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중국 + 10개 국제경제기구> 대화(베이징, 12.10)

천상의꿈 2024. 12. 11. 19:31

2024년 12월 10일 중국은 10개의 국제기구 대표를 초청해 <1+1> 대화를 개최했습니다. 어떤 기구가 참여했고 함의는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

아래의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민대회당에 모인 10개 국제경제기구 대표들과 함께한 모습입니다.

www.mfa.gov.cn; www.scmp.com

 

요즈음은 다양한 회의체가 있죠. G7, G20, C5+1, 2+2 등이 대표적이죠.

 

2+2 의 경우, 외교부와 국방부 장관이 모입니다.

C5+1의 경우, C5는 중앙아시아 국가 5개를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미국, 중국, 일본이 이와 같은 회의를 진행했죠.

 

이번의 <1+10> Dialogue는 10개의 국제기구 수장들이 중국(1)과 만나는 것을 지칭합니다.

그만큼 중국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이 커졌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번에 참석한 주요 국제경제기구는 무엇일까요?

 

- 신개발은행(NDB),

- 국제금융기금(IMF),

- 세계은행(WB),

- 세계무역기구(WTO),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중국이 국제경제기구 수장과 대화하면서 강조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동구공제(同球共濟)', 단결·협력, 호리공영(互利共贏·상호이익과 윈윈)을 시대적 기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외에 다자주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세계의 다극화, 포용적인 세계 경제화, 공정한 세계 건설 등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현 시진핑 국가주석 체제에서 세계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하고 싶은 것, 추구하고자 하는 점을 엿볼 수 있죠.

 

참고로 국제정치경제 부문의 이해를 위해 주요 국제경제기구의 수장들 이름을 기억해 두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지우마 호세프(Dilma Rousseff) 신개발은행(NDB) 총재(브라질),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Kristalina Georgieva) IMF 총재(불가리아),

- 아제이 방가(Ajay Banga) 세계은행 총재(인도),

-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Ngozi Okonjo-Iweala)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나이지리아)

- 진리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총재(중국) 등이죠.

 

https://www.mfa.gov.cn/eng/xw/zyxw/202412/t20241210_11541743.html

 

President Xi Jinping Meets Leaders of Major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_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

On the morning of December 10, President Xi Jinping had a collective meeting with the leaders of major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at the Great Hall of the People in Beijing. President Xi posed for a group photo with the participating leaders at t

www.mfa.gov.cn

 

참고로, <Microsoft의 Copilot AI 도우미>에게 "국제경제와 관련 있는 중요한 국제기구 10개를 선별해 달라"고 했더니 다음과 같이 정리해 줬네요.

 

* 국제경제와 관련이 있는 가장 중요한 10개의 국제기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통화기금 (IMF):

글로벌 금융 안정을 유지하고, 국제 무역을 촉진하며, 경제 성장을 촉진합니다.

2. 세계은행 (World Bank):

개발도상국에 금융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여 경제 발전을 돕습니다.

3. 세계무역기구 (WTO):

국제 무역 규칙을 설정하고, 무역 분쟁을 해결합니다.

4. 유엔 경제사회국 (UN DESA):

경제, 사회적 발전을 촉진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합니다.

5. 아시아개발은행 (ADB):

아시아 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인프라 개발을 지원합니다.

6.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행 (AIIB):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개발을 지원하며, 경제적 협력을 촉진합니다.

7. 아메리카 개발 은행 (IDB):

아메리카 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사회적 개발을 지원합니다.

8. 유럽 중앙은행 (ECB):

유럽 연합의 통화 정책을 수립하고, 경제 안정을 유지합니다.

9. 국제농업개발기구 (FAO):

식량 안보와 농업 발전을 촉진합니다.

10. 유럽 재건 및 개발은행 (EBRD):

유럽, 중앙아시아, 북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합니다.

<Microsoft Copilot AI 도우미>



* ChatGPT 참고해 활용할 만하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