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연구원(EAI)은 2002년 제1대 이사장으로 이홍구 전 국무총리가 취임하면서 설립되었습니다. 2012년 제2대 이사장으로 하영선 서울대 명예교수가 취임해 현재에 이르고 있네요. 당시 세계싱크탱크 순위 65위 진입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원장은 손열 연세대 교수입니다.

출간물은 <논평·이슈브리핑>, <워킹페이퍼>, <스페셜리포트>, <JEAS>, 단행본, <멀티미디어> 등이 있으며, 최근 주목되는 국내외 이슈에 대해 전문가들의 글을 지속적으로 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2025년 신년기획 특별논평 시리즈]에서는
① 트럼프주의 외교전략과 세계질서의 미래, 한미관계(전재성)
② 중국의 새로운 글로벌 역할의 모색, 대미 전략과 한반도(이동률)
③ 2025년 북한과 세계: 미중관계, 러우전쟁, 그리고 트럼프(박원곤)
④ 2025년 한일관계 3대 리스크 관리(손열)
⑤ 2025년 인도-태평양 전망과 한국의 과제(박재적)
⑥ 트럼프 2.0 시대 트럼프 리스크와 한국(이승주)
⑦ 2025 인공지능 기술 경쟁과 세계정치: 한국의 대응 전략(배영자)
⑧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쇠퇴속 한국 민주주의 외교의 과제(이숙종)
⑨ 2025년 세계안보 현실 대 인식: 인공지능의 군사적 이용과 공격 숭배 현상(김양규) 등이 발간되었습니다.
또 다른 카테고리인 [워킹페이퍼]에서는, [양극화와 한국 민주주의 시리즈] 제하로 여러 글들을 간행하고 있습니다. 간행된 순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네요.
① “조용한” 중도는 무엇을 원하나(강원택)
② 비상계엄의 원인에 대한 인식과 제도 개혁에 대한 태도(성예진)
③ 누가 계엄을 지지하는가?(박범섭)
④ 왜 못 믿을까? 선거 공정성 인식과 선관위 신뢰(김지혜)
⑤ 2016년과 2024년,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을까?(유성진)
⑥ 청년 세대의 정치 참여 젠더 격차(김한나)
⑦ 고령층의 계엄에 대한 태도(정인관)
⑧ 일상적 소통, SNS, 정서적 양극화(한준)
⑨ 양극화와 외교정책(손열)
⑩ 양극화 시대의 정치 개혁(하상웅) 등.
동아시아연구원(EAI)에서는 위의 두 개 사안만 보아도, 시의성 있는 국내와 국제 문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자료는 모두 개방되어 있으니 관심 있으면 참고하길 바랍니다.
참고로 최근에 간행한 단행본으로는,
-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손열, 이정환 엮음), (2024년 3월),
-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경제안보의 부상, 위기와 기회](손열, 이승주 편)(2024년 4월),
- [2024년 22대 국회의원선거 분석: 중간평가, 정치 양극화와 제3당](강원택 편)(2024년 11월),
- [트럼프의 귀환, 미국의 미래](손열, 하상웅 편)(2025년 1월) 등이 있네요.
학기별 인턴장학생, EAI 사랑방 등도 모집해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외 문제를 다루는 싱크탱크이니, 직접 홈페이지를 방문해 살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추가 탐구]
* 동아시아연구원(EAI) 홈페이지
https://eai.or.kr/new/ko/main/
EAI 동아시아연구원
eai.or.kr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총선(2025.2.23.), 총리가 교체되나 – 프리드리히 메르츠 (4) | 2025.02.25 |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2025.2.24.), 함의와 시사점 (0) | 2025.02.24 |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대한민국 인공지능(AI) G3 도약 추진 (0) | 2025.02.21 |
싱크탱크, 통일연구원(KINU) 소개 (2) | 2025.02.20 |
국제정세 분석 법 – 미·인도 정상회담(2.13), case study (1)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