년에 네 번 출간됩니다(03월 31일, 06월 30일, 09월 30일, 12월 31일). 1963년 08월 10일에 창간호가 발행되었네요. 제법 출간 기간이 길고 역사가 있죠. 발행기간이 1963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되어있으며, 총 권 호수는 164이고, 논문 수는 2,374편입니다. 한국에서 국제정치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로 평가됩니다. 201..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6.28-29) 소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회장: 정세진 교수)에서 제12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를 6월 28-29일간 한양대학교에서 개최하네요. 무슨 내용을 다루게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는 1985년에 설립되어 39년이 흘렀네요. 회원 수는 450여명에 이르며,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포괄하는 러시아 및 유라시아학 연구의 국내 최대 학회라는 명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학회지는 [슬라브학보]로 계간지 형태로 발간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는 12차에 이르듯 역사가 깊으며, 그간 코로나19로 인해 끊어진 것을 다시 시작하는 겁니다. 이번에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17개국에서 200여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학술대회입니다. 국제학술회의는 영문으로 The 12th East ..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하계 학술대회(6.26-28) 소식

한국국제정치학회(회장: 마상윤 교수)에서 하계 학술대회를 6월 26-28일간 강릉에서 개최하네요. 무슨 내용을 다루게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는 1956년 5월에 창립되었으니, 꾀 오래되었지요. 또한 국문 학술지 과 영문지 KJIS(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를 발간하고 있어요. 둘 다 저명한 국제정치 관련 저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에서의 활동은 한국의 시각에서 국제정치를 어떻게 다루고, 무엇을 연구하는지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 년에 4차례 계절별로 학술회의를 여는데, 이번 여름에는 “익숙한 미래? 한국국제정치의 새로운 상상력”(Familiar Future? New Imaginations in Korean I..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