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원장 김준기)에서 “경제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산업, 문화, 안보의 융합”을 간행하였네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국가미래전략원>은 2021년 11월 서울대 대학본부 직할 연구시설로 설립하였으며, 이름 그대로 국가정책을 다루는 싱크탱크(think tank)입니다.
국가정책을 다루는 만큼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고, 총 7개의 클러스터로 되어있죠.
- 민주주의 클러스터,
- 팬데믹 클러스터,
- 과학과 기술의 미래 클러스터,
- 경제안보 클러스터,
- 인구 클러스터,
- 글로벌 한국 클러스터,
- 탄소중립 클러스터입니다.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국가와 세계가 직면한 핵심 주제를 연구, 소통하는 클러스터 구성 운영합니다.
ifs.snu.ac.kr
이중 이번에 간행한 보고서는 <글로벌 한국 클러스터>에서 주관한 것이네요.
* 한국의 강대국 부상을 위한 <국가전략>을 다루고 있는데,
내용을 보면, 4개의 부문에 대한 개별적 세부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미래지향적이며,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사안을 잘 다루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세부적인 목차 구성을 읽어만 봐도 큰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 서론
II. 국가 정체성: 개방적 네트워크 강국
III. 산업 전략: 혁신지대와 생산기지 전략
IV. 문화 전략: 개방적 대중문화 플랫폼 육성 전략
V. 안보 전략: 번영 네트워크의 안보적 위험 관리
VI. 결론
미래 국가전략과 국가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어떤 실천을 해야 하는지 그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하고 있네요.
* 각 부문별(4가지)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한번 쭈욱 읽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o 국가 정체성: 개방적 네트워크 강국
- 한국의 강대국 부상
- 폐쇄적 민족주의를 넘어 개방적 네트워크로
- 역사 내러티브를 통한 정체성의 모색
o 산업 전략: 혁신지대와 생산기지 전략
- 혁신 주도 성장 단계로의 도약 필요성
- 한국 경제가 직면한 국제정치의 도전
- 혁신지대 전략
- 글로벌 생산기지 확보
- 물류-금융을 통한 경제 공간의 확대
o 문화 전략: 개방적 대중문화 플랫폼 육성 전략
- 대중문화 플랫폼: 한국 대중문화의 성공 기반
- 개방적 대중문화 플랫폼 발전 전략
- 정부의 역할
o 안보 전략: 번영 네트워크의 안보적 위험 관리
- 한국이 직면한 해양안보 위험
- 미국과 중국의 해양력 경쟁
- 한국의 인도-태평양 지역 해양안보 전략
- 우주안보의 도전과 기회
- 한국형 우주 안보영역 및 구분
- 한국형 우주안보 전략
무엇보다 4개의 분야를 다루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서 봐야죠.
바로, <국가 정체성>, <산업 전략>, <문화 전략>, <안보 전략>이군요.
어떻게 보면 조지프 나이(Joseph Nye) 교수가 이야기한 soft power와 hard power, 모두를 아우르는 smart power를 키워 나가는 내용을 담고 있죠.
내용 중,
<국가정체성>, <개방성>, <국제정치>, <혁신>, <플랫폼>, <네트워크>, <해양안보>, <우주안보>, <한국형> 등이 핵심어로 와 닿네요.
2024년 7월에 발간되었으니 최근의 사안까지 다루고 있겠죠. 시의성과 적실성을 띤 연구물인 겁니다.
미래 한국이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는 노력과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보다 관심 있는 독자 분들은 <요약>(summary)을 포함해 전체 내용을 읽어보길 권합니다.
*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 현 국제정세를 이해하는 지식, 국제무대에서의 한국 미래상, 그리고 자신의 미래 모습을 가꾸어 볼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 탐구]
https://ifs.snu.ac.kr/news/publication?mode=view&pubidx=23
출간물 - 소통·소식 -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ifs.snu.ac.kr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라프 숄츠> 총리, 카자흐스탄 방문(9.16) 함의는? (4) | 2024.09.19 |
---|---|
[Quiz]로 풀어보는 국제정세 <리더와 국가> (1) | 2024.09.18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9.8-9.14) - Issues & Key Words (10) | 2024.09.16 |
<Joe Biden-Keir Starmer> 정상회담(9.13) 함의는? (2) | 2024.09.14 |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2)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