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담기^^

국제정치, 국제정세, 국제질서 재편, 국가전략, 국제관계(IR: International Relations) 등을 함께 배우고 나누어 봅니다.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인공지능(AI), 강의 주제, 국제정치경제(IPE)와의 연계

천상의꿈 2025. 2. 28. 10:43

사회과학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지금은 융복합적 측면에서 인공지능(AI)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알아야 합니다. 이의 연장선에 국제정치경제(IPE) 부문이 이에 해당 된다 볼 수 있죠.

www.mk.co.kr

 

인공지능(AI)은 미래 국제질서와 일상생활 양태까지 변화시키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이기도 합니다. 이를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 강의 주제만 익혀도 국제정치경제 정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해 <조선일보 CEO 아카데미>에서 운영하는 내용을 소개를 해봅니다.

 

- 생성형 AI(인공지능)의 기술적 진화와 미래 전망 – ChatGPT부터 미래형 AI까지.

- AGI(인공일반지능)와 ASI(초인공지능)의 시대의 서막

- AI 스타트업이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와 미래 전략 – AI 스타트업-생태계에 대한 이해

- AI 불어온 콘텐츠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AI 최신 트렌드와 유망한 AI 기반 비즈니스 모델 – AI시대를 선도할 미래기업과 투자 포인트

- AI가 주도하는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 혁신 – AI와 자율주행의 현재와 미래

- AI 시대와 금융 혁명 – 전통적 금융 산업의 파괴와 혁신 그리고 재정의

- AI 시대의 비즈니스 리모델링과 AI 활용 전략 – 왜 기업들은 AI에 올인하는가

-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이 가져올 디지털 경제 혁신

- AI가 바꾸는 제조산업 패러다임 – AI를 활용한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생산성 혁신 방안

- 생성형 AI를 넘어 물리적(Physical AI) 시대의 도래 – AI와 로보틱스가 결합된 미래

- 반도체 혁신과 AI의 미래 – 고성능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기술

- 딥시크(DeepSeek) 광풍과 AI 반도체 전쟁 – 우리나라 AI 반도체 산업의 기회와 도전

- 양자(Quantum)컴퓨터는 AI 시대의 새로운 게임체인저가 될 것인가 – 양자(Quantum)컴퓨터와 AI가 만들어갈 미래

-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우리나라 AI 산업이 추구해야 할 비즈니스 모델

- AI 혁명이 가져올 부(富)의 대이동 – AI 기술 패권 시대의 투자 인사이트와 전략

- ChatGPT 등 생성형 AI 실용 / 실습 강좌 등입니다.

 

(시간 여력이 되면 위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읽어 보길 권합니다.)

 

강의 주제만 익혀 봐도 어떤 부문이 중심이 되어 있는지 맥락을 파악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은 우리는 바로 이러한 것에 관심 갖고 직접 접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지요.


현재 대학원 수준에서 인공지능 관련 학과와 강의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곳은 몇군데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대 인공지능대학교,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고려대 인공지능대학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AI전문대학원,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KAIST 등입니다. 이곳에서 강의하고 있는 강좌 제목을 살펴보아도 도움이 되겠지요.

 

* 국제정치경제부문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학계에서 발표된 글 주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 인공지능과 국가주권 질서의 변동,

- 인공지능과 미래 안보-평과: 국가 및 개인 수준의 전망,

- 인공지능과 동맹정치, 중견국 외교,

- 인공지능과 전쟁 수행 방식 변환: 미국내 논의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과 군사안보: 인공지능의 무기화 경쟁과 군사혁신,

 

- 인공지능과 신흥기술안보: 사이버-데이터-포스트휴먼 안보,

- 인공지능과 거버넌스, 민주주의,

- 인공지능과 규제와 안보화: 미국, 중국, EU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기술경쟁: 미중 경쟁의 맥락,

-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연구어젠다 발굴,

 

암튼 지속적으로 인공지능(AI)에 대해 많은 관심과 배움의 자세를 가져야겠습니다.

http://www.snuiis.re.kr/sub5/5_3.php?page=2&b_name=gan3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21세기 세계정치와 한국의 외교정책 및 동아시아 지역질서 연구, 세미나 안내

www.snuiis.re.kr

 

* 최근에 선보인 추론형 AI에 대해서도 간략히 <기업과 모델>을 익혀봅니다.

 

o 엔스로픽 – 클로드 3.7 소넷,

o xAI – 그록3,

o 오픈AI – o3-미니,

o 오픈AI – GPT-5,

o 딥시크 – R1 등 입니다.

 

앞으로도 관심있게 인공지능(AI) 관련 소식과 지식을 익혀 국제정치경제적 측면에서의 국제정세 흐름 파악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