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글로벌 사우스 10

<중국 + 10개 국제경제기구> 대화(베이징, 12.10)

2024년 12월 10일 중국은 10개의 국제기구 대표를 초청해 대화를 개최했습니다. 어떤 기구가 참여했고 함의는 무엇인지 탐구해 봅니다.아래의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민대회당에 모인 10개 국제경제기구 대표들과 함께한 모습입니다. 요즈음은 다양한 회의체가 있죠. G7, G20, C5+1, 2+2 등이 대표적이죠. 2+2 의 경우, 외교부와 국방부 장관이 모입니다.C5+1의 경우, C5는 중앙아시아 국가 5개를 의미합니다.최근에는 미국, 중국, 일본이 이와 같은 회의를 진행했죠. 이번의 Dialogue는 10개의 국제기구 수장들이 중국(1)과 만나는 것을 지칭합니다.그만큼 중국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이 커졌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번에 참석한 주요 국제경제기구는 무엇일까요? - 신개발은행(..

(강의자료) 2024년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

2024년 금년도 이제 한 달여 남았네요. 지구촌 국제정세의 모습도 미중 패권과 전략경쟁, 러우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치러지는 가운데 전개되었습니다. 큰 맥락에서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을 모아봅니다. * 시기별로 정리해 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황(2022년 2월 24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3년 10월 7일~)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네요.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러우전쟁의 조기 종식을 공언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당선되어 앞으로 어떻게 풀어나가게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죠. 오히려 전쟁터에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더욱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협상에 이르기 전에 한 뼘이라도 더 영토를 차지하려고 하는 것이죠. * 2024년도 국제정치 무..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0.20-10.26) - Issues & Key Words

10월 네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10월 20일부터 10월 26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핵심어는 △ G7 국방장관 회담(10.18-20), △ 카잔 BRICS 정상회의(10.22-24), △ 시진핑-모디 中-印 정상회담(10.23), △ 조지아 총선(10.26)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G7 국방장관 회의가 열렸습니다.G7 국방장관들은 △ 우크라이나와 중동정세, △ 아프리카와의 파트너십, △ 인도-태평양 지역, △ 남중국해와 대만해협, △ 중국의 러시아에의 이중용도 물자 등 지원문제, △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등을 주요의제로 다뤘네요.​글로벌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군사안보 현안 모두를 협의하고 의견을 나눈..

<시진핑-모디>, 5년 만에 양자 정상회담(카잔, 10.23), 함의는?

2024년 10월 23일 러시아 카잔(Kazan)에서 열리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를 계기로 가 국경분쟁 문제 해결에 합의하는 등 관계 정상화에 나섰습니다. 어떤 함의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보죠. 이번 회의는 2019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도를 방문한 이래 5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간 양자 정상회담이 개최된 것입니다. 그간 만날 기회가 있었지만 양자 회담은 그만큼 의미가 있죠. 왜냐하면 중국과 인도는 1962년 이래로 그간 크고 작은 국경 분쟁을 겪어왔으니까요.​이번 회담에서는 양국 간 3,488km에 달하는 접경지역에서의 충돌을 피하기로 합의 했네요. 지난 2020년 6월 갈완(중국명 지러완) 계곡에서 군사 충돌로 인도군 20명, 중국군 4명이 사망한 전력이 있거든요. 이후 양국은 국경 문..

(학계동향) <2024 KEI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10.18)

10월 18일(금)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을 비롯해 국내 19개 지역연구학회가 “국제질서 변동과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이라는 주제로 ‘2024 KIEP 세계지역연구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해 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국내외 정치경제문제를 다루는 싱크탱크(think tank)라 볼 수 있죠. 이름 그대로 대외경제정책에 중점을 둡니다. 여타 외교안보 싱크탱크와 마찬가지로 국가정책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하면서 살펴보아야 하는 기관이죠.​KIEP는 이번 행사와 관련해 “세계 지역과의 경제협력 증진 및 우리나라 대외경제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네요. 2014년부터 지역연구학회와 공동으로 연례적 학술대회를 주최해 오고 ..

중국, <샹산포럼> 개최(9.12-14), 무엇에 대해 얘기했을까요?

