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299

[지식 스토리지 25-3] 푸틴 탐구 - 정치체제와 국제정세 인식

[지식 스토리지 25-3]입니다.지식 스토리지는 필자의 을 국제정세 이해를 위한 지식 팁(Tip)으로 묶은 것을 쌓아두는 보물창고(寶庫)입니다. 지식공유와 재능기부 차원에서 제공합니다. 맘 컷 거둬가세요. 이번 25-3은 푸틴 대통령과 연계된 2개의 PDF를 모은 겁니다. 과거의 것이지만, 현재에도 유용하니 참고하길 바래요.​푸틴정부의 정치체제 : 발현(2024/12/07),러시아 대통령은 국제정세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24.01.02) 참고자료:

[강의자료] 조르지아 멜로니(Giorgia Meloni) 이탈리아 총리, 미국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4.17, 워싱턴)

2025년 4월 17일(목)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멜로니 총리는 극우 정당인 ‘이탈리아의 형제들’ 대표인데, 주목할 것은 극우성향을 지녔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먼저 정상회담을 가진 유럽 정상이기도 합니다. 이번의 경우 시기적으로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이 진행 중에 미국을 방문한 것이라 주목을 끌었죠. 트럼프 행정부는 유럽연합에 20%의 관세를 부과했고, 지금은 90일간의 유예기간 중에 있는 상태이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번 방문을 통해 멜로니(Meloni) 총리는 유럽연합(EU)과 미국 간의 중재자 역할 또는 트럼프를 설득해 보려는 의도가 강했겠지요. 둘 사이의 친분도 돈독해서, 일정정도 기대..

국제정치학회 동향(2025.04)

2025년 4월에 진행된,두 개의 국제정치학회에서 진행된 학술회의를 소개합니다.어떤 주제를 다뤘는지가 중요하죠. 참고해 보세요. 하나는 에서 주관한 학술회의로대주제는 입니다. 다른 하나는 21세기정치학회에서 주관한 학술회의로대주제는 입니다. 학회 활동에 관심이 있으면, 두 학회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길 권합니다.//.​[추가 탐구]* 정보세계정치학회: http://www.kawpi.or.kr/main/main.php 정보세계정치학회정보세계정치학회www.kawpi.or.kr * 21세기 정치학회: http://www.politics21.or.kr/ ▒▒▒21세기정치학회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politics21.or.kr

[강의자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동남아 순방(2025.4.14-18), 왜 지금 시점에.. 국제정치적 함의는

2025년 4월 14일(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트남을 방문해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이를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탐구해 봅니다. 가장 큰 배경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145%의 관세를 부과하였고,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역시 미국에 대해 125%의 관세 부과로 맞대응하였죠. 이에 더해 비장의 무기인 희토류의 수출 중단 조치도 하였습니다. 두 초강대국이 국제질서 재편의 주도권을 놓고 을 하고 있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이제 공은 중국에게 넘어갔으니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협상하기 위해 나서라고 채근합니다. 중국은 이에 아랑곳 않고 전열을 가다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것 중의 하나가 4월 14일부터 18일까지 예정된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방문입니다...

국제질서 재편 속 한국의 미래 국가전략

2025년 4월 13일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에서는 이름의 국가전략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지금 세계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전쟁, 통상전쟁 등으로 혼란스럽고,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취해야할 바람직한 국가전략 방향과 지침을 제언하고 있습니다. 국가전략 제언이 어떤 배경 하에 어떤 내용으로 이뤄졌는지.. (국가) 정책과 전략 마인드를 키운다는 의미에서 탐구해 봅니다. 이 보고서는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에서 간행하였으며, 공동연구자분들은 - 김병연(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전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원장),- 김형진(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객원연구원, 전 EU 대사),- 송치웅(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재성(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동아시아..

인지전(認知戰 Cognitive Warfare) 관련 학술회의 개최(2025.5.2.)

