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정세 146

<ASML과 베토벤> 무슨 연관이 있나요?

왜 국제적 관심을 끄나요? 탐구해 봅니다. 지난 3월 28일 네덜란드 정부가 ASML이 본사를 다른 나라에 옮기지 못하도록 대규모 지원을 한다고 밝혔어요. 이름하야 ‘베토벤 태스크포스’(Beethoven TF). ​ 아다시피 ASML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극자외선 노광장비를 만드는 회사이죠. 반도체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장비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드니 얼마나 소중하겠어요. 그야말로 반도체 “수퍼 을(乙)” 기업인 셈이죠. ​ 삼성의 이재용 회장도 몇 차례 방문했고, 윤석열 대통령도 네덜란드 방문했을 때 이 회사를 찾아갔죠. 그럴만한 이유가 다 있는 거지요. 그만큼 중요한 회사에요. ​ 그런데 네덜란드 정부의 반이민 정책으로 인재 수급문제가 있자 본사를 이전 가능성을 내비쳤어요. 그러자 바로 네덜란드 정부에..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24-3.30) - Issues & Key Words

3월 마지막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중국발전고위층포럼(CDF), △ UN, 이스라엘-하마스 휴전안, △ UN, 대북제재위원회, △ 마크롱-룰라 정상회담, △ 보아오포럼 등입니다. 먼저 중국에서는 두 개의 큰 국제행사가 진행되었네요. 하나는 중국고위층발전포럼으로 3월 24일부터 이틀간 베이징에서 진행되었고, 다른 하나는 중국판 다보스포럼이라고 불리우는 입니다. 중국발전고위층포럼은 국무원 발전연구센터가 주최하고 중국발전연구재단이 주관하는 행사로 2000년 처음 개최되었죠. 이름 그대로 중국정부 고위층,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국제기구 및 중외 학자 간의 교류 및 대화의 플랫폼입니다. 이번회의의 주제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중국’이었어요. 경제적으로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이 어떤 점에 관..

지구촌 저~편에선, <마크롱과 룰라> 대통령이 만났네요. 무슨 얘기를 나눴을까?

3월 28일 프랑스-브라질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네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브라질을 국빈 방문했어요. 당연히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겠지요. 어떤 얘기를 나누었는지, 배경과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이번 국빈 방문은 2013년 올랑드 전 대통령의 브라질 방문 이후 이뤄지는 거예요. 11년 만에 이뤄진 것이지요. 그만큼 의미도 있도 할 이야기도 많았겠지요. 우선 프랑스는 유엔 상임이사국 5개국 중 하나에요. 핵 보유국이기도 하지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는 유럽권에서 독일과 함께 역내 질서를 이끄는 주도국 중하나이기도 하지요. ​ 브라질은 BRICS의 일원이기도 하고, 룰라 대통령이 추구하는 외교정책은 서방편도, 러시아편도 아닌 중립적 균형 정책..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17-3.23) - Issues & Key Words

3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현대판 차르-블라디미르 푸틴, △ Jensen Huang, △ UN ‘AI 결의안’, △ 원자력 정상회의(Nuclear Summit), △ IS-K,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등입니다. 3월 15-17일에는 러시아에서 대통령 선거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예상하던 대로 푸틴 대통령이 87.3%이라는 압도적 지지를 획득해 당선되었습니다. 러시아의 대통령 임기는 6년이니, 이제 2030년까지 권좌에 머물게 되었죠. ​ 그런데 2030년에 다시 한 번 출마할 수 있으니, 잘 하면 2036년까지도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어요. 가히 21세기 현대판 차르(황제)라 부르는 이윱니다. 2000년부터 집권해 집권 5기를 맞이하는데, 취임식은 5월 7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유엔이 <AI 결의안>을 채택했네요. 무슨 내용이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죠?

3월 21일(목) 유엔 총회에서 AI 관련 결의안을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네요. 왜 했으며,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이번에 채택된 결의안(resolution)의 명칭은 ‘지속 가능한 발전에 유용하면서도 안전하고 위험이 없으며 신뢰할 수 있는 AI 체계 증진’에 관한 결의안입니다. * a landmark resolution on the promotion of “safe, secure and trust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s that will also benefi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ll. 조금 길지 만 좋은 말은 다 들어갔죠. 그리고 AI(인공지능) 시대가 성큼 다가왔음을 실감나게 합..

