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2025/01 22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1.15)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국방장관, 국무장관 등 주요 장관들에 대한 인사청문회(hearing)가 시작되었습니다. 2025년 1월 15일에는 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주관했는데, 어떤 얘기가 진행되었는지 탐구해봅니다.마코 루비오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후보자마코 루비오 청문회Marco Rubio마모 루비오, 대중 강경론파미국에서의 청문회(hearing)는 매우 엄격하과 매우 자세한 내용을 다루면서 진행되지요.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펼치게 될지 미리 가늠해볼 기회를 갖습니다.​마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후보자 청문회의 경우도 마찬 가지겠지요. 전체적인 내용은 미국..

<다보스포럼(Davos Forum) 2025>(1.20-1.24)

노래 아파트~, 아파트~ 처럼다보스~, 다보스~, 다보스~. 가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의 시골마을 다보스에서 개최됩니다. 다보스포럼(Davos Forum)다보스포럼 2025세계경제포럼(WEF)제4차 산업혁명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지능화시대(Intelligent Age)를 위한 협력 다보스 포럼은 세계경제포럼(Wordl Economic Forum)으로 불리우며, 매년 1월에 세계적으로 저명한 인사들이 스위스의 작은 마을 다보스(Davos)에 모여 세계 정세와 글로벌 이슈를 심도있게 논의하는 모임입니다. 무엇보다 2016년에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를 처음으로 내건 것으로 유명하죠.www.weforum.org 2025년, 올 해에는 새로운 지구촌 어젠다로 을 새롭게 제시했네요.영어..

<바이든 행정부>의 라스트 댄스 – 대중(對中) AI 반도체 규제(1.13)

1월 13일 미국 는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포괄적 수출 제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는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주도한 것인데,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규정을 확정 발표한 것입니다. 내용을 보면 미국의 동맹국(19개국), 적성국가(22개국), 기타 국가로 3분해 체계적으로 규제 조치를 시행하겠다는 것이죠. 여기서 동맹국은 19개국으로 한국, 일본, 호주,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핀란드, 이탈리아, 아일랜드,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스페인, 스웨덴, 대만, 영국, 노르웨이, 미국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반면에 적성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을 보면 당연히 중국이 들어가 있고 홍콩, 마카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밖에 러시아, 북한, 이란, 베네수엘라, 시리아, 이란, 쿠..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5-1.11) - Issues & Key Words

2025년도 1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월 5일부터 1월 11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 사임, △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합류, △ Las Vegas 개최, △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일본 총리 동남아 순방 등입니다.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1월 6일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사임을 했네요. 트뤼도 총리는 역대 최연소 캐나다 총리로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최근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 등 국내 경제 사정 악화 등으로 물러나게 되었네요. 또한 트럼프가 캐나다를 미국 51번째 주로 편입시키는 게 어떻겠냐는 등의 발언을 하는 등 외교적 조롱을 받은 것도 배경으로 작..

<이시바 시게루(石破 茂) 총리>, 최근 외교 행보(2025.1)

2025년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일본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총리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순방합니다. ASEAN의 핵심 두 국가를 한 번에 다 방문하는 것이네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지 탐구해 봅니다.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동남아 순방이시바 시게루 말레이시아 방문이시바 시게루 인도네시아 방문이시바 시게루 외교 행보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총리가 양자 회담만을 위해 동남아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만큼 큰 의미를 지니고 있죠. 일정을 보면, 1월 10일에는 말레이시아로 가서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말레이시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다루는 회담 주제는 해양 안보, 탈탄소 협력, 에너지 공급망 강화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

[읽기자료] 2025년 <글로벌 10대 위기(Risks)>는?

2025년 1월 6일 글로벌 정세 리스크를 분석하는 미국 유라시아그룹이 를 선정해 발표했네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탐구해봅니다. 유라시아 그룹(Eurasia Group)은 이안 브레머(Ian Bremmer)가 이끌고 있는 저명한 국제문제 컨설팅 회사이죠. 보고서 공식 명칭은 (6 January 2025)입니다. Ian Bremmer, Cliff Kupchan가 공동으로 저술했네요. 첫 문장이 인상적입니다."우리는 1930년대와 초기 냉전과 버금가는 세계사에서 유례없이 위험한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www.eurasiagroup.net 제일 먼저(No.1) 최고의 위험으로 G-제로(The G-Zero)를 꼽았네요. 우리는 보통 G7, G20, 그리고 미-중의 G2를 기억하죠. 그런데 G-제로라니요~ ..

[학습자료] G7 대항마, 브릭스(BRICS) 세(勢) 불리기

2025년 1월 6일 브라질은 기존 9개 국가로 구성된 브릭스(BRICS)에 가 추가 회원이 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로써 브릭스는 모두 10개국이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그렇습니다.브라질이 발표하게된 것은 2025년 1월 1일 부터 금년도 브릭스 행사의 의장국이 되었기 때문이죠.2024년 1월에 기존 5개국(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 4개국이 추가되어 9개국이 된지 1년 만에 다시 회원국이 늘어나게 된 것이죠.* 참고로 4개국은 이집트, 이란, 에티오피아, UAE입니다. 비록 1개국이 늘어났지만 ASEAN의 핵심국가인 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에로의 영역 확대가 이뤄진 것으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계는 지금 다..

<CES 2025>(1.7-1.10, Las Vegas)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Las Vegas)에서 세계 최대의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소위 이죠.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주관하는 이 행사는 매년 세계 최고의 첨단기술을 자랑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2025년도에는 인공지능(AI) 로봇 등 AI 에이전트(Agent)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혁신 제품으로는 구르고 나는 드론(Drone), 걸어 다니는 책상 로봇, 유아를 돕는 AI, 스마트 AI 안경, 대화하는 AI 반려 로봇 등이 있다고 하네요. 한가지 특징적인 것은 모두다 AI(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으며, 실생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스마트 안경의 경우도 다양한 특징을 선보이고 있는데 이를테면, 증강현실(AR)과 AI ..

<미-중 기술패권 경쟁> – 'Tit for Tat'

미국과 중국은 AI 시대를 맞아 세계 정치경제를 주도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안보(Economic Security)와 관련된 첨단 기술패권 경쟁이 그것이죠. 이에 대해 최근 상황을 탐구해 봅니다. 2024년 12월 2일(월) 미국은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대중 반도체 수출에 추가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그러자 바로 중국은 그 다음날인 12월 3일에 갈륨 등 이중용도 품목의 미국에 대한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립니다.​이어 미국은 12월 16일에는 중국산 레거시 반도체 칩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구요, 12월 18일에는 중국산 인터넷 공유기에 대한 퇴출을 검토하고, 12월 23일에는 범용 반도체의 중국 불공정 무역 조사에 착수했습니다.이에 대해 중국도 뒤질세라 12월 27일에는 레이..

<2025년 주요국 정상들과 CEO의 신년사>

2025년 새해를 맞아 주요국 정상들은 신년 인사를 하죠. 소위 신년사입니다. 중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등 주요 정상들이 어떤 연설을 하였는지 탐구해 봅니다. 는 새해를 맞아 최고지도자들이 그 나라 현 상황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미래 비전을 제시하죠. 주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소망을 담아 대내 통합을 이루려고 하지요.​먼저 중국 시진핑(Xi Jinping) 국가주석의 경우, 을 제1순위로 내세웠네요. 현재 중국 경제 사정이 좋지 않음을 시사하면서 노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자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죠. 국내외 환경 변화에 잘 조응해 나가면서 ‘고품질 발전’을 착실히 추진해 왔음을높이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대만통일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빼놓기 않고 언급했네요.  러우전쟁 3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