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대통령이 2024년 3월 15-17일 대통령 선거에서 87.3%의 득표를 얻었죠. 압승을 거둔 이유와 과연 러시아의 정치와 사회의 모습이 궁금하죠.
<푸틴의 러시아>, <러시아의 푸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죠.

바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의 전체적인 모습에 대해 좀 더 이해해 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합니다. 비록 2015년에 출간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어요.
<푸티니즘-> 책이름 자체가 <푸틴주의>이죠. 월터 라쿼가 지었는데 한글판으로도 나와 있습니다. 저자는 1921년생으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평론가이며, 조지타운대학 교수도 지냈습니다.
책의 목차는
- 소련시대의 종말
- 누가 러시아를 지배하는가?
- 새로운 러시아 이상을 떠받치는 기둥들
- 푸틴과 푸틴이즘
- 스탈린과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
- 인구통계학
- 새로운 국가노선
- 외교정책과 페트로스테이트
- 미래의 갈등요인들 등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2014년 크름반도를 병합하고, 현재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치르고 있는 원인과 배경을 아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푸틴체제하에서 러시아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도 알 수 있지요.
이밖에
<푸틴이즘>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도 어느 정도 연구가 되어 있으니, 참고로 다음의 학술 글들도 읽어보길 권합니다.
- 장덕준. “푸틴주의와 러시아의 신권위주의.” <철학과 현실>(철학문학연구소)(2018).
- 장덕준. “푸틴시기 러시아의 정치체제: ‘푸틴주의’ 특성을 중심으로.” <중소연구>(한양대 아태지역연구소)(2018)
- 우평균. “현대 러시아의 통치 이념: 푸틴주의(Putinism)의 성격 및 평가.” <민족연구>(한국민족연구원)(2014)
- 우준모. “푸틴주의의 외교적 구현: 실제와 함의.” <동유럽발칸연구>(한국외대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 제성훈. “푸틴주의와 한반도 – 2000년 이후 러시아의 한반노 정책 변화.” <슬라브학보>(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2020).
- 성원용. “푸틴주의와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역사적 기원과 현대적 변용.” <비교경제연구>(한국비교경제학회)(2014)
위의 글들을 읽어보고 나름대로 자기의 생각을 다듬고 정리해 보세요.//.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805890
푸티니즘 | 월터 라쿼 - 교보문고
푸티니즘 | 러시아는 왜 푸틴을 선택했는가?미국의 대표적 러시아 전문가 월터 라쿼, 러시아 사회와 역사에 대한 거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21세기 러시아의 방향을 조망하다. 블라디미르 블라디
product.kyobobook.co.kr

'강좌 2 - 러시아 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차르(tsar)> 푸틴 대통령 취임식 풍경은? (0) | 2024.05.08 |
---|---|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했네요? 왜 갔을까요? (0) | 2024.04.10 |
러시아 <대통령 선거>는 어떠했고, 무슨 의미를 지니고 있나요? (0) | 2024.03.19 |
러시아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할까요? (0) | 2024.03.05 |
러시아 푸틴체제의 지배엘리트는 누구인가? - 실로비키(siloviki) 탐구 (2)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