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4일(화) 한국-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 탐구해 봅니다.

이번 한국과 아프리카 정상회의는 처음으로 열린 다자 정상회의이네요. 아프리카 국가 48개국이 참여했고, 25개국에서는 대통령 등 최고지도자가 참여했어요.
아프리카 국가들은 최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핵심 구성원 중하나이죠.
아프리카 국가들은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전쟁 폐허에서 선진국에 이른 발전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 하죠. 이번에 체결된 내용을 보면 어디에 중점을 두었는지 알 수 있죠.
한-아프리카 경제동반자 협정(EPA), 무역 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가 체결되었습니다. 또한 한국은 25개국과 양자회담을 하고, 12건의 조약과 협정을, 그리고 34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네요.
그리고 무엇보다 ‘핵심광물대화’를 출범시키기로 한 점도 주목됩니다. 글로벌 자원과 공급망 재편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죠. 아프리카는 니켈, 크롬, 망간, 보크사이트, 코발트, 흑연, 리튬 등 4차 산업 핵심 원자재를 비롯한 세계 광물 자원의 30%를 보유하고 있다네요.[출처]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 정상회의를 통해 앞으로 협력의 방향을 3가지로 잡았습니다. 양측 모두 바라는 것을 담은 것으로 의미가 있죠.
하나는 동반 성장이네요. Shared Growth, 두 번째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셋째는 연대(Solidarity)입니다.

회담 이후 공동선언문이 발표되었는데 위의 내용을 담고 있네요.
동반성장
|
o 2030년까지 ODA 100억 달러 확대
o 140억 달러 규모 수출 금융 제공
o 자유무역협정 노하우 공유
|
지속가능성
|
o 기후 금융구조 구축 위한 연대 강화
o 식량안보, 지속 가능 농럽 협력
o 보건 인프라 구축과 핵심광물 대화 출범
|
연대
|
o 대테러, 인도적 지원 협력 강화
o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달성 협력
o 인적 교류 증진으로 상호 이해 제고
|
그리고 과학기술 프로그램 제공, 직업기술교육훈련(TVET) 학교 설립, 한국정부 초청 장학프로그램(GKS) 등 교육 협력을 강화하는 데 합의했다고 하니, 아프리카에 관심 있는 청년들은 프로그램 참여 등 관심을 가져볼만 하죠.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29939&pWise=main&pWiseMain=A1
한-아프리카 ‘핵심광물 대화’ 출범 합의…공급망 협력 강화키로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간 글로벌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아프리카 핵심광물 대화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아울러, 핵심광물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하고 상호 합의에 기반해 핵심 광물과
www.korea.kr
*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공동선언문 참조. 원문 읽기 도전!
https://www.president.go.kr/newsroom/press/L6VAe3Lz
게시글 상세 페이지 | 대통령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공동선언
www.president.go.kr
아프리카(Africa)는 아직 우리에게는 생소하고 미지의 세계인만큼 새로운 시대와 세상을 열어가는 시각을 가꾸어 나가고 열공도 해보면 좋겠죠.//.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연합(EU)에서 <유럽의회> 선거가 시작되다. (0) | 2024.06.18 |
---|---|
인도의 총선 결과가 나왔네요. 어떻게 되었고, <모디> 총리는 3연임하나요? (0) | 2024.06.06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5.26-6.1) - Issues & Key Words (0) | 2024.06.04 |
<한국국제정치학회> 동향 소개 - 2024년 학술회의 일정은 뭐죠? (2) | 2024.06.02 |
[국제정치 연구 Tip] - 요즘~연구소와 학회에서 뭘 하나요? (0) | 202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