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전체 글 333

(강의자료) 2024년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

2024년 금년도 이제 한 달여 남았네요. 지구촌 국제정세의 모습도 미중 패권과 전략경쟁, 러우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치러지는 가운데 전개되었습니다. 큰 맥락에서 국제질서 재편의 주요 장면들을 모아봅니다. * 시기별로 정리해 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황(2022년 2월 24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3년 10월 7일~)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네요.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러우전쟁의 조기 종식을 공언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당선되어 앞으로 어떻게 풀어나가게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죠. 오히려 전쟁터에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더욱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협상에 이르기 전에 한 뼘이라도 더 영토를 차지하려고 하는 것이죠. * 2024년도 국제정치 무..

COP29 (아제르바이잔, 바쿠)

2024년 11월 11일부터 23일까지 아제르바이잔 바쿠(Baku)에서 진행된 COP29 국제행사가 종료되었습니다. 폐막일을 하루 더 연장했죠. COP29는 무엇이고, 무슨 합의를 이끌어 내었는지 탐구해봅니다. COP29는 29번째 COP를 의미합니다. COP는 를 일컫죠. 그러니 지구촌 기후변화 문제를 다루는 국제회의인 것입니다. 글로벌 이슈를 전세계가 모여 다루는 행사인 것이죠. 이번 회의에서의 주제는 “녹색 세상을 위한 연대” (In Solidarity for A Green World)이었고, 다룬 내용은 기후대책 재원을 어떻게 마련하느냐하는 점을 주로 다루었습니다. ​ 그런데 이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견해차가 크죠. 더군다나 기후변화에 대해 ..

<국제정세 분석>-Think Tank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정세 분석을 하는데 보탬이 되는 국내 싱크탱크 한 곳을 소개합니다.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입니다. [국립연구원]은 국제문제와 한반도 관련된 최근 현안을 심층적으로 분석, 평가하는 글을 발간합니다. 이에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관심이 있다면.. 반려견, 반려묘 처럼 늘 곁에 두고 관심 있게 방문해 봐야 합니다.특히 외교관을 꿈꾸는 분들은 필수과목 처럼 반드시 심층있게 접해야 하는 싱크탱크입니다. ​국내 든 해외든 여러 싱크탱크들을 방문해 게재된 연구물과 그곳에서 개최하는 세미나 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을 직접 소통하며 토론하고 만나는 것과 같으니까요. 먼저 국립외교원 홈페이지를 방문해 이모저모 탐방해 보길 권합니다.https://www.knda.go.kr/usr/..

(강의자료)<2024 바이든·시진핑 정상회담>(11.16), 어떤 이야기가 오갔나?

2024년 11월 16일, 남미 페루에서 진행된 2025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 개최되었습니다. 이제 자리를 떠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고별 무대이기도 하며 시진핑 국가주석과도 작별을 고하겠지요. 먼저, 공부 방법을 살펴봅니다. 예전 에서 다뤘듯이 정상회담을 분석, 평가하려면 △ 배경 및 목적, △ 미중의 전략적 입장, △ 주요 현안과 쟁점, △ 합의 내용과 결과, △ 파급영향 및 전망, △ 시사점 및 함의 등을 고루 살펴보는 게 좋지요. 사실 작년(2023년 11월) 미중 정상회담이 중요했습니다. 미중관계의 성격을 서로 ‘관리되는 경쟁구도’로 이끌어 가기로 의견을 모았기 때문이죠. 어떤 이야기 하였는지 살펴보고, 과연 2024년에는 무엇에 중점을 두고 회담을 했는지, 탐구해 봅니다. 2023년 ..

