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6일(금)에 <정보세계정치학회>(회장 김상배)에서 특별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장소는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무궁화홀이고, 09:30부터 17:00까지입니다.
이번 회의 주제는
"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신흥안보론의 시각"이네요.
* 구성은 모두 3부로 되어 있으며,
- 1부는 ”플랫폼 경제 시대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
- 2부는 ”신흥안보로 보는 데이터 안보의 국가전략“
- 3부는 ”미래전의 부상과 국방 데이터 정비 방안“입니다.
* 발표 제목만 보아도 전문가들이 어떤 부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 지 알 수 있죠.
구체적으로 살펴 봅니다.
* 1부는 ”플랫폼 경제 시대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 (사회: 김상배 서울대 교수)
-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권력 (서봉교, 동덕여대)
- 데이터 거버넌스와 개인정보 보호 (김현경, 서울과기대)
- 데이터 국제규범과 데이터 주권 (이효영, 국립외교원)
- 데이터 안보와 공급망 안보 (유인태, 단국대)
토론자로는 김용인(인하대), 김민호(성균관대), 김주희(동덕여대), 홍건식(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참여합니다.
* 2부는 ”신흥안보로 보는 데이터 안보의 국가전략“ (사회: 신범식 서울대 교수)
- 데이터 안보와 사이버 안보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 데이터 안보와 인공지능 안보 (송태은, 국립외교원)
- 데이터 안보와 우주안보 (정현주, 연세대)
- 데이터 안보와 정보기관 첩보 (오일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토론자로는 박주희(국가보안기술연구소), 이종진(서울대), 안형준(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태진(평택대)이 참여합니다.
* 3부는 ”미래전의 부상과 국방 데이터 정비 방안“ (사회: 이정환 서울대 교수)
- 국방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배학영, 국방대)
- 데이터 기반 국방 서비스 확산 (윤대엽, 대전대학교)
- 데이터 기반 지능형 통합체계 구축 (설인효, 국방대)
토론자로는 김재오(인하대), 손한별(국방대), 김세웅(국방부)이 참여합니다.
국제무대에서 각 나라별로, 빅 테크 기업들이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진력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학술적으로나 정책적 측면에서 시의 적절하고 의미 있는 학술 컨퍼런스입니다.
한 번 더 상기 차원에서, 핵심어를 익혀 봅니다.
-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
- 국가전략(national strategy),
- 인공지능,
- 우주안보,
- 정보기관 첩보,
- 사이버 안보(cyber security),
- 국방 데이터,
- 데이터 거버넌스(data governance),
- 데이터 국제규범 등
이번 특별 컨퍼런스에 참여하시는 분들을 통해,
데이터 안보, 신흥안보, 미래전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계신 전문가 분들이 누군지, 어디에서 연구하고 계신지 등도 익힐 수 있죠.
독자께서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고 추가로 심도 있게 공부할 경우, 학술 논문을 포함해 이 분들의 연구업적을 참고하면 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AI 생태계 구축, 데이터 주권 논의, 국방 데이터 등 현재 진행 중인 국제정치, 신흥안보 분야의 연구 동향도 익힐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합니다.
국제정치, 국제정세에 관심 있는 분들은 참석해 함께 탐구하고 공부해 보길 권합니다.//.
[컨퍼런스 프로그램]

'강좌 3 - 한국국제정치학계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IM>이 뭔가요? (5) | 2024.09.06 |
---|---|
[읽기자료] 러시아 관련 학술 저널, <북극연구> 소개 (2) | 2024.09.05 |
국립외교원, <서울외교포럼 2024> 개최(9.5) (1) | 2024.08.27 |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찾아가는 국제정세 설명회> - 소개 (0) | 2024.07.27 |
학술지 - <국제정치논총>(64집 2호) 소개 (2)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