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3일 존 칩먼(John Chipman) IISS 이사장이 손현덕 매일경제신문 대표와 만나 인터뷰를 했습니다. 2025년 다보스포럼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인터뷰할 기회를 잡았네요. 외교안보 부문 싱크탱크 관련 내용도 소개할 겸 탐구해 봅니다.
IISS는 잘 알파시피 영국의 아주 저명한 외교안보 싱크탱크이죠. 국제전략문제연구소로 1958년도에 창설되었습니다. 우리 나이로는 67세쯤 되었네요. 영어로는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입니다.
군사안보 부문을 분석할 때 꼭 참고해야 할 자료인 “The Military Balance” 책자를 간행하는 연구소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매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리는 <샹그릴라 대화>(아시아 안보회의)를 주관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한국국제교류재단(KF)과 한화그룹의 지원으로 IISS 내에 <코리아 체어>(한국연구석좌직)를 신설하였다고 하네요. 한국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죠.
국제정치를 다룰 때 인터뷰는 자료수집과 분석의 요건에서 <1차 자료>에 해당됩니다. 그만큼 기본이 되는 것이고, 각종 회고록과 역사적 기록물을 다룰 때 많이 인용되는 연구접근법이기도 하지요.
오늘 존 칩먼(John Chipman) 이사장과의 대담에서는 무엇을 다루었는지 살펴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게 대담할 때 한 <질의 내용>이겠죠. 전체적인 맥락과 어디에 초점을 두었는지 알 수 있으니까요.
종합해서 먼저 질의부터 총괄해 봅니다. 9개의 질문이 던져졌네요.
* 도널드 트럼프 2.0 시대 세계질서, 어떤 변화가 예상되나,
* 중국, 이란, 북한, 러시아가 4자 협력관계로 진화할 가능성은,
* 바이든이 어떻게 해야 했나,
* 트럼프 2.0 시대가 시작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극적인 변화를 맞이할 수 있나,
* 파병의 대가로 북한은 러시아에 무엇을 요구했을까,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에게서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을까,
* 트럼프 2.0 시대 미북관계는 어떻게 전망하나,
* 주한미군 축소, 방위비 분담금은,
* 기업도 외교정책이 필요한 이유라는 유명한 글을 썼다. 트럼프 2.0을 한국 기업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독자 여러분은 이 각각의 질문에 대해 어떻게 대답을 할 수 있나요~
질문의 내용을 보니, △도널드 트럼프 2.0의 시대, △세계질서 변화, △러우전쟁, △북한문제, △기업과 국제정치 등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죠.
우리와 관련된 내용으로는 북한군, 파병의 대가, 미북관계, 주한미군 축소 등이 있네요.
다시 한 번 질문을 상기해보고, 간단한 답변도 알아봅니다.
* 도널드 트럼프 2.0 시대 세계질서, 어떤 변화가 예상되나,
(대답) 국방부 차관에 엘브리지 콜비(Elbridge Colby)가 내정된 것에 주목한다. 콜비는 대중 강경파이며 미국은 중국을 최대의 경쟁자로 여긴다. 중동에서 쉽지 않겠지만 최선을 다할 것이다. 유럽은 불확실성이 높다.
* 중국, 이란, 북한, 러시아가 4자 협력관계로 진화할 가능성은,
(대답) 이들은 매우 서로 다르다. 결코 동맹국이라 할 수 없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은 유럽과 중동, 아시아의 안보가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준다.
* 바이든이 어떻게 해야 했나,
(대답) 유럽의 안보질서가 서방의 핵심 이익이라고 선언하고 초기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했다.
* 트럼프 2.0 시대가 시작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극적인 변화를 맞이할 수 있나,
- (대답) 하루 만에 이 전쟁을 끝낼 방법은 없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협상에 관심이 없는 것 같다.
* 파병의 대가로 북한은 러시아에 무엇을 요구했을까,
(대답) 누구도 정확한 답을 갖고 있지 않다. 석유 등 경제적 원조를 비롯해 수호이 전투기 같은 최신 무기나 핵탄두 소형화 기술 등을 첨단기술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을까.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에게서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을까,
(대답) 푸틴은 이란과 북한 모두에 신중할 것이다. 김정은은 많은 것에 관심을 두고 있겠으나 이를 다 받아내지는 못할 것이다.
* 트럼프 2.0 시대 미북관계는 어떻게 전망하나,
(대답) 북한이 현재 보유한 핵탄두는 약 60개로 추정된다. 트럼프는 김정은을 만나려고 시도할 것이나. 가장 시급한 우선순위는 아니다. 먼저 중국, 중동, 러시아 문제를 풀어내고 싶을 것이다.
* 주한미군 축소, 방위비 분담금은,
- (대담) 트럼프는 늘 그랬듯이 운선은 높은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 기업도 외교정책이 필요한 이유라는 유명한 글을 썼다. 트럼프 2.0을 한국 기업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대담) 트럼프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 ‘관세’(tariff)에 주목하면서, 최대한 미국 내 많은 연관 기업과 함께 논의해야 한다.
존 칩먼은 IISS 이사장으로 대답을 보면 영국적 시각과 함께 지식인으로서의 풍부한 지식과 혜안적 요소를 담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물론 모든 설명과 대담 내용이 다 정답은 아닌 거지요. 이점도 참고해 여러분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해 볼 필요도 있는 겁니다.
여기서는 인터뷰를 참고해, 국제정치를 공부하는 방법, 국제정세를 이해하는 길을 사례를 통해 익혀보았습니다.
[추가 탐구]
인터뷰 보도 자료
https://www.mk.co.kr/news/world/11226942
“김정은, 북한군 1500명 목숨값 다 못 받아낼 것”…英 안보전문가의 경고 - 매일경제
英안보 싱크탱크 IISS 존 치프먼 이사장 인터뷰 北 눈독들이는 핵 소형화 기술 러도 통제 어려워 넘길리 없어 트럼프 관세 협상 앞둔 韓기업 美협력사 앞세워 방어 나서야 韓과 손잡는 英 안보 싱
www.mk.co.kr

'강좌 1 - 국제정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주간 국제정세 분석] (1.19-1.25) - Issues & Key Words (2) | 2025.01.30 |
---|---|
<사진으로 읽는 국제정세>: 유럽과 인도-태평양 지역 (0) | 2025.01.29 |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의 행보 (1) | 2025.01.24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무엇이 담겨있나? (1) | 2025.01.22 |
[강의자료] <국제정치와 국제정세 분석> – 어떻게 공부하나? (4) | 2025.01.21 |