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2 - 러시아 정치-외교

러시아-우크라이나 흑해 휴전 합의(3.25)

천상의꿈 2025. 3. 27. 17:51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에서의 안전 항해 보장을 포함해 부분 휴전을 하는데 합의하였습니다. 물론 양국 당사자가 직접 만나 논의한 것은 아니고, 미국이 중간에 러시아, 우크라이나를 따로 만나 합의를 이끌어 낸 것입니다.

 

장소도 제3의 장소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이뤄졌습니다. 3개국 대표단이 같은 호텔에 머무르면서 회의를 진행했죠.

www.mk.co.kr

 

위의 사실 파악도 중요하지만 <이 포스팅에서는>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분석 할까요~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탐구해 봅니다.

 

1. 먼저 이전까지 진행되어온 과정과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겠죠.

2. 다음에는 어떤 내용이 합의되었는가가 중요하며,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협상에 임하는 입장과 전략을 파악해야 합니다. 물론 이와 연계된 파급

3. 부분 휴전의 의미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 등이 무엇인지도 파악해야 합니다.

4. 끝으로는 이에 따른 파급영향을 생각하고,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도 전망해보는 거죠. 여기에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도 검토하면 더 좋지요.

 

1.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의 첫 물꼬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 정상 통화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2월 8일이죠. 그 후 미국과 러시아 간 고위급회담이 진행되었고(2.18),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고위급 회담(3.11)이 연이어 이뤄졌습니다.

여기서 30일 휴전안이 제기되었고, 그 후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중동 특사가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과 만나 논의를 이어갔습니다.(3.11)

이 번 회담은 이의 연장선에 이뤄진 겁니다.

 

2. 이번 3월 23일부터 25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된 러우전쟁 종전 협상 진행에는,

 

- 미국에선 마이클 왈츠(Michael Waltz)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키스 켈로그(Keith Kellogg) 우크라이나 특사, 마이클 앤턴(Michael Anton) 국무부 정책기획국장이 참석했으며,

 

- 러시아에선 그리고리 카라신(Grigory Karasin) 연방평의회 국제문제위원회 위원장과 세르게이 베세다(Sergei Beseda) 연방보안국(FSB) 국장 고문이 참여했습니다.

지난번 고위급 회담보다는 다소 격이 떨어졌지만, 실질적인 내용을 다루는 실무진격 회담이었죠.

 

3. 미국의 중재로 먼저 우크라이나 측과 만나 휴전 내용을 협의했고, 다음에 러시아 측과 만나 협의 내용을 조율한 뒤 합의를 이끌어 낸 것입니다.

* 내용을 보면 첫째, 흑해에서 안전 항해 보장, 둘째, 상선의 군사 목적으로의 사용 금지, 셋째, 에너지 시설에 대한 30일간 상호 공격 중단, 넷째, 합의 이행을 돕는 제3국 중재 환영 등입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1274500

 

美중재끝에 … 러·우크라 '흑해 휴전' 합의 - 매일경제

시행 시점 놓고는 양국 이견우크라 "즉각 휴전 시행을"러 "제재 먼저 풀어야 가능"

www.mk.co.kr

 

이에 대해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측 모두 환영하고 합의를 도출해 내었습니다. 이는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시작된 이래로 처음으로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나름 전쟁 종식으로 가는 첫 걸음을 띠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좀 더 큰 틀에서의 휴전 협상을 진행할 토대를 닦은 겁니다.

 

4. 반면에 한계도 있습니다. 이견도 존재하고 또한 서로 요구하는 것에 대한 불신감도 있고, 실제로 실행에 옮겨질 것인가 하는 것도 남아있기 때문이지요.

가장 큰 것이 효력 시점에 대한 이견입니다.

우크라이나는 즉각 휴전 효력 발생을 주장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농산물 수출, 은행, 기업에 대한 제재가 해제된 후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사실 대러 제재 문제는 앞으로 진행될 휴전협상에 있어 영토 문제와 함께 핵심적인 사안 중의 하나입니다. 이번에 비록 부분적이지만 대러 제재가 해제된다면 이 또한 고비를 하나 더 넘는게 됩니다.

물론 유럽권에 있는 나라들은 이에 반대하고 있고,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일관된 대러 제재에 균열이 생기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죠. 미국은 이에 대해 러시아편을 들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 또한 앞으로 어떻게 진전을 이뤄나갈지 지켜봐야하는 사안입니다.

 

암튼 이번 부분 휴전 합의를 통해 러우전쟁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높아졌습니다. 세부 실천 부문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잘 이해되어 보다 진전된 모습을 보였으면 합니다.

 

5. 마지막으로 자료를 참고할 때는, 저명한 국제 언론 보도뿐만 아니라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의 공식 발표문과 브리핑, 러시아 크렘린궁의 발표문과 브리핑, 우크라이나 외교부와 국방부의 공식 발표문들을 함께 살펴보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 공동성명이 나오지 않은 것,

- 주요 합의 내용을 다룬 것을 비공개로 하는 것,

- 논의 중에도 군사적 공격을 하는 것 등 이번 사례를 통해, 주요국의 외교정책결정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외교정책결정 모델을 적용해 접근해 보는 것도 좋은 공부 경험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객관성을 견지해 가면서 그 의미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도 탐구해 보길 권합니다.//.

 

[추가 탐구]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s-statements/2025/03/outcomes-of-the-united-states-and-ukraine-expert-groups-on-the-black-sea/

 

Outcomes of the United States and Ukraine Expert Groups On the Black Sea

Outcomes of the United States and Ukraine Expert GroupsOn the Black Seain Riyadh, Saudi ArabiaMarch 23-25, 2025 In line with presidential-level

www.whitehouse.gov

 

https://www.bbc.com/news/live/c4g7w7521w0t

 

Russia and Ukraine agree Black Sea ceasefire, but Zelensky says Russia is lying about terms

The two countries agree to ensure safe navigation of ships and eliminate the use of force in the Black Sea, the US says after talks in Riyadh.

www.bbc.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