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1일(목) 유엔 총회에서 AI 관련 결의안을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네요. 왜 했으며,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이번에 채택된 결의안(resolution)의 명칭은 ‘지속 가능한 발전에 유용하면서도 안전하고 위험이 없으며 신뢰할 수 있는 AI 체계 증진’에 관한 결의안입니다.
* a landmark resolution on the promotion of “safe, secure and trust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s that will also benefi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ll.
조금 길지 만 좋은 말은 다 들어갔죠. 그리고 AI(인공지능) 시대가 성큼 다가왔음을 실감나게 합니다.
챗GPT를 비롯해 생성형 AI, 인공일반지능(AGI)에 이르기까지 인공지능 개발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라별로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담겨져 있습니다.
무엇보다 범 글로벌 국제기구인 유엔(UN)에서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는 점이 중요하고, 회원국 193개국 모두가 깊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죠.
내용을 핵심은 책임 있는 AI 개발을 강조하면서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에 있어요.
부작용들로
- 디지털 격차 확대,
- 구조적 불평등과 편견의 악화,
- 사생활 침해 등을 꼽고 있습니다.
AI 개발 운영하는데 있어서 인권과 자유가 존중되고 보호, 증진되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어요.
유엔에서의 결의를 계기로 ‘두머(doomer) 대 부머(boomer)’ 논쟁이 보다 깊이 다뤄질 것을 보이며,
향후 국제적 차원에서 국제기구(IO) 창설,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 체계를 만들어가는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기도 합니다.
General Assembly adopts landmark resolu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N General Assembly on Thursday adopted a landmark resolution on the promotion of “safe, secure and trust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s that will also benefi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ll.
news.un.org
무엇보다 이제 본격적인 AI 시대를 맞아 전 세계 모든 국가와 더불어 개개인 생활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일찍 깨달아 먼저 한걸음 앞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고 먼저 실천하고 행동에 옮길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
지구촌 정세 파악을 통해 또 하나의 미래 생활 지혜를 배웁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하마스 간 <휴전 촉구 결의안> 통과(3.25). 이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는? (0) | 2024.03.27 |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17-3.23) - Issues & Key Words (0) | 2024.03.25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10-3.16) - Issues & Key Words (0) | 2024.03.18 |
2024년 중국 <양회>는 어떻게 분석·평가되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일까? (0) | 2024.03.16 |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7년 만에 호주를 방문하네요. 왜 가며, 무슨 의미가 있나요? (2)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