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드미트리예프(Kirill Dmitriev)는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입니다. 2011년부터 맡아왔으니 꽤 오래됬죠. 또한 미-러 간 진행 중인 러우전쟁 휴전 협상에서 특사로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실질적이고 막후 영향력을 지닌 인물이죠. 실제로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지난 2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국과 러시아의 장관급 회담에도 참석했습니다.
키릴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4월 2일부터 3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과 미·러 관계와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사로 파견되는 위상으로 보아 앞으로도 계속 미국을 방문해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드미트리예프는 2022년 러우전쟁 발발 이후 미국을 방문한 러시아 최고위급 인사이며, 미국의 제재 대상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번 방문을 계기로 일시적으로 제재를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죠. 예외를 적용해 가며 협의의 장을 마련하고 있는 겁니다.
러시아 측은 이에 대해 <신중한 낙관주의>라고 표현해 주목을 끌었으며, 특사 파견을 통해 여러 현안을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러 양측은 공식관계를 복원하는데 합의하였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무 논의도 진행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이견도 많고 그간 쌓여진 불신도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양측 모두 러우전쟁의 조기 종식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상호 입장과 접근 인식을 터놓고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요 현안은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 문제, 대러 제재의 해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불허 등에서부터 희토류 개발 및 북극 협력, 양국 직항편 복원, 우주 협력, 대사관 직원의 복귀 등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중재로 30일간 부분 휴전에 원칙적으로는 동의했지만 세부 사항에서 이견을 보이며 휴전이 이행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https://www.rdif.ru/Eng_person_dmitriev_kirill/
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Kirill Dmitriev - Chief Executive Officer. 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www.rdif.ru
앞으로 종전 협상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키릴 드미트리예프의 행보에 관심을 갖고 살펴보아야겠습니다.//.
[추가 탐구]

'강좌 2 - 러시아 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우크라이나 흑해 휴전 합의(3.25) (2) | 2025.03.27 |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3.18) (0) | 2025.03.21 |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전화통화(2025.2.24.) (1) | 2025.02.27 |
<학술 타임캡슐> 2024년 한러대화-제주평화연구원 공동 컨퍼런스(2024.12.19-20) (0) | 2025.02.13 |
<학술 타임캡슐> 한러수교 30주년 학술회의(2020.09.25.) (1)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