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1일(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내용과 함의를 지녔는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양측의 참석자는
미국에서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Mike Waltz) 국가안보보좌관,
우크라이나에서는 안드리 예르마크(Aneriy Yermak) 대통령 비서실장, 안드리 시비하 (Andrii Sibiha)외무장관, 루스템 우메로우(Rustem Umerov) 국방장관입니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 그간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지요. 먼저 2월 8일에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취임 후 처음으로 정상통화를 했습니다.
이어 2월 18일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인사들이 회동해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자리에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하였지요. 러시아에서는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y Lavrov) 외무장관과 유리 우샤코프(Yuri Ushakov) 크렘린 보좌관이 나왔습니다. 이 회의에 우크라이나와 유럽 국가들이 빠져 논란과 함께 국제적 관심을 모았지요.
그리고 2월 28일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서로 말다툼 끝에 파행으로 끝났죠. 이어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지원을 중단하는 등 보복성의 조치를 취했고,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에 감사의 말을 전하는 등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바로 전날인 3월 10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만나 포로석방과 경제협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다른 한 편으로 보이지 않게 고위급 회담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었죠.
3월 11일에 개최된 이번 회의는 이러한 진행과정의 연장선에 이뤄진 것입니다. 과연 파행과 불협화음을 겪은 양국 관계가 다소 회복될까. 우크라이나가 가져온 종전 협상 카드의 내용은 무엇일까. 어떤 합의에 이를까 등이 궁금한 점이었습니다.
공동성명에 따르면,
(한 페이지에 불과하니 전문을 읽어보길 권합니다. 어떤 내용과 어투가 있는지 담겨있는지 감안하면서 말이죠.)
이날 논의에서 양측은 30일간의 부분휴전과 광물협정의 조속한 체결,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보공유와 안보 지원을 재개하는 것에 대해 합의하였네요.
https://www.state.gov/joint-statement-on-the-united-states-ukraine-meeting-in-jeddah/ (공동성명 전문)
Technical Difficulties
We’re sorry, this site is currently experiencing technical difficulties. Please try again in a few moments. Exception: forbidden
www.state.gov
암튼 이번 회담은 미국과 우크라이나 모두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는 선에서 이뤄진 것 같습니다. 부분휴전과 광물협정, 중장기적 안전보장의 논의 등이 그것이죠.
유럽의 국가들은 이번 회담의 결과를 놓고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일단 첫 단추를 꾀어낸 셈이고, 앞으로의 추가 진전 공은 러시아 측으로 넘어간 상태입니다.
금주 중으로 미국의 스티브 위트코프(Steve Witkoff) 중동특사가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해 이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러시아의 반응과 대응이 주목됩니다.
3월 11일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종전 협상 회의와 이것이 이뤄지게 되는 외교적 과정을 통해, 국제무대에서 외교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얼마나 중요한 지 등을 함께 느끼고 배우고, 탐구해 보는 기회를 주고 있네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폭탄, 세계 증시의 출렁임, 불확실성의 증대, 유럽의 자체 군비 확충 움직임, 주요국의 선제적이고 부심한 대응 등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 것인지, 많은 변수들과 함께 생각해 보았으면 하네요. 보다 큰 시각 속에 우리의 위치도 객관적으로 살펴보며, 미래를 대비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추가 탐구]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우전쟁 3년, 종전 협상 논의 진행 중(2025.03) (0) | 2025.03.15 |
---|---|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 유럽연합(EU)의 재무장 (0) | 2025.03.14 |
캐나다 새총리에 경제학자 <마크 카니>(Mark Carney) (1) | 2025.03.11 |
최근 국제정세 이해를 위한 <읽기자료> 3개 (1) | 2025.03.10 |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3)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