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경제안보 16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31-4.6) - Issues & Key Words

4월 첫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 핵심어는 △ 바이든-시진핑 전화통화, △ 한국, 러시아에 독자 제재, △ 대만 대지진, △ 나토 창설 75주년, △ 우주 핵무기 배치 금지 결의안 제출, △ 레거시(legacy) 반도체 등입니다. 지난 4월 2일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5분 동안 전화통화를 했네요. 작년 11월 미중 정상회담 이후 ‘전략 경쟁 관리 구도’의 모습을 보였는데, 서로의 필요성에 의해 다시 소통을 하게 된 것이지요. ​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는 다가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대외정세의 안정과 성과를 거두어야 하는 것이고, 시진핑 국가주석은 최근 경기가 안 좋은 경제를 살려야하는 입장이 서로 맞아 떨어진 거죠. ​ 물론 대만독립과 남중국해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한 ..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두 개의 장면이 있네요. 하나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한 사진이고, 다른 하나는 재닛 옐렌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한 사진입니다. 미국의 유력 장관 두 명이 한 명은 유럽에 다른 한 명은 동아시아에 가서, 나름 미국 국익을 위한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이지요. 지금 시점에 블링컨 국무장관은 유럽 어느 나라를 방문했으며, 왜 유럽에 갔을까? 유럽의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했어요. 올해는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창설 75주년에 해당되며, 나토 외무장관이 개최되었습니다. * 참고로 나토는 1949년에 창설되었으며, 지난 3월 스웨덴이 가입해 총32개국이 되었습니다. ​ https://www.nato.int/ Homepage www.nato.int 올해 러시아-우크라..

미국은 왜 틱톡(TikTok) 사용을 금지시키려 하나? 국제정치경제(IPE) 측면의 함의는?

지난 3월 13일 미국 하원은 틱톡(TikTok) 모회사인 중국계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틱톡을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국제정치경제, 국제정치 측면에서 이의 내면에 담긴 의미와 시사점을 탐구해 봅니다. 표결 결과 찬성이 352표, 반대가 65표로 가결되었죠. 생각보다 찬성이 많이 이뤄졌죠. 이로써 바이트댄스는 165일 안에 틱톡(TikTok)을 중국 이외에 업체에 매각해야 합니다. ​ 이미 3월 7일 미 연방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가 틱톡의 금지를 결의한 적이 있었어요. 사실 틱톡은 미국 내에서 이미 1억 7천만 명이나 이용하고 있죠. 인구의 절반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다른 기업에 팔라고 의회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죠. ​ 일상생활의 변화를 가져오고 불편함이 생길 ..

[2024 주간 국제정세 분석] (3.3-3.9) - Issues & Key Words

3월 두 번째 주의 를 탐구해 봅니다. 핵심어는 △ 중국 양회(兩會), △ 틱톡(Tik Tok), △ 미국 슈퍼화요일, △ 바이든 대통령 국정연설, △ EU의 유럽방산프로그램 발표 등입니다. 중국 양회가 3월 5일(화)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양회는 중국에서 매년 3월에 개최되는 가장 큰 정치행사 중의 하나이죠. 양회이니 두 개의 회의가 연상되죠. 하나는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의미하고, 약어로는 ‘전인대’라고 하지요. 또 하나는 정치 자문회의격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의미합니다. 줄여서 ‘정협’이라고 하지요. 정협은 어제(3.10) 끝났고, 전인대는 오늘(3.11) 최종 폐막합니다. 무엇보다 양회는 중국이 앞으로 어떤 정책을 펼칠지 알려줍니다. 2024년도 GDP 경제성장 목표를 5%로 정했는데, 과연..

[국제정세 읽기] AI가 쏘아올린 ‘반도체 3차 대전’ 격화

(Chip War)의 저자가 인터뷰를 했네요. 무슨 내용인지? 어떤 점에서 국제정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탐구해 봅니다. 반도체 3차 대전이라니, 1, 2차 대전이 있었겠죠. ​ 1차 대전은 1980년대 치러진 미-일 간 전쟁이고, 2차 대전은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한-일과 독일, 대만 등이 벌인 전쟁이죠. 한국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의 TSMC가 대표적 승자가 되었죠. 이제 3차 대전의 서막이 올랐습니다. AI 때문에. 반도체 전쟁이 다시 불붙은 겁니다. 생성형AI인 챗GPT가 출현한 이후 더욱 첨단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더욱 치열해 졌지요. ​ 구글, 오픈AI, MS, 애플 등 대기업은 물론이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미래 AI 패권을 놓고 ‘전쟁 아닌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입..

<리창> 중국 총리가 ‘AI+이니셔티브’를 발표했네요. 어떤 내용이며, 무슨 함의(implications)가 있을까요?

지금 중국에서는 소위 양회(兩會)가 진행 중이죠. 가장 큰 관심사는 중국이 어떤 정책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가하는 점이죠. * 양회는 매년 3월에 치르는 중국의 가장 큰 정치 행사로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와 국정 자문회의 격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뜻해요. 이미 3월 5일 우리나라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 올해 경제성장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했어요.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이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고 전망하고 있어 주목됩니다. 힘들지만 목표치로 5%를 제시한 것은 작년에 시진핑 국가주석 3기가 출범한 이후 정치, 경제 상황이 안 좋은데, 이를 극복해야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기 때문이죠. 정치권력의 안정화가 내면에 깔려 있는 것이지요. 시진핑 국가주석의 1인 권력은 더욱 더 강화되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