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국제무대 7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부분휴전 합의(3.18)

2025년 3월 18일(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하고 에너지와 인프라 부문에서의 공격을 멈추는 제한된 휴전(limited ceasefire)에 합의를 하였습니다.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개시된 이래 1118일 만에 임시적이지만 부분 휴전을 하게 된 겁니다.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되지만 그래도 일단 종전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는 점만으로도 의미가 있죠. 이번 미러 정상 간 통화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이뤄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뤄진 것이죠.지난 2월 12일에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적 있었죠.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고, 2월 18일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인사들이 만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때 미..

캐나다 새총리에 경제학자 <마크 카니>(Mark Carney)

2025년 3월 9일 캐나다의 자유당 대표로 마크 카니(Mark Carney)가 당선되었습니다. 1965년생이니 60세이네요. 캐나다에서는 집권당이 총리직을 수행하죠.  지난 1월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사의를 표명하면서 집권당인 자유당에서 당대표 선거를 치렀습니다. 선거결과 마크 카니(Mark Carney)가 85.9%의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는 정통 경제학자입니다. 또한 특이하게도 캐나다와 영국의 중앙은행 총재를 모두 역임 하였습니다. 현재 미국과 관세전쟁을 치르는 등 어려운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되었죠. 국제무대에서는 등장 인물이 바뀌곤 하지요. 캐나다에서는 그간 2015년부터 총리직을 오래 동안 수행한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총리가 물러나고 새로운 총리가 무대에..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의 정상회의 풍경들..

2025년 2월 28일(금)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의가 파행으로 결말이 났습니다. 예정되었던 광물협정도 불발되었지요. 그간 도널드 트럼프와 가진 정상회의의 풍경들을 탐구해 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 후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2.4), 이시바 일본 총리(2.7),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2.11), 인도 모디 총리(2.13) 등과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최근인 2월 24일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2월 27일에는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2월 28일에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의를 가졌죠. 이들 워싱턴에서 개최된 정상회의는 각자 국익의 입장에서 각양각색의 모습을 ..

2024 <유엔 총회> 개막(9.24) - 외교의 각축장

9월 24일부터 개막된 유엔 총회의 모습을 탐구해봅니다. 매년 연례적으로 개최되지만, 각국 정상들이 많이 참석해 국익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국제무대이기도 합니다. 외교의 각축장이자, 외교 무대의 꽃이기도 합니다.2024년 올해의 유엔 총회의 모습은 어떤지 살펴보죠.​우선 참석자 면면을 보면,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란의 페제스키안 대통령,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 등이 있습니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번에 불참하고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대신 참석하네요.​유엔 총회에서의 토의는 현 국제질서의 당면 현안을 반영하고 있으며, 지구촌 개별 구성 국가들의 관심사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또한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

<Joe Biden-Keir Starmer> 정상회담(9.13) 함의는?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가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의례 그렇듯 정상회담은 국제적 관심을 끌고, 공동성명, 기자회견 등을 통해 결과가 발표됩니다. 이번에는 백악관에서 브리핑한 내용을 보면서, 어떤 함의를 담고 있는지 탐구해 보죠. 어떻게 분석해야 할까요. 순서별로 살펴볼까요. 먼저, 첫째, 정상회담의 배경과 목적을 알아야겠죠. 왜 지금 만나고 어떤 목적인지요. 둘째는 미국과 영국의 전략적 입장은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죠. 셋째는 실제로 논의하는 의제, 주제는 무엇인가 하는 점이죠. 그리고 이에 대해 어떤 합의 결과를 도출했는가도 중요하죠. 물론 의견이 다를 수도 있겠지요. 그렇지만 보통 정상회의에서는 사전에 협의하는 과정을 거치..

2024년 6월, <유엔안보리 이사회> 외교전 풍경

6월 28일(금) 유엔안보리 이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한국은 지난 6월 6일 유엔안보리 이사국 선거에서 2024-2025년 임기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이때 알제리,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가이나와 함께 선출되었는데요, 193개국중 192개국이 투표에 참여했죠. ​당선을 위해서는 193개국 중 출석 투표한 국가의 2/3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합니다. 한국은 당시 180표의 지지를 얻어 아태그룹 소속의 이사국으로 당선되었지요.* 참고로 상임이사국 5개 국가는 알고 있을 테고, 비상임 국가들은 아프리카에 3개국, 아시아 2개국, 동유럽 1개국, 중남미 2개국, 서유럽과 기타지역에 2개국씩 할당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5 + 10으로 총 15개국으로 구성됩니다. 6월에는 이 유엔안보리 이사회 ..

PPT 하나에 두 개의 장면이~

러시아와 프랑스, 독일 최고지도자들이 국제무대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한 장면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한 모습입니다. 얼마 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중·러 정상회담을 하였죠. 공동성명도 발표하고 중·러 전면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를 심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죠. 집권 5기 대통령 취임식 이후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를 방문하였고, 3번째로 방문한 것이에요.​푸틴 대통령은 미르지요예프(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소용량 원전 건설 협정 체결 등 경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네요. 러시아 나름대로 중앙아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고 국제사회에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뜻도 담으려 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