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중국 30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6.28-29) 소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회장: 정세진 교수)에서 제12회 동아시아 슬라브·유라시아 국제학술대회를 6월 28-29일간 한양대학교에서 개최하네요. 무슨 내용을 다루게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는 1985년에 설립되어 39년이 흘렀네요. 회원 수는 450여명에 이르며,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포괄하는 러시아 및 유라시아학 연구의 국내 최대 학회라는 명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학회지는 [슬라브학보]로 계간지 형태로 발간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는 12차에 이르듯 역사가 깊으며, 그간 코로나19로 인해 끊어진 것을 다시 시작하는 겁니다. 이번에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17개국에서 200여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학술대회입니다. 국제학술회의는 영문으로 The 12th East ..

EU, 핵심원자재법 발효(CRMA)(5.23), 누굴 겨냥했지?

5월 23일(목), 유럽연합(EU)이 핵심원자재의 제3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원자재법이 발효되었습니다. 뭔지 탐구해봅니다. 핵심원자재, 국제정치 무대에서 매우 중요하죠. 특히 지금처럼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죠. 이미 유럽연합은 1년 전인 2023년 3월 16일 초안을 발표하고, 실행 준비를 해왔죠.​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https://www.kita.net/researchTrade/report/commerceReport/commerceReportDetail.do;JSESSIONID_KITA=791216C7FE62B18DA4C7C479E4EF8E7D.Hyper?no=2429 EU 핵심원자재법(CRMA) 주요 내용과 영향한국무역협회 무역 통상정보, 회원/업무지원, 무역통계..

<미-중>, 제재의 ‘Tit for Tat’ 싸움?

5월 22일(수) 중국은 미국 방산기업 12개에 대해 추가 제재 조치를 취했네요. 어떻게 이해해야하는 지 탐구해 봅니다.중국이 최근 들어 미국에 대한 제재(sanctions)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19일에는 틱톡 강제 매각법을 주도한 마이크 갤러거(Mike Gallagher) 전 미국 하원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에 대해 입국 거부와 재산 동결 등의 조치를 취했죠. 반중 성향의 고위급 인사에 대한 일종의 손보기였던 셈이죠.​그 다음날인 5월 20일에는 미국 보잉사의 방산 부문에 대해 제재를 했죠. 대만에 무기를 판매한 것에 대한 대응인 셈이었죠.​그리고 5월 22일에는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제너럴 다이내믹스(General Dynamics), 어플라이드테크놀로지(A..

<시진핑> 국가주석이 유럽 3국 순방에 나선 까닭은?

5월 5일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프랑스와 세르비아, 헝가리를 방문하네요. 어떤 국제정치적 함의가 있는지 탐구해 봅니다. 다음 몇 가지 특징과 질문을 중심으로 풀어볼까요~ 1. 오랜만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유럽 방문은 2019년 3월 이탈리아·모나코·프랑스 방문 이후 5년여 만이고,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입니다. 또한 마크롱 대통령이 2023년 4월 중국을 방문한 데 대한 답방 형식이기도 하죠. 2. 배경은 뭐죠? 무슨 얘기를 나눌까요? 글로벌 국제질서 재편과 최근 정세를 반영하고 있죠. ​우선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양국간 무역 현안인 전기차·태양광 패널·풍력터빈 등 무역 문제를 다루겠죠. 특히 최근 EU(유럽연합)이 중국의 전기차에 대한 반보조금을 조사하려는 시도도 막아보려 하겠..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7년 만에 호주를 방문하네요. 왜 가며, 무슨 의미가 있나요?

왕이(Wang Yi) 중국 외교부장이 3월 17~21일까지 호주와 뉴질랜드를 방문할 예정이에요. 페니 웡(Penny Wong) 호주 외교부장과 제7차 외교전략대화를 갖게 됩니다. 이번 호주 방문이 왜 주목 받을까요? 사실 얼마 전까지 중국과 호주는 무진장이 싸웠거든요. 그래서 궁금합니다. 과거의 갈등을 벗어나 어떻게 잘 될 것인지~~ 왕이(王毅)의 공식 직책 명칭은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에요. 오랫동안 외교부장으로 있었고, 한때 친강(秦剛) 주미대사가 외교부장을 맡았으나 해임되고 다시 왕이가 외교부장이 맡게 되었죠. ​ 후임으로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임명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어요. 아직까지는 외교부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호주는 2018년 화웨..