9월 12-14일(토)간 중국 베이징에서는 이 개최되었습니다. 이기도 하지요. 어떤 주제를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 샹산포럼(Xiangshan Forum)은 국방, 안보 관련 포럼으로 지난 6월 초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관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Shangri-La Dialogue)와 비슷합니다. 소위 중국판 샹그릴라 대화이기도 하지요.또한 미국에서 지난 7월 개최된 애스펀 안보포럼(Aspen Security Forum)과도 같은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면 좋을 듯합니다. 유럽에서는 독일에서 매년 2월 경 개최하는 가 가장 유명하죠.​은국제회의 성격을 띠고 있고,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등 90여개 국가와 국제기구 대표단, 싱크탱크 전문가 등 5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샹산포..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열렸네요. 어떤 내용을 담았나요?

6월 4일(화) 한국-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이번 한국과 아프리카 정상회의는 처음으로 열린 다자 정상회의이네요. 아프리카 국가 48개국이 참여했고, 25개국에서는 대통령 등 최고지도자가 참여했어요.아프리카 국가들은 최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핵심 구성원 중하나이죠.​아프리카 국가들은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전쟁 폐허에서 선진국에 이른 발전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 하죠. 이번에 체결된 내용을 보면 어디에 중점을 두었는지 알 수 있죠. ​한-아프리카 경제동반자 협정(EPA), 무역 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가 체결되었습니다. 또한 한국은 25개국과 양자회담을 하고, 12건의 조약과 협정을, 그리고 34건의 ..

이 한 장의 사진 속에는?

5월 23일 워싱턴에서는 미국-캐냐 정상회담이 개최되었고, 공동 기자회견이 진행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이 그것이죠. 사진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implications)를 탐구해 봅니다. 또한 바이든 대통령과 오바마 전 대통령을 비롯해 5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의 만찬도 이뤄졌습니다. 오바마 아버지가 케냐 태생인 것은 알죠~ 사진 속 왼쪽의 인물은 윌리엄 루토(William Ruto) 케냐 대통령입니다. 미국에 국빈 방문한 것이고, 미국이 아주 극진히 대접하는 모습을 보였죠. 왜 일까요? 케냐는 아프리카 중앙에 위치하고 있죠. 지정학적으로나 지전략적으로 케냐가 어떤 정책을 펴는가 하는 점에 따라 아프리카의 위상에 중요한 영항을 미치죠. 지금 세계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의 위상과 ..

2024년 중국 <양회>는 어떻게 분석·평가되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일까?

얼마 전인 3월 5~11일간 중국에서 가 개최되었죠. 이에 대해 분석한 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몇 개만 소개합니다. 다뤄진 핵심 내용이 무엇이고, 어떻게 분석해 내고 있는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중국 정치와 국제정세와 연계된 사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1. 이동률(EIA 중국연구센터 소장, 동덕여대 교수). “중국 2024년 양회: 체제 강화, 기술 자강, 다극화.” [EAI 이슈브리핑](2024.03.15.). 앞 부문에 Editor’s Note가 있으니, 먼저 읽어보고 세부 내용을 보면 좋습니다. 목차는 이렇네요. I. 체제 강화와 과학기술의 혁신과 자립 자강 추진 II. ‘세계화와 다극화’ 글로벌 구상과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외교 III. 대미외교, 첨단기술 분야의 ..

[국제정세분석]의 팁(Tip) - 인터뷰

국제정세, 국제정치, 국제관계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하나있죠. (전문가) 인터뷰입니다. 국제정세를 분석하는 데 있어, ‘1차 자료’의 활용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테면 외교안보전략 문서, 정상회의 공동성명, 조약 문건, 기자회견, (국정) 연설 등이 이에 해당되지요. 역시 1차 자료에 해당됩니다. 특히 전문가 인터뷰는 질문에 따라 전문가의 식견과 관련 분야의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많은 평가와 판단, 생각할 요소를 담고 있어 중요합니다. 학교에서 소논문을 작성하거나, 과제 발표할 때 (전문가) 인터뷰 내용을 포함하면 확실히 높은 평가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지요. 그래서 언론이나, 세계 정치외교 무대 현장에서 펼쳐지는 여러 를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인터뷰에서 주목을 끈 사람은 블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