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298

프리드리히 메르츠(Friedrich Merz) 독일 기독민주당 대표, 새로운 독일 총리로 선출(5.6)

2025년 5월 6일, 프리드리히 메르츠(Friedrich Merz) 독일 기독민주당(CDU) 대표가 독일 총리로 선출되었습니다. 원래 1차 투표에서 될 줄 알았으나, 과반 득표를 하지 못해 2차 투표 끝에 선출된 겁니다. 2차 대전 이후 처음 발생한 이례적 일이라고 하네요. 총리로 선출되기 위해서는 전체 의원 수 630명중 과반인 316표를 얻었어야 했습니다. 1차 투표에서는 621명이 참여해 310표를 얻었고, 2차 투표에서는 618명이 참여한 가운데 325표를 획득해 과반을 넘겼습니다. 반대표는 총 289명이었네요. 독일 총리 선출 과정만을 보아도 지금 독일 내 수많은 정파들 간의 이합집산이 이뤄지고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죠. 독일은 지난 2025년 2월에 치러진 연방의회 총선에서 중도보수 기독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전략 방향 : 3단계

2025년 5월 4일(일)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전략 방향에 대해 밝혔습니다. 한마디로 관세, 감세, 규제 완화의 3박자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지요. 구체적으로 탐구해 봅니다. 5월 4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글을 통해 경제전략 방향을 제시했네요.제목은 “Trump’s Three Steps to Economic Growth:His tariffs, tax cuts and deregulation efforts make up a coherent strategy to benefit Main Street.”입니다. 트럼프의 경제 성장을 위한 전략은 크게 세 단계로 이뤄졌다고 하는데.. 첫째, 글로벌 무역 재협상입니다. 이는 지금 관세전쟁을 매개로 하..

[읽기자료] 국제질서 재편과 한국의 외교 방향

트럼프 2.0 시대는 새로운 국제질서 재편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한국의 외교 방향과 과제를 다룬 글을 소개합니다. 국제정치 전문가들의 칼럼은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폭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기도 하지만, 국가의 대응 정책과 전략을 수립,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죠. 지금 세계는 1945년 이후 지탱되어 온 규칙, 규범 기반의 국제질서가 힘을 통해 해결해 나가려는 무질서의 모습으로 변화해 가고 있습니다.​[읽기자료]는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자 전(前) 외교통상부 장관의 라는 제목의 칼럼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335 [선데이 칼럼] 혼란기 한국 외교, 뜻맞는 국가들과의 연대 강화 | 중앙일보셋째, 국민들은 또한 힘의 논리와 국제 무..

[읽기자료] 한국외교협회, <외교>(2025년 4월호)

한국외교협회에서는 2025년 4월 e-journal을 발간했습니다. 2025년 4월호 이며, 153호입니다. 계간인데 제법 연륜이 있다고 봐야죠.매호 특집 형태로 진행되는데 이번에는 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정확한 주제는 입니다. * 한국외교협회는 『외교』지에 대해 이렇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1987년 창간이래 외교정책 및 국제정치에 대한 분석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학술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전·현직 외교관을 포함한 협회 회원과 학계, 연구기관 등 외부 전문가들의 논문과 학문적 견해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이번호(2025년 4월호)는 한국의 공공외교에 대한 현주소와 미래 과제를 총체적으로 담아 잘 소개하고 있으니, 에 관심 있는 독자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 참고로 세부 내용은 - 한국 르네상스의 ..

트럼프 취임 100일(4.29) 국제정세 풍경과 시사점

2025년 4월 29일(화)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 100일째 되는 날입니다. 어떤 변화가 있었고 국제정치 측면에서 뭘 의미하는 지 탐구해 봅니다. 국제정치 학계에서는 라고 표현합니다. 이제 시작된 지 100일밖에 안되었는데 많은 변화가 있었고, 관세전쟁을 비롯해 현재도 초불확실성 모습이 진행 중에 있죠.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운 주장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입니다. 쇠락한 미국을 다시 부상시키고 제조업을 비롯해 주요 산업 공장도 미국으로 되돌아오게 한다는 것이지요. 소위 러스트 벨트를 없애고 제조업 부활을 통해 새로이 강대국으로 재도약하겠다는 다짐인 셈이죠. 이에는 동맹도 차선책일 뿐이고, 오직..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베트남 방문(4.28) 함의는

