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정치경제의 접근법의 하나인 현실주의 시각을 눈으로 읽어보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봅니다.
강의 주교재로 삼고 있는 <임혜란, 이영섭 공저, 국제정치경제와 동아시아, 율곡출판사, 2020>을 참고하였습니다.
PDF 파일로 정리하였으며, 탑재한 참고자료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며 살펴보길 바랍니다.
국제정치경제의 접근법에는 3가지가 있는데, 현실주의 시각, 자유주의 시각, 맑스주의 시각이 있습니다. 물론 이는 강조하고 주장하는 학자들에 따라 다릅니다. 크게 보아 이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 3가지는 세부적으로 각각 패권안정이론, 죄수의 딜레마와 국제협력의 이익, 그람시적 분석과 연계되어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핵심은 현실주의(realism)의 기본 가정인 국제체제는 무정부상태이며, 가장 중요한 행위자가 국가이며, 바로 이 국가는 합리적 행위자라는 것이지요. 과연 그런가요.
트럼프 2.0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의 국제정치경제의 향배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를 분석하고 설명하는데 여러 이론이 등장하지요. 현실주의, 현실주의자 등의 용어에 보다 익숙해 질 필요가 있습니다.
준비 된 PDF 파일을 참고하고, 신현실주의와 패권안정이론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길 권합니다. 참고로 패권안정이론(Hegemonic Stability Theory)는 국제정치경제 질서와 패권국 존재 간이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자료) 국제정세 분석을 위한 접근법 - paradigm (1) | 2025.04.03 |
---|---|
중국, 대만 봉쇄 겨냥 군사훈련(2025.4.1~2) (2) | 2025.04.02 |
WP, 트럼프 행정부 ‘국방 잠정 전략 지침’ 보도(3.29) (4) | 2025.03.31 |
2025 보아오포럼(Boao Forum) 개최(3.25-28) (3) | 2025.03.28 |
지금 세계 저편에서는..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5)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