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정세 144

<국제정세>를 분석하려면 어떻게 접근하고, 무엇을 공부해야 하나요?

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탐구해 봅니다. 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게 이뤄집니다. 이를테면, △ 인공지능(AI) 시대 국제질서, △ 주간 국제정세, △ 국제관계의 학문적 위상, △ 지도자와 리더십, △ 외교(관계), △ 주요 web site 탐방, △ 신문스크랩(PDF) 학습, △ 사례연구, △ 지정학, 세력전이이론 등 국제관계이론, △ 국제정치 패러다임(paradigm) 등 매우 포괄적으로 이뤄지죠. 다루는 교재는 △ 뉴스 읽기와 자신만의 생각과 논평을 담은 신문스크랩, △ 학술논문과 공식 외교문서, △ 인터넷 홈페이지, △ 싱크탱크와 저널들 그리고 주교재에 해당되는 교과서 등이 세부적으로 다뤄집니다. 물론 이에 임하는 자세는 늘 일상에서 접하는 △ ‘살아있는, 생활 속의 국제정세’, △ 지구본과..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28-2.3) - Issues & Key Words

2월 첫째 주의 주간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헝다그룹,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 일론 머스크(Elon Musk), △ AI Deep Fake, △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 △ 500억 유로 우크라이나 지원금 등입니다. 먼저 1월 28일에는 홍콩 고등법원이 중국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에 청산 명령을 내렸네요. 원래 대마는 불사인데, 거대 기업인 헝다(恒大)에게 청산명령을 내림으로써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다시 한 번 요동을 치게 될 것입니다. ​ 지금 중국 경제가 청년 실업, 과도한 부채, 소비 감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다소 좋지 않은 상태인 데 경제 활성화에 악재로 작용할 것 같지요. 반면 정책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주어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도 될 수 있..

[국제정치, 국제정세] 공부하는 팁(Tip) - <선거> 분석, 어디서부터 시작하고 어떻게 분석하나? (사례: 러시아 국가두마 선거, 대만 총통 선거)

2024년은 '슈퍼 선거의 해'입니다. 이미 결과가 나온 대만 총통 선거를 비롯해 앞으로 미국 대통령 선거 등 많은 선거가 치러질 예정이죠. 국제정치와 비교정치 측면에서 를 어떻게 분석, 평가해야 하는지? 탐구해 봅니다. 일단 사례연구로 2021년 9월에 있었던 러시아 국가두마(하원) 선거를 다뤄봅니다. 연구 접근과 방법을 알면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죠. 분석-평가의 큰 구조는 러시아 정치체제, 러시아에서의 선거 구성과 의미(대통령 선거, 총선, 지방선거), 선거제도와 선거법, 자료수집과 분석, 대내외 정치적 함의 등으로 이뤄집니다. 러시아 정치체제의 경우, 현재 행정-입법-사법의 3권 분립이 되어 있으나, 대통령의 권한이 센 초(超)대통령중심제(super-presidentialism) 성격을 띠고 있어..

[국제정세] 쉽게 읽는 방법 – 분석 단위(unit of analysis)

국제정세를 쉽게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를 소개합니다. 지금부터 이야기하는 부문을 염두에 두고 보면 좀 더 입체적으로 보일 거예요.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또는 분석 단위(unit of analysis) 이야기입니다. 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져요. 물론 이보다 더 구체적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보통 이 3개에 중점을 두어도 충분합니다. * 3개는 △ 개인(리더십), △ 국가, △ 국제체제입니다.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들, 사건, 이슈, 뉴스 ... 그 모든 것을 이 세 개에 담아서 정리해 보는 겁니다. 첫째, 개인입니다. 보통 최고지도자 또는 외무장관 등 고위 관료, 여론 주도층 리더, 인플루언서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물론 공공외교가 나래를 펴고 있는 현대 시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