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0일(목)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국가전략적 차원에서 어떤 내용과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우선 목표는 한국형 AI 챗GPT 개발을 통해 세계 3대 강국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한국은 국가 AI 역량에 있어 미국과 중국 등에 비해 뒤처져 있었는데, 이를 따라집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노력하는 방안을 강구한 것이지요.
이미 미국은 스타케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AI 기술 인프라에 5000억 달러(약 73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죠. 엄청난 돈을 투자해 선도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프랑스도 파리 AI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1090억 유로(약 163조원)을 투자하기로 하였습니다.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가면서 AI 개발과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는 것이죠. 그만큼 AI 분야는 미래 국가발전에 있어 아주 중요한 게임체인저(game changer)이기 때문입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내용을 살펴봅니다. 어떤 전략과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먼저 3가지 핵심 방안을 꼽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인재>, <인프라>, <데이터> 3개의 부문으로 나눠져 있네요.
1. 인재 부문에서는 AI 국가 정예팀 중심으로 개발하고,
2. 인프라 부문에서는 고성능 GPU 1.8만장을 확보하고,
3. 데이터 부문에서는 AI 위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한국형 챗GPT를 목표로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인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정예의 국가대표팀을 선발해 운영해 나간다는 것이죠.
가능한 1년 내 LLM 모델을 개발해 내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인재 모집을 위해 대규모 경진대회인 ‘글로벌 AI 챌린지’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밖에 2026년 상반기까지 1만 8천장의 GPU를 확보할 목표도 설정했습니다.
끝으로 AI 학습을 위한 공공과 민간데이터도 대폭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 어떻게 보면, 이는 크게 3개의 축을 형성하고 있죠.
△ AI 인재와 스타트업 육성, △ GPU 등 인프라스트럭처 확충, △ 공공, 민간 데이터 개방 등입니다.
* 세부 전략을 보면,
- 전략 1: AI개발의 필수 전략 자원인 AI 컴퓨팅 인프라 대폭 확충,
- 전략 2: 역량있는 AI 인재·기업 집중 지원으로 세계적 AI 모델 개발,
- 전략 3: 국가 AI 컴퓨팅 확충으로 개발된 AI 모델로 국가 AI 전환 가속화 등입니다.
세계는 지금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국가 도약과 발전을 위한 사활적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첨단기술과 관련된 국가 간 경쟁의 성격이 무엇인가 하는 점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개별적으로는 앞으로 직업 선택과 돈벌이와도 직접 연계되는 사안이기도 하죠.
국가가 깊은 관심 속에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다뤄 나가는 만큼, 그 이해도를 높이고 방향성을 잘 찾아 나름 나와 연계될 사안이 무엇일지 고민해 볼 필요도 있겠죠.//.
[추가 탐구]
참고로, 기획재정부에는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보도자료>를 통해 이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독자 분들은 통독해 보길 권합니다.
제목이 <국가 가용자원 총동원하여 대한민국 AI G3 도약 지원>입니다.
구성은: <추진배경>, <우리의 현주소>, <추진 방향>, <세부 추진 과제>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75210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개최
정부는 2.20(목) 오전 10시국가인공지능위원회 회의실에서제3차국가인공지능위원회(위원장최상목대통령권한대행부총리겸기획재정부장관)를개최하였습니다.*자세한사항은첨부파일을확인하여
www.korea.kr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2025.2.24.), 함의와 시사점 (0) | 2025.02.24 |
---|---|
(싱크탱크) 동아시아연구원(EAI) 소개 (1) | 2025.02.22 |
싱크탱크, 통일연구원(KINU) 소개 (2) | 2025.02.20 |
국제정세 분석 법 – 미·인도 정상회담(2.13), case study (1) | 2025.02.19 |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막전막후 외교전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