2025년 4월 28일(월) 이시바 시게루(石破 茂) 일본 총리는 베트남을 방문해 팜민찐(Pham Minh Chinh)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왜 이 시점에 방문했고, 무슨 말을 나눴으며 어떤 함의가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이번 사진은 얼마 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트남을 방문해(4.14) 찍은 사진을 떠올리게 합니다. 동아시아의 두 강대국이 서로 베트남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 한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죠. 정상회담을 분석-평가할 때 △ 방문 배경과 목적, △ 주요 현안, △ 전략적 입장과 목표, △ 공동성명 등 합의 사항, △ 파급영향과 전망, △ 시사점과 함의 등을 다루면 좋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베트남 방문은 얼마 전(4.14~18) 시진핑 국가주석이 베트남을 비롯해 동남아 ..

프란치스코 교황(Pope Francis), 영면과 조문(弔問)외교

2025년 4월 26일(토), 이탈리아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이 열렸습니다.세계의 높은 관심과 애도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은 소박하게 진행되었으며, 로마 성모대성전에 안장되었습니다. 관에는 라틴어 이름만 새겨졌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이번 장례식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등 국가원수 약 50명과 군주 약 10명을 포함한 130여 개 국 대표단도 바티칸을 찾아 애도했죠. 많은 국가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한 만큼, 조문외교도 활발하게 이뤄졌겠죠.참석자 면면만 보아도 어떤 만남과 이야기가 오갔을지 짐작해 볼 수 있겠죠.누가 참석했나. 이름만이라도 살펴봅니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국제정치경제(IPE) 정세, IMF의 세계경제전망(WEO)(2025.4.22.)

2025년 4월 22일(화)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습니다. 주목되는 것은 지금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이 진행 중에 있는 과정 속에 나왔다는 점이며, 또 하나는 세계경제 성장율이 지난 1월 전망치보다 0.5% 낮은 2.8%를 제시했다는 점입니다. 한마다로 세계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이지요. 한국의 경우도 1월에 제시한 2.0%에서 이번에는 1.0%로 조정했습니다. 주요국들 중에서 가장 안 좋은 전망치를 받았습니다. 미국의 경우 2.8%에서 1.8%, 중국은 5.0%에서 4.0%, 독일은 –0.2%에서 0.0로, 일본은 0.1%에서 0.6%, 인도는 6.5%에서 6.2%, 러시아는 4.1%에서 1.5% 등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IMF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세계 경제성장율 전망뿐만..

트럼프발(發) 관세전쟁 - 설계자는 누구이며, 어떻게 봐야 하나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Donal Trump)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전쟁이 점입가경입니다. 특히 미중 간 서로 맞대응하며 치킨게임(chicken game) 양상을 띠고 있죠. 시발점인 4월 2일 미국은 중국에 34%, 유럽연합(EU)은 20%, 일본은 24%, 인도는 26%, 대만은 32%, 베트남은 46%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이후 변화를 거듭해 중국을 제외하고 여타 국에는 90일 간 유예를 하고 개별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월 22일 기준으로 미국은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중이며, 중국 역시 125%의 고율 관세를 4월 12일부터 적용하고 있습니다. 비록 트럼프 대통령이 실행에 옮기고 있지만, 그 뒤에 있는 관세전쟁의 설계자에도 주목해 봐야 합니다. 핵심 인물..

[지식 스토리지 25-3] 푸틴 탐구 - 정치체제와 국제정세 인식

[지식 스토리지 25-3]입니다.지식 스토리지는 필자의 을 국제정세 이해를 위한 지식 팁(Tip)으로 묶은 것을 쌓아두는 보물창고(寶庫)입니다. 지식공유와 재능기부 차원에서 제공합니다. 맘 컷 거둬가세요. 이번 25-3은 푸틴 대통령과 연계된 2개의 PDF를 모은 겁니다. 과거의 것이지만, 현재에도 유용하니 참고하길 바래요.​푸틴정부의 정치체제 : 발현(2024/12/07),러시아 대통령은 국제정세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24.01.02) 참고자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