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도널드 트럼프-이시바 시게루>, 미·일 정상회담 개최(2.7)

천상의꿈 2025. 2. 10. 09:19

2025년 2월 7일, 도넡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워싱턴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떻게 분석해야 하며, 어떤 함의가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www.mofa.go.jp

 

이번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1월 20일 취임 이후 한 두 번째의 외국 정상과의 만남입니다. 제일 먼저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였죠.

 

일본은 나름 트럼프 대통령을 빨리 만나기 위해 노력을 했고 그 결실을 거둔 것으로 보입니다. G7 중 제일 먼저 만나는 것이니까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는 아베총리가 그러했듯 트럼프의 마음을 사기 위해 처음부터 많은 공을 들였죠. 이번에는 아베 총리 부인과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대표의 역할이 컸다고도 볼 수 있죠.

 

이렇게 가급적 빠른 시일 내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데는 이유가 있죠.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가측성의 정책 성향을 파악하고, 관세폭탄, 방위비 증액 등 여러 현안에 대한 사전 대비를 하고자하는 측면이 강했을 겁니다. 그래서 LNG의 수입 증대 등 당근을 제시하며, 미일 간 외교와 안보동맹 상황도 재확인하는 내용도 담은 것이지요.

 

정상회담을 분석하는 데는, 먼저 회담이 성사되게 된 △ 배경과 양국의 전략적 입장, △ 양국이 논의하고자 하는 주요 현안, △ 이에 따른 회담 내용 결과와 파급영향, △ 이에 담긴 주변국들의 반응과 시사점, 함의, △ 그리고 미래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전망도 함께 다루면 좋습니다.

이는 여타 정상회담에서도 같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종의 <분석의 틀>(framework of analysis)인 셈이죠.

 

이번 미일 정상회담은 먼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맞아 이시바 시게루가 미국을 방문해 회담하는 성격을 띠었죠. 이는 가급적 빨리 하는 것이 우선순위 부여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아무래도 중요하고 국익에 도움이 될 나라를 선정하게 되니까요. 일본은 트럼프 취임 이후 이스라엘에 이어 두 번째로 회담을 하게 되었으니 나름 성과를 거두었다 볼 수 있죠.

 

국제무대에서의 외교란 이렇듯 보이지 않는 경쟁 요소도 담겨있고, 국제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 제고도 중요하게 작용하죠.

 

이번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주로 일본이 트럼프에게 어필하는 내용이 핵심을 이루었고, 실제로 과거 아베 전총리가 그랬듯 트럼프에게 잘 보이려는 모습을 연출하고자 하였습니다. “아부의 기술로 트럼프의 압박을 피했다”라는 평가도 나왔네요.

 

선물 준비도 치밀하게 의미를 담아 준비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손자들을 위한 <황금 사무라이 투구>도 선물용으로 마련했다고 하죠. 외교에서 의전은 아주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자기편에 호감 가도록 만들어야 하니까요.

 

미일 양국 간 주요현안은 주고받기 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방위비 증액, 동맹 강화 재확인, 주일미군 주둔 비용 추가 부담, 미국 기반 AI 투자, 개발 협력, 중국 견제 강화, 일본 제철의 US스틸 인수 재협상, 북핵 대응 협력 등이 핵심을 이루었습니다.

 

* 공동성명(United States-Japan Joint Leaders’ Statement)은

 

- 평화를 위한 미일 협력(U.S.-Japan Cooperation for Peace)

- 성장과 번영을 위한 미일 협력(U.S.-Japan Cooperation for Growth and Prosperity)

- 인도-태평양에서의 미일 협력(U.S.-Japan Coordination in the Indo-Pacific)

- 일본 방문에의 초대(Invitation to Visit Japan) 등으로 발표되었습니다.

 

공동성명 첫 문구에 “미일 동맹 황금기를 연다”(a new golden age for U.S.-Japan relations)는 내용이 담겨 있어, 이번 회의의 핵심을 잘 드러내고 있죠.

 

미일 양국이 어느 점에 중점을 두었는지 개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내용 면에서는 평화, 성장, 번영이며, 지역적으로 인도태평양에 중점을 둔 것이죠. 또한 마지막으로 가까운 시일 내 트럼프 대통령이 초청을 받아 일본을 방문하기도 한 것도 발표내용에 포함 되었습니다.

* 참고로 공동성명은 회담 결과와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꼭 살펴봐야 하는 1차 자료에 해당됩니다.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s-statements/2025/02/united-states-japan-joint-leaders-statement/

 

United States-Japan Joint Leaders’ Statement

President Donald J. Trump and Prime Minister Ishiba Shigeru held their first official meeting today in Washington, D.C., where they affirmed their

www.whitehouse.gov

 

이번 회의를 통해 일본이 시대적 상황과 미국 리더십 변화에 따른 치밀하고 재빠른 대응의 모습을 보여준 점은 높게 평가될 수 있죠. 나름 미국과 일본 모두 자국의 국익에 해당되는 내용을 협의 실천하게 되었으며,

 

불확실성의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였지만 어느 정도 선방하는 효과를 거두었다고 보여 지기 때문입니다. 국제무대에서 외교는 어떻게 하는 것이다 하는 좋은 사례를 보여준 것이기도 하죠. 이번 정상회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일본문제 전문가들에 의해 진행될 겁니다.

 

취임 초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정상회담을 하고자 하는 일정이 계속 잡혀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회담이 예정되어 있다고 하죠. 또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주목을 끌 것으로 보입니다.

 

위에서 제시한 양국 정상회담을 분석하는 틀을 다시 한 번 상기하면서 어떤 회담과 방문, 외교 일정이 지속되는 지 모니터링 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