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301

<2025년 국제정세 전망> (II)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에서 간행한 입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에서 주관해 발행한 것으로 총 178쪽입니다. 내용 구성은, - 서문,- 요약,​제 I 장 한반도 정세- 북한 내부 정세 /황일도- 북핵 문제와 남북관계 /전봉근, 이상숙 제 II 장 주요국 정세- 동아시아 주요국관계 /최우선- 미국 /민정훈- 중국 /김한권, 표나리, 최진백- 일본 /조양현, 오승희, 윤석정- 러시아 /이태림 제 III 장 지역별 정세- 동남아시아 /최원기, 박민정- 남아시아 /조원득- 유럽 /전혜원- 중동 /인남식- 중앙아시아 /이지은- 아프리카 /김동석- 중남미 /하상섭 제 IV 장 글로벌 이슈와 거버넌스- 국제 금융·통화 /강선주- 국제통상과 경제안..

<2025년 일본의 국방예산> 확정(12.27)

2024년 12월 27일 일본은 2025년 국방예산을 확정하였습니다. 얼마나 되며,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12월 27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내각은 국무회의에서 115조 5415억 엔(약 1073조원)에 달하는 2025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예산안을 확정했습니다. 12월 26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5년 회계연도 기준 정부 예산안에서 방위비를 8조 6700억 엔(약 80조 7411억 원)으로 책정하기로 했습니다. 방위비가 8조를 넘어간 것은 처음입니다.이는 전년도보다 7500억 엔(약 6조 9861억 원) 증가한 액수입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도 1.3%에서 1.37%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이죠.  https://www.joongang.c..

D. Trump의 최근 행보 –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 왜?

2025년 1월 20일 2기 출범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가 그린란드와 파나마 운하(Panama Canal)에 대해 도발적인 언사를 쏟아내고 있네요. 속내가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는 12월 25일 자신이 소유한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중남미에 위치한 파나마 운하의 반환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주파나마 대사로 미우선주의자(America First)로 알려진 케빈 마리노 캐브레라(Kevin Marino Cabrera)를 지명했습니다. https://edition.cnn.com/2024/12/25/politics/kevin-marino-cabrera-trump-ambassador-panama-canal/index.html Trump names ambassador to Panama a..

<2025년 미국 국방수권법(NDAA)> 발효(12.23)

2025년 회계연도(2024년 10월~2025년 9월) 미국 국방수권법이 발효됐습니다. 미국 백악관은 2024년 12월 23일 바이든 대통령이 8,952억 달러(약 1,285조 원) 규모의 국방수권법에 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세부 내용을 탐구해 봅니다. 국방수권법은 매년 미국 국방예산법(NDAA)으로 불리우며, 내년 국방부 정책과 군사예산 우선순위를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내용이 담겨집니다. 영어로는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이죠. 좀 더 정확하게는, H.R. 5009, the “Servicemember Quality of Life Improvement and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25,”입니다. ..

2024년 <10대 국제 뉴스&이슈>

2024년도 저물어 갑니다. 올해 가장 큰 관심을 끌었던 국제뉴스와 이슈를 회고 삼아 몇 개 담아봅니다. 에서 선정한 10대 국제뉴스는 1.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Make America Great Again) 트럼프의 귀환 2. ‘우크라-중동’ 출구 없는 두 개의 전쟁... 러 ‘핵사용’ 문턱 낮춰 3. 시리아의 봄 올까...내전 13년 만에 반군 깜짝 승리 4. 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와 후속조치 관련 한일 갈등 5. 일본 집권 자민당, 12년 만에 중의원 단독 과반 붕괴 6. AI, 본격 사용단계 진입... 새로운 산업혁명 예고 7. 전세계 금리 인하 시작... 경제정책 방향 대전환 8. 트럼프 승리에 달아오른 비트코인... 10만 달러선 사상 첫 돌파 9. 전세계 주요국 집권당 선..