러시아 <대통령 선거>는 어떠했고, 무슨 의미를 지니고 있나요?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치러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푸틴 대통령이 당선되었네요. 무려 87.3%라는 높은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번 선거에 담긴 풍경과 함의(implications)는 뭔지 탐구해 봅니다. ​ 한마디로 ‘21세기 현대판 차르 대관식’이죠. 푸틴 대통령은 2000년부터 2024년 지금까지 최고 권좌에 있었는데(단,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3선 금지로 인해 ‘실세 총리’로 남아있었지요) 앞으로 2030년까지 6년을 더 하게 되었습니다. 그간 최고 기록이자 29년 동안 집권했던 이오시프 스탈린의 기록을 뛰어 넘어서게 됩니다. 현재 대통령 임기는 6년입니다. 과거에는 4년이기도 했고 3선 금지가 있기도 했는데 모두 바꿔 임기는 6년, 푸틴의 경우는 헌법을 바꿔 계속 출마가 가능하게 만..

2024년 중국 <양회>는 어떻게 분석·평가되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일까?

얼마 전인 3월 5~11일간 중국에서 가 개최되었죠. 이에 대해 분석한 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몇 개만 소개합니다. 다뤄진 핵심 내용이 무엇이고, 어떻게 분석해 내고 있는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중국 정치와 국제정세와 연계된 사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1. 이동률(EIA 중국연구센터 소장, 동덕여대 교수). “중국 2024년 양회: 체제 강화, 기술 자강, 다극화.” [EAI 이슈브리핑](2024.03.15.). 앞 부문에 Editor’s Note가 있으니, 먼저 읽어보고 세부 내용을 보면 좋습니다. 목차는 이렇네요. I. 체제 강화와 과학기술의 혁신과 자립 자강 추진 II. ‘세계화와 다극화’ 글로벌 구상과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외교 III. 대미외교, 첨단기술 분야의 ..

[국제정세 분석]의 팁(Tip) - (중-러) 정상회담

국제정세와 관련해 은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해야 하나요? 정상회담은 양자회의이든, 다자회의이든 최고 지도자들이 만나는 것이라서 의 한 한 행위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물론 많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도 하지요. 어떻게 분석하는 것이 좋을지 탐구해 봅니다. 사례연구로 2023년 3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 3기를 출범하면서 가장 먼저 러시아를 방문해 을 한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죠. 국제정세와 관련해 은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해야 하나요? 정상회담은 양자회의이든, 다자회의이든 최고 지도자들이 만나는 것이라서 의 한 한 행위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물론 많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도 하지요. 어떻게 분석하는 것이 좋을지 탐구해 봅니다. 사례연구로 2023년 3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 ..

드뎌, 스웨덴이 <나토>에 공식 가입하고 국기 게양식을 하였네요.

입니다. 살펴볼까요~ 왼쪽 사진은 3월 7일 스웨덴 총리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게 나토 공식 가입문서를 전달하는 장면입니다. 스웨덴 총리 이름은? 울프 크리스테르손(Ulf Kristersson)입니다. 오른쪽은 3월 11일(월) 스웨덴 국가 게양식이 나토 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진행된 모습입니다. 3월 7일 스웨덴이 나토 가입 최종 절차를 마무리하고 32번째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그간 중립국 지위를 지켜 오다가 무려 200여년 만에 동맹관계를 형성한 것이지요. 그간 우여곡절이 있었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여파로 핀란드와 함께 가입 신청을 하였는데, 핀란드가 2023년 4월 먼저 가입해 31번째 회원국이 되었고, 스웨덴은 그간 튀르키예와 헝가리의 반대로 인해 가입 승인이 미뤄졌었죠.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3-3.9) - Issues & Key Words

3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중국 양회(兩會), △ 틱톡(Tik Tok), △ 미국 슈퍼화요일, △ 바이든 대통령 국정연설, △ EU의 유럽방산프로그램 발표 등입니다. 중국 양회가 3월 5일(화)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양회는 중국에서 매년 3월에 개최되는 가장 큰 정치행사 중의 하나이죠. 양회이니 두 개의 회의가 연상되죠. 하나는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의미하고, 약어로는 ‘전인대’라고 하지요. 또 하나는 정치 자문회의격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의미합니다. 줄여서 ‘정협’이라고 하지요. 정협은 어제(3.10) 끝났고, 전인대는 오늘(3.11) 최종 폐막합니다. 무엇보다 양회는 중국이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펼칠지 알려줍니다. 2024년도 GDP 경제성장 목표를 5%로 정했는데, 과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