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국제정세는 어떻게 될까요? 궁금한 점에 대해 전망한 글들을 소개합니다.

1. <국립외교원>에서 간행한 <2025 국제정세전망>입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에서 주관해 발행한 것으로 총 178쪽입니다.
내용 구성은,
- 서문,
- 요약,
제 I 장 한반도 정세
- 북한 내부 정세 /황일도
- 북핵 문제와 남북관계 /전봉근, 이상숙
제 II 장 주요국 정세
- 동아시아 주요국관계 /최우선
- 미국 /민정훈
- 중국 /김한권, 표나리, 최진백
- 일본 /조양현, 오승희, 윤석정
- 러시아 /이태림
제 III 장 지역별 정세
- 동남아시아 /최원기, 박민정
- 남아시아 /조원득
- 유럽 /전혜원
- 중동 /인남식
- 중앙아시아 /이지은
- 아프리카 /김동석
- 중남미 /하상섭
제 IV 장 글로벌 이슈와 거버넌스
- 국제 금융·통화 /강선주
- 국제통상과 경제안보 /이효영, 엄도영
- 국제법 /김덕주, 남승현, 서은아
- 신흥안보: 사이버, 우주, 인공지능, 과학기술외교 /송태은
- 개발협력 /송지선
* 주요 특징을 보면,
구성면에서 한반도를 비롯해 주요국 정세를 다루고 있으며, 유럽,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동, 중남미,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역별 정세와 신흥안보와 거버넌스까지 주제를 세분화해 거의 모든 국제정세 분야를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내용면에서도 최근 현안에 대한 분석 평가를 하고,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습니다. 또한 정책적 대응 부문까지 다루어 현실감을 더 해주고 있죠. 이 한권을 통해 2025년 국제정세 전반과 미래 전개될 상황을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관심 있는 부문은 더 접근해 보길 바라며, 특히 7쪽 분량의 요약 부문을 잘 참고하면 좋을 듯합니다.
국립외교원 홈페이지에 온라인 책자 형태(PDF 파일)로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니, 다운로드 받아 읽어 보길 권합니다.
2025 국제정세전망
외교안보연구소
www.ifans.go.kr
2. <아산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ASAN 국제정세전망 2025>입니다.
이번 2025년 국제정세 전망의 특징은 핵심어로 ‘리뉴얼(Renewal)’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아산정책연구원은 매년 함축적으로 집약된 하나의 핵심어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각 지역별로 세분화해 분석, 평가, 전망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죠.
이를테면,
- 2020년은 신(新)지정학(Neo Geopolitics)이었으며,
- 2021년은 혼돈의 시대(강대국 일방주의와 신냉전의 심화, 국제기구의 형해화, 국제규범과 질서의 붕괴),
- 2022년은 재건(Rebuilding),
- 2023년은 복합경쟁(Complex Competition),
- 2024년은 연대결성(Coalition Building)으로 꼽았네요.
- 2025년 전망은 <리뉴얼(Renewal)>입니다.
이를 통해 변화되어 온,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그 이전 시기는 전략적 불신(2015), 뉴노멀(2016), 리셋(2017), 비(非)자유주의 국제질서(2018), 한국의 선택(2019)으로 집약하였네요.
* 구성과 내용은 보면,
- 서문 /윤영관
- 총론: 서로 다른 ‘리뉴얼(Renewal)’ 구상의 각축 /최강
- 동북아: 주요국 ‘리뉴얼’의 집약 /차두현
- 분위기 반전을 노리는 북한 /한기범
- 일방주의로 가는 미국의 ‘리뉴얼’ /피터 리
- 글로벌 영향력 확대로 미국의 리더십 대체를 꿈꾸는 중국 /이동규
- 새로운 시작의 기회와 도전의 기로에 선 일본 /최은미
- 러시아: 다극적 세계질서 추구와 부족한 역량 제고 노력 /이상준
- 중동 질서 ‘리뉴얼’: 전쟁 후 새 역내 질서 설계를 향한 경쟁 /장지향
- ‘리뉴얼’이 필요한 아세안과 동남아 /이재현
- 유럽: 불확실성의 시대, 쇄신을 위한 리더십의 모색 /최진우
- 사이버: 최소한의 공통분모 확보를 위한 노력 /신소현
- 새로운 군비경쟁: 수요 증가 속 국방공급망 재편 /양욱
- 경제안보 전략과 공급망 재편의 구체화 /이승주
- 일련의 충격에 따른 혁신적 국제무역체계 변화 가능성 /김흥종
- 인도-태평양: 전략공간의 분절화 및 힘의 공백 등장 가능 /정구연.
이 중 <총론>에서는 국제질서 재편과 관련된 접근을 재건축(Rebuilding), 혁신(Renovation), 리뉴얼(Renewal), 유지보수(Repair & Maintenance)의 4가지 조작적 정의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국제질서 재편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리뉴얼>을 “기존 체제 재건축이나 혁신보다 작은 폭의 변화를 추구하지만 유지보수 전략에 비해 더 큰 폭의 변화를 지향한다.”고 정의하고 있어 주목됩니다.
또한, 2025년 국제 및 지역정치의 특징과 현상으로,
1. 주요국간 거래 강화, 그러나 여전히 불안한 리더십,
2. 지역 분쟁의 외형적 정리, 그러나 더 깊어지는 갈등,
3. 지역 및 세계 차원의 군비증강 가속화,
4. 세계적 불안요인으로 떠오른 북한,
5. ‘혁신’ 수준의 경제 질서 변화,
6. ‘리뉴얼’, 그러나 여전히 불안한 세계,
7. 중요해진 한국의 선택, 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정세전망 글 중에서 관심 있는 부문을 선별해 살펴보되, <서문과 총론>은 필독해 보길 권합니다.
2025 아산 국제정세전망
리뉴얼
www.asaninst.org
* 아울러, 이전 <포스팅>에서 필자가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핵심어들을 다시 한 번 되뇌어 봅니다.
- 글로벌 복합위기 시대,
- 디지털 대전환 시대,
- 기정학(技政學)의 시대,
- 지정학의 귀환 (return of geopolitics)
- 도널드 트럼프의 귀환 (return of Donald Trump)
- 새로운 강대국 질서,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미중 패권-전략 경쟁,
- 글로벌 사우스의 부각,
- AI 생태계 구축,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전영역의 안보화 경향,
- 신냉전과 블록화 경향,
- 각자도생과 자국중심주의 등을 익혀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주요국 정상들과 CEO의 신년사> (3) | 2025.01.03 |
---|---|
<북러 긴밀화의 전략적 이해와 특징> (1) | 2025.01.02 |
<2025년 일본의 국방예산> 확정(12.27) (4) | 2024.12.30 |
D. Trump의 최근 행보 –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 왜? (3) | 2024.12.27 |
<2025년 미국 국방수권법(NDAA)> 발효(12.23) (5)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