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푸틴 대통령 28

<푸틴 대통령>이 꿈꾸는 2030년 러시아 국가목표는?

5월 7일 푸틴 대통령은 취임식을 치렀죠. 대통령 임기가 6년이니 이제 2030년까지 집권 5기를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취임하자마자 바로 2030년과 2036년까지를 겨냥한 대통령령(Указ)에 서명했어요. 원래 2018년도에도 5월 7일 취임 날 바로 미래 국가발전과 목표를 담은 법령을 발표 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했군요. 러시아에서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은 실제로 정책 방향을 정해주는 것이고, 실행에 옮기는 경우가 많으니,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원문은 모두 크렘린 대통령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습니다.​아래는 5월 11일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내용을 담은 대통령령입니다. 참고해 보세요.  이번 5월 7일에 서명한 문서는 공식 명칭이 “2030년까지와 2036년까지의 ..

<사진으로 읽는 러시아 정세>

5월 7일 푸틴 대통령은 집권 5기를 출범하는 취임식을 하였다.근데 취임하자마자 진행한 두 가지의 모습이 인상적이다.​사진으로 먼저 접해보고~ 뭔지 탐구해 봅니다. 하나는 다음 날인 5월 8일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정상회의를 크렘린에서 개최하였다. 취임 후 첫 국제회의를 주관한 것으로 참석 국가 면면을 보면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등 5개국이다. 참석한 인물로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니콜 파시니안 아르메니아 총리 등이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이들 국가들은 모두 소연방시기 소연방 구성공화국이었던 나라들이다. 푸틴 대통령으로서는 국제사회에 러시아의 영향력을 과시하고 싶었을 것이다..

<21세기 차르(tsar)> 푸틴 대통령 취임식 풍경은?

5월 7일(화) 로 일컫는 대통령이 새로이 취임했습니다.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 탐구해 봅니다. 푸틴 대통령은 집권 5기를 맞이하였죠. 2000년부터 2008년까지 2차례 대통령직을 맡았고, 이후 2012년부터 2024년까지 다시 6년씩 두 번 한 것이죠. 그래서 이번은 5기가 되는 것입니다. 임기가 6년이니 2030년까지 대통령으로 있게 됩니다. 푸틴 대통령은 취임식을 항상 5월 7일에 했어요. 며칠 뒤인 5월 9일에는 대독 전승기념일을 맞아 크렘린 옆 붉은광장에서 열리는 군사퍼레이드에 참석할 예정이기도 하지요. 러시아군 최고 통수권자인 대통령의 자격을 갖고서죠. 취임식이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는 요즈음 Youtube를 통해 전 과정을 영상을 살펴볼 수 있어요. 러시아에서는 어떻게 대통령 취임식을 진행하고..

푸틴 대통령 이름을 본뜬 <푸틴주의>, <푸틴이즘>(Putinism)이 뭔가요?

푸틴 대통령이 2024년 3월 15-17일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득표를 얻었죠. 압승을 거둔 이유와 과연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의 모습이 궁금하죠. , 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죠. 바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해 좀 더 이해해 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비록 2015년에 출간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어요. 책이름 자체가 이죠. 월터 라쿼가 지었는데 한글판으로도 나와 있습니다. 저자는 1921년생으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평론가이며, 조지타운대학 교수도 지냈습니다. 책의 목차는 - 소련시대의 종말 - 누가 러시아를 지배하는가? - 새로운 러시아 이상을 떠받치는 기둥들 - 푸틴과 푸틴이즘 - 스탈린과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 - 인구통계학 - 새로운 국가노선..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10-3.16) - Issues & Key Words

3월 세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중국 양회(兩會), △ 틱톡(Tik Tok), △ 스타십(Starship), △ 러시아 대선(3.15-17) △ 블라디미르 푸틴 등입니다. 중국의 가장 큰 정치행사중의 하나인 3월 11일(월) 양회가 월요일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중국의 대내외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 것이지 추론해 볼 기회를 가졌죠. ​ 무엇보다 2024년 경제성장률을 ‘5% 안팎’으로 제시한 것이 주목을 끌었습니다. 현실성 있는가 하는 문제를 놓고 많은 의견이 있지만 실제로 이뤄질 지는 두고 보아야겠지요. 암튼 지금 중국 경제가 좋지 않은 상태에 있는 평가다 다수를 이룹니다. 양회와 관련된 전문가들의 평가 글들은 “2024년 중국 는 어떻게 분석·평가되나. 핵심 키워드는 무엇..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2.25-3.2) - Issues & Key Words

2월 마지막과 3월 첫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옵티머스, △ 스웨덴 나토 가입, △ HBM3E, △ 푸틴 국정연설, △ 가자지구 인명 피해 등입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여전히 주위를 놀라게 하네요. 2월 24일 자신의 SNS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가 사람처럼 두발로 걸어 다니는 영상을 공개했어요. 지난 달 31일 공개한 이후 한 달로 안 되어 더 진전된 상태를 보여주었어요. 비록 다소 엉거주춤한 모습이지만 그래도 제법 아주 잘 걸어요. ​ 이정도의 발전 속도라면 곧 로봇이 인간처럼 활동하고 행동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놀라운 기술 발전과 함께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게 되는 시대가 성큼 다가올 것임을 예고하고 있죠. 인간과 기계의 결합을 ‘사이보그’..

핀란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어요(2월 11일). 누가 되었을까요?

알렉산드르 스투브(Alexander Stubb) 전 총리가 당선되었습니다. 나이는 55세. 에서 핀란드 정치제도와 스투브 당선자에 대해 좀 더 탐구해 봅니다. 핀란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집단안보기구인 나토에 신규 가입한 것으로 더 유명하죠. 2023년 4월 가입. 현재 나토 가입 국가는 31개국이고, 스웨덴도 최종 가입 절차를 남겨두고 있지요. 핀란드는 를 채택하고 있어요. 국가원수와 내각 행정부 수반이 다른 거죠. 국가원수는 대통령이고, 외교정책 총괄권을 갖고 있으며, 군 통수권자이기도 합니다. 임기는 6년이고, 한 차례 중임이 가능합니다. 스투브의 임기는 2030년까지 하게 되겠네요. 러시아 대통령의 임기도 6년이니 만약 3월 대통령 선거에서 푸틴이 당선되면 둘 다 2030년까지 지내겠네요..

설날 앞두고 푸틴과 시진핑이 전화통화한 까닭은?

러시아 대통령과 중국 국가주석이 2월 8일 전화통화를 했네요. 왜 통화했을까요? 또 무슨 이야기를 나눴을까요? 이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도 탐구해 봅니다. 올해는 마침 중국과 러시아가 수교한지 7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리고 설날을 맞아 중국과 러시아 정상이 서로 안부도 묻고 최근 국제정세와 관련해 양국 간 관계가 돈독함도 과시하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봐요. 2023년에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 3기를 새로이 시작하면서 3월에 제일 먼저 러시아를 방문했지요. 그리고 10월에는 푸틴 대통령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의 체포 영장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중국을 방문했지요. 정상끼리는 이렇게 상호 답방하면서 우의도 다지고, 정상외교를 펼치면서 국익을 추구합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크게 보아 미국과 유럽연합의 서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