[국제정세 분석]의 팁(Tip) - (중-러) 정상회담

국제정세와 관련해 은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해야 하나요? 정상회담은 양자회의이든, 다자회의이든 최고 지도자들이 만나는 것이라서 의 한 한 행위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물론 많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도 하지요. 어떻게 분석하는 것이 좋을지 탐구해 봅니다. 사례연구로 2023년 3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 3기를 출범하면서 가장 먼저 러시아를 방문해 을 한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죠. 국제정세와 관련해 은 어떻게 접근하고, 분석해야 하나요? 정상회담은 양자회의이든, 다자회의이든 최고 지도자들이 만나는 것이라서 의 한 한 행위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물론 많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도 하지요. 어떻게 분석하는 것이 좋을지 탐구해 봅니다. 사례연구로 2023년 3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국정연설을 했네요. 어떤 내용을 담았을까요?

입니다. 3월 7일 바이든 대통령의 합동 의회 연설은 세 번째이자, 올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마지막 연설이죠. 그러니 선거유세와 같은 성격을 띨 것임은 예상해 볼 수 있죠. * 영어로는 "2024 State of the Union Address" 미국 대통령이 어떤데 관심을 갖고 있는지, 무슨 내용을 강조하고 있는지, 국제정세와는 무슨 연관이 있을지 등 탐구해 봅니다. * 물론 시간이 되면 입장에서부터 연설 전체 장면을 보는 것이 좋죠. 특히 국제정치 영역 중 “미국 지역연구”에 관심 있으면, 전부 시청하고 분위기와 느낌까지 살펴봐야 합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kwUx-kc2sd0&t=111s * 여기서는 25분 20초로 축약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

2024년 국제정세 전망 – 주요국 정세는 어떻게 전망되나? 우리의 대응 방향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간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에서 다룬 내용을 탐구해 봅니다. 세종연구소(소장 이상현)는 2024년 국제정세를 전망한 [정세와 정책](2024년 1월호)(통권 370호)을 간행하였다. 참고로 [정세와 정책]에는 시의성 있는 국제정세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평가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글이 많이 있다. 국제정세 추이와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2024년 국제정세 전망’ 구성은 ​ 국제정세 전체를 조망하는 글과 더불어 각 분야 지역 전문가들이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중동 정세를 다루고 있다. 특징은 주요 국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 1. 먼저 국제정세 전반을 다룬 (이상현, 세종연구소장)부터 시작된다. ​ - 목차는 △ 국제질서의 파편화와 진영화,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2.4-2.10) - Issues & Key Words

2월 두 번째 주의 주간 국제정세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엘살바도르 대통령선거, △ 블라디미르 푸틴, 시진핑 국가주석, △ 발레리 잘루즈니, △ 아제르바이잔 대선과 알리예프, △ 파키스탄 총선과 유혈사태 등입니다. 2주차에도 올해 ‘슈퍼 선거의 해’ 답게 많은 선거 치러졌습니다. ​ 먼저 2월 4일에는 중남미에 있는 엘살바도르에서 대통령 선거가 있었네요. 국민 지지도가 80% 넘게 유지했던 나이브 부켈레(Nayib Bukele)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했어요. 연임과 관련해 앞으로도 높은 국민 지지를 받을지, 새로운 권위주의 체제로 넘어가게 되지 않을지 국제적 관심을 끌고 있어요. 2월 7일에는 아제르바이잔에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는데, 2003년부터 집권해 21년 동안 집권해온 일함 알리예프(I..

설날 앞두고 푸틴과 시진핑이 전화통화한 까닭은?

러시아 대통령과 중국 국가주석이 2월 8일 전화통화를 했네요. 왜 통화했을까요? 또 무슨 이야기를 나눴을까요? 이에 담긴 국제정치적 함의도 탐구해 봅니다. 올해는 마침 중국과 러시아가 수교한지 7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리고 설날을 맞아 중국과 러시아 정상이 서로 안부도 묻고 최근 국제정세와 관련해 양국 간 관계가 돈독함도 과시하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봐요. 2023년에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 3기를 새로이 시작하면서 3월에 제일 먼저 러시아를 방문했지요. 그리고 10월에는 푸틴 대통령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의 체포 영장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중국을 방문했지요. 정상끼리는 이렇게 상호 답방하면서 우의도 다지고, 정상외교를 펼치면서 국익을 추구합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크게 보아 미국과 유럽연합의 서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