[읽기자료] 인공지능(AI) 관련, 국제정치 분야 연구물

주제 하에 이뤄진 총 10편의 연구물을 소개합니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소장: 신범식)에서는 [워킹페이퍼 252호부터 261호까지] 인공지능과 관련된 연구물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 세부 주제들을 적시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찾아 탐독하길 권합니다. [워킹페이퍼 252호] 김상배–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연구어젠다의 발굴.​[워킹페이퍼 253호] 김용신–인공지능 기술경쟁: 미중경쟁의 맥락.​[워킹페이퍼 254호] 홍건식-인공지능과 규제와 안보화: 미국, 중국, EU를 중심으로.​[워킹페이퍼 255호] 문용일-인공지능과 거버넌스, 민주주의.​[워킹페이퍼 256호] 윤정현-인공지능과 신흥기술안보: 사이버·데이터·포스트휴먼 안보.​[워킹페이퍼 257호] 윤대엽-인공지능과 군사안보: 인공지능의 무기화 경쟁과 군사혁..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 트럼프 당선 이후 부산한 외교 행보들

11월 5일(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당선된 이후, 국제 외교무대도 바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입니다.​11월 11일(월)에는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가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의 초청으로 파리 무명용사의 무덤에서 휴전 기념일을 기념하는 자리에 참석했습니다.​물론 이 자리에서 러우전쟁에 대해 논의하고 양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흔들림 없이 지속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밖에 영국 해협의 불법 이주 중단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하네요.  11월 12일(화)에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나토(NATO)를 방문해 마르크 뤼터(Mark Rutte) 사무총장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이 회담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3-11.9) - Issues & Key Words

11월 두 번째 주의(11.3-11.9) 를 탐구해 봅니다. 11월 3일부터 11월 9일(토)까지의 일정이네요. 핵심어는 △ 트럼프, 미국 대선 승리(11.5), △ 몰도바 대선 결선 투표(11.3), △ 발다이 토론 클럽(11.4-7), △ 유럽정치공동체 정상회의(11.7-8),△ 푸틴, 북러조약 비준(11.9) 등입니다. 간략히 내용과 거기에 담긴 의미 등을 탐구해 보죠. 먼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카멀라 해리스를 이겼습니다. 총 538명의 선거인단 중 312표를 얻어 226에 그친 해리스를 압도적 차이로 이겼네요. 박빙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7개 경합주(스윙 스테이트, swing states)에서 모두 트럼프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트럼프는 미국 역사상 한번 임기를 마친..

[읽기자료] <트럼프 2.0의 정책 전망과 대응>

20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하였습니다. 각축전이 예상되었던 7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모두 이겼으며, 선거인단(538명) 확보에 있어 최종적으로 312명 대 226명으로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025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전망을 비롯해 다양하게 분석·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의 정책 내용과 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읽기자료] 몇 편의 글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미국 통상정책과 관련된 내용입니다.​o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김종덕(무역통상안보실장) 외 7명이 공동으로 집필했습니다.제목은 (2024.10.31.)입니다.​목차는1. 미국의 ..

러시아 <발다이 토론 클럽>이 뭔가요?

11월 7일 러시아 흑해 연안의 소치에서 행사가 열렸습니다. 2004년부터 시작해서 이번이 21번째 행사입니다. 탐구해봅니다. 이 행사에 매년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이 참석합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푸틴 대통령이 기조연설을 하였고 4시간여 가까이 대담을 했습니다. 또한 마침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이 승리하게 되어, 이에 대해 어떤 대답을 할지 궁금해 하던 차였죠. 푸틴의 대답은 세 가지였는데요. “당선을 축하한다. 언젠가는 미국과의 관계가 회복되길 바란다.”, 트럼프가 ‘러우전쟁을 24시간 안에 끝내겠다’고 공언한 부문에 대해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추후 “대화할 준비가 되어있다” 등입니다. 뭔가 이전과는 다른 느..

(학계동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학술회의

가을을 맞아 두 군데의 학술회의를 소개합니다.최근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주제만 보아도 공부가 될 듯합니다.물론 관심 있는 학우(學友)들은 참여해 보면 좋겠네요. 먼저 한국사이버안보학회>는 “AI-사이버 안보시대의 정치-외교: 미래 국가전략의 새로운 지평.”이라는 이름으로 학술회의를 엽니다. 으로일시는 11월 14일(목)이며, 장소는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이네요. o 세부 발표 주제를 보면,​- 송태은 (국립외교원 교수). “AI·사이버 안보 시대의 정치·외교.”-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사이버 안보의 새로운 쟁점: AI·우주·양자.”입니다.다른 하나는 한반도평화연구원>에서 개최하는 기획포럼 #62로,주제는 “북한 내부 상황과 북한 인권 개선 방안 – 적대적 두 국가론과 8·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