2025년 국제정세 전망

이제 2024년도 저물어 갑니다. 내년 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세종연구소에서 간행한 로 입니다. 12월 14일 현재 제9호까지 나와 있습니다. - 제1호는 신범철 수석연구위원이 작성한 글로 제목은 “2025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窓)”으로 되어 있네요. ​2025년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창으로 3개의 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질서의 문제, 둘째는 지역적 차원의 열점(hot spot), 세 번째 창은 국제경제 상황이네요.​구성은 먼저 2024년 국제정세 회고를 하고, 20225년 정세 전망을 하면서 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으로 3중 위험(risk)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3중 위험은 한미관..

미국 국방부, <2024 중국 군사력 보고서>(12.18)

2024년 12월 18일 미국 국방부는 를 공개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봅니다. 영어 원문은 입니다.​이 보고서는 매년 발행됩니다.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으로 중국군 부패의 영향, 중국군의 정치훈련, 포괄적인 국력의 중국군 관점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제1장 – 중국군의 전략 이해제2장 – 중국군과 군사력제3장 – 작전 구조와 중국 주변에 대한 행동제4장 – 중국군의 커져가는 글로벌 존재감제5장 – 군현대화를 위한 자원과 기술제6장 – 2023년 국방 접촉과 교환 등입니다. 핵심은 2024년 현재 중국의 핵무기는 600기 정도이며 2030년까지 1000개가 넘는 핵탄두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2049년 중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때까지 대만 무력..

<슈퍼선거의 해> 유럽(프랑스와 독일) 리더십 정세

2024년 12월 4일 프랑스에서는 미셸 바르니예(Michel Jean Barnier)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이 의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총리를 비롯해 내각이 총사퇴하게 되었죠. 2024년 12월 16일 독일에서는 올라프 숄츠(Olaf Scholz) 총리에 대한 신임안이 부결되었습니다. 유럽권의 프랑스와 독일 모두 최고지도자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프랑스에서는 미셸 바르니예 총리가 물러나고,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이 12월 13일 새로운 총리로 프랑수아 바이루(François Bayrou) 민주정당(MoDem) 대표를 임명했습니다. 민주운동은 마크롱 대통령을 지지하는 중도 성향의 정당입니다.​프랑스는 이원집정제의 정치제도를 운영하고 있죠. 즉 대통령이 외교와 국..

[학습자료] <북러 밀착 연구> 관련 참고자료

북러 밀착이 진행되고 있죠. 이에 대해 보다 깊게 공부하고 연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지 탐구해 봅니다. 먼저 제일 중요한 것은 이죠. 관심 사안과 주제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이와 관련해 궁금한 점을 질문해 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주제와 연관된 하고 읽습니다. 아주 중요한 단계입니다. 읽으면서 그 분야의 지식도 쌓고 생각도 정리하는 것이지요.그 다음에는 나름대로의 를 하고, 여러 생각을 통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는 단계에 까지 이르게 됩니다.지식을 축적하는 것이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자 그러면~이번 에서는 자료의 에 중점을 두어 봅니다.​오늘은 간략히 자료 수집와 읽기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점을 를 통해 제시해 보니 참고하세요.사례의 주제는 이며,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IPE 정세: <영국, CPTPP> 가입(12.15)

2024년 12월 15일 영국이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에 가입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탐구해 봅니다. 영어로 CPTPP인데풀어쓰면 Comprehensive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이네요. - 포괄적, Comprehensive,- 점진적 협정, Progressive Agreement,- 환태평양 동반자, Trans-Pacific Partnership 인 셈이죠. 근데, 이에 영국이 가입했다 네요. 영국은 브렉시트(Brexit)를 한 나라이고 유럽권에 있는데.. 처음으로 다른 지역에 있는 나라가 가입한 것입니다. 첫 사례이자 신기록인 셈이죠. 세계가 점차 자유무역과 공정무역을 멀리하고 보호무역주의로 가는 상황인데 영국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