2025년 5월 2일(금) 용산에 위치한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 플로리스홀에서 관련 공동학술회의가 개최됩니다. 대주제는 이네요. 안보위협과 관련해 새로운 연구 분야로 떠오른 에 관한 학술적 접근을 하는 회의입니다.또한 도 살펴보고자 하고 있네요. 회의는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한국세계지역학회, 세종연구소가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주관기관들의 성격을 보니, 학술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책의 실현 측면에서의 평가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크게 두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세션 1]은 이며,[세션 2]는 입니다.​세션 별로 발제자는 각각 2명이며, 토론자는 2인, 3인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토론도 있어 종합할 기회도 가질 수 있네요. 인지전(Cognitive Warfare) 분야는 하이브..

[지식 스토리지 25-2] 러우전쟁 휴전협상 관련 포스팅 모음(2025.03)

[지식 스토리지 25-2]입니다. 러우전쟁 휴전협상과 관련된 사안을 정리, 모아본 것입니다국제정세 사안과 이슈를 어떻게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참고해 보길 권합니다. (총 3편의 PDF) - 러시아-우크라이나 흑해 휴전 합의(2025.3.2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2025.3.11)- 러우전쟁 3년, 종전 협상 논의 진행 중(2025.3.15.) 총 3편의 PDF 로 정리했습니다.외교정책결정과정, 협상의 기술과 전략, 미러관계 변화 등에 주목하면서,국제정세 탐구하는 방법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지식 스토리지 25-1] 유라시아 국제정치 관련 동향-강의자료

[지식 스토리지] 25-1입니다. 유라시아 국제정치와 관련된 동향과 분석 상황을 정리, 모아본 것입니다.국제정세 사안과 이슈를 어떻게 분석, 평가하고 있는지 참고해 보길 권합니다. (총 7편의 PDF)  주요 내용은,​- 푸틴 대통령 블라디보스톡 참석(202.09.07)- 총리, 카자흐스탄 방문, 함의는?(2024.09.19)-[Quiz]로 풀어보는 국제정세 (2024.09.18)-, 몽골 울란바토르 방문, 함의는?(2024.09.04)-의 중국 방문, 함의는?(2024.08.30)- 미중 외교회담(2024.08.28)- 인도 총리, 우크라이나 방문, 함의는?(2024.08.24) 등 ​총 7편의 PDF 로 정리했습니다.​국제정세 탐구하는 방법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트럼프발(發) 관세전쟁(Trade War)의 서막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 부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의 여파로 미국 증시는 물론 한국, 일본, 홍콩 아시아 증시가 연쇄적 폭락을 하고 있죠. 트럼프 대통령은 왜 이러는지~ 그 시작과 이에 담긴 국제정치경제(IPE)적 함의를 탐구해 봅니다.미국이 부여한 비율은 중국에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인도 26%, 대만 32%, 베트남 46% 등입니다. 한국은 오락가락한 끝에 최종 25%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의 발효 시점은 4월 5일부터 10% 기본관세가 부여되며,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입니다. 이를 테면, 한국 수출품은 5일부터 10% 관세가 부과되고, 9일부터는 관세율이 25%로 오르게 되는 거지요. 이는 2차 대전 이후 구축되어 온 자유무역 체계를 크게..

나토 32개국+IP4 외교장관 회의(4.4, 브뤼셀)

2025년 4월 4일(금) 벨기에 브뤼셀에서 나토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오는 6월 나토 정상회의를 준비하는 성격도 띠었고,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참석으로 여러 이견이 어떻게 조정될 런지가 관심을 모았죠. * 최근 나토를 둘러싼 현안은 여러 가지가 있죠.​- 미국이 과연 나토에 대한 지원을 어느 정도 할 것인지, - 미국의 국방비 증액 압박과 그 규모는 얼마나 될지,- 지난 2일 트럼프 행정부가 내린 유럽연합에 대한 관세폭탄의 영향은 어떨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러우전쟁 휴전협상 과정과 유럽과 우크라이나 배제 상황에 대한 평가와 대응은 어떻게 될지 등등. 마침 4월 4일은 1949년 나토가 창설된 바로 그날입니다. 창설 76주년을 맞은 것이지요. 나토는 냉전 종식과 1989년 동